$\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벚꽃 개화 및 단풍 시기에 대한 공간예측
A spatial prediction for the flowering and autumnal dates in Korea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0 no.3, 2017년, pp.417 - 426  

진향곤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  김상완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  김용구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외적으로 벚꽃의 개화시기와 단풍 시작일에 대한 관련 연구가 많이 되어왔는데, 매해 기상청은 이들에 대하여 보도자료를 통하여 당해 연도 예측시기 및 전년도와의 차이를 발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회귀모형을 통해서 이들의 개화시기 및 단풍시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월별 평균, 최저, 최고온도, 강수량 그리고 일조량 등과 같은 여러가지 기상변수를 확인하였고 관측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예측을 위해서 기존의 모형에 공간구조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을 2009년부터 2016년의 기상청 보도자료에 적용하였고 기존의 기상청 예측값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공간분석을 통해 한반도 전역의 벚꽃 개화시기와 단풍 시작일을 예측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flowering dates of Japanese cherry and autumnal dates in Korea. Flowering date is decided by heating requirement with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used to calculate the pre-determined heating requirements for flowering. Recent, changes in climate have impa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화일과 단풍시기 예측을 위해 일반적으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기상요소인 강수와 일조시간등을 모형에 포함시켜야 하는데, 벚꽃의 경우, 2월과 3월의 평균, 최저, 최고온도( ℃)와 월 총 강수량(mm) 그리고 일조량을 설명변수로 고려하였고, 단풍시기 예측을 위해서는 8월과 9월의 평균온도( ℃)와 월 총 강수량(mm) 그리고 일조량을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관측값이 없는 지역에 대한 개화 및 단풍시기 예측을 위해서 기존의 선형회귀 모형에 공간구조를 가지는 확률효과항을 추가하여 개화일과 단풍시기를 추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전지역을 아우르는 예측모델 개발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개화 및 단풍시기에 대하여 한반도 공간모형을 생성하고, 한반도 전역에 대한 예측 모델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여기에서 y(s)는 s지점에서의 벚꽃 개화 또는 단풍 시기(일), X(s)는 s지점에서의 다양한 기상변수(벚꽃의 경우, 2월과 3월의 평균, 최저, 최고온도( ℃)와 월 총 강수량(mm), 일조량 등 그리고 단풍의 경우, 8월과 9월의 평균온도( ℃)와 월 총 강수량(mm), 일조량 등)를 나타내는 독립변수 행렬, η(s)는 s지점에서의 개화 및 단풍 시기에 대한 모형 오차로써 공간모형을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벚꽃의 개화시기와 단풍의 시작시기에 대한 회귀 분석의 결과는? 2에서는 벚꽃의 개화시기와 단풍의 시작시기에 대한 회귀 분석의 결과는 정리하였다. 벚꽃의 개화시기에 대한 모형에서는 13개의 변수 중 2월 평균기온, 3월 최고/최저온도, 3월 총 강수량 그리고 3월 총 일조량 등 총 5개의 변수가 유의하였고 단풍의 시작시기에 대한 모형에서는 8개의 변수 중 위도, 산의 높이, 8월 총 강수량 그리고 9월 평균기온 등 총 4개의 변수가 유의하였다.
식물계절이란? 또한, 지난 100년간 한반도에 나타난 기온상승은 자연적 변화 범위를 넘어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Ho 등, 2011). 식물계절이란 기후나 기상의 계절적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생활현상으로 겨울의 눈, 개화, 신록, 단풍, 낙엽 등이 있다. 이러한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는 지역 기후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작용한다.
단풍은 어떠한 현상을 발생시키는가? 개화란 꽃봉오리가 피었을 때를 말하나 그 정도를 정의하기는 곤란하므로 복숭아, 개나리, 벚꽃 등 한 개체에 많은 꽃이 피는 다화성 식물은 한 개체 중 몇 송이(한가지에서 3송이) 이상 피었을 때를 개화라 한다고 칭하고 있다 (KMA, 2003). 단풍은 식물 중에서 잎 속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가 가을이 되면 변화하여 잎의 색이 홍색(단풍나무) 또는 황색(은행나무)으로 변화하는데 단풍은 잎이 가을에 홍색 또는 황색으로 변색되는 현상을 말한다 (KMA, 2003).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고 일교차가 클수록 단풍이 드는 속도는 빨라지며, 단풍은 평지보다는 산, 강수량이 많은 곳 보다는 적은 곳, 음지보다는 양지바른 곳 등에서 아름답게 나타나고, 수종, 수령 등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정의되어 있다 (KMA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on, R. H. (1983). Availability of chilling temperatures in California, Agricultural Meteorology, 28, 351-363. 

  2. Cesaraccio, C., Spano, D., Snyder, R. L., and Duce, P.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6, 1-13. 

  3. Delpierre, N., Dufrene, E., Soudani, K., Ulrich, E., Cecchini, S., Boe, J., and Francois, C. (2009). Modelling interannu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leaf senescence for three deciduous tree species in Franc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9, 938-948. 

  4. Estrella, N. and Menzel, A. (2006). Responses of leaf coloring in four deciduous tree species to climate and weather in Germany, Climate Research, 32, 253-267. 

  5. Friedman, J. M., Roelle, J. E. and Cade, B. S. (2011)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leaf phenology and cold hardiness of native and introduced riparian tree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5, 775-787. 

  6. Ho, C. H., Lee, M. H., Park, T. W., and Lee, S. (2011). A review of observed climate change in Korean peninsula, Climate Change Research, 2, 221-235. 

  7. Hur, J., Ahn, J. B., and Shim, K. M. (2013). Change of cherry blossoms in South Korea from the scaledown IPCC AR5 simulated data, in Proceedings of the Autumn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013, 610-611. 

  8. Hur, J., Ahn, J. B., and Shim, K. M. (2015). Projection on first flowering date of cherry, peach and pear in 21st century simulated by WRFv3.4 Based on RCP 4.5 and 8.5 scenarios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5, 693-706. 

  9.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B. Averyt, M. Tignor and H.L. Miller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996p. 

  10. Jang, J. W., Byun, J. G., Hwang, H. S., Jung, S. S., Oh, S. H., Yang, J. C., and Lee, Y. M. (2013). A study on the change of flowering time of Prunus species complex in South Korea,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2013, 457-460. 

  11. Jeong, S. J. and Medvigy, D. (2014). Macroscale prediction of autumn leaf coloration throughout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23, 1245-1254. 

  12. Jung, J. E., Kwon, E. Y., Chung, U., and Yun, J. I. (2005). Predicting cherry flowering date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 148-155 

  13. Kim, H. J., Hong, J. K., Kim, S. C., Oh, S. H., and Kim, J. H. (2011).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alpine zone of Korea - especially on the summit area of Mt. Deogyusan, Korean Journal of Plant Research, 24, 549-556. 

  14.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06). Report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festivals in Korea,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16.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2). Calculation and verification of living weather informat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2.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3). Seasonal Observation Guidelines,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3. 

  17. Lee, K. M., Kwon, W. T., and Lee, S. H. (2009). study on plant phenological trend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5, 337-350. 

  18. Ono, S. and Konno, T. (1999). Estimation of flowering date and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fruit trees by DTS method, Japan Agricultural Research Quarterly, 33, 105-108. 

  19. Park, C. K., Ho, C. H., and Park, H. Y. (2015).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start time of Korean autumn leaves, In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of Korean Mathematical Society, 2015, 80-81. 

  20. Richardson, E. A., Seeley, S. D., and Walker, D. R. (1974). A model for estimating the completion of rest for Redhaven and Elberta peach trees, HortScience, 9, 331-332. 

  21. Shin, H. T., Sung, J. W., and Yi, M. H. (2013). Studies on biological phenology of plant species in Yeungnam reg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8, 55-65. 

  22. Yun, J. I. (2006).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flowering season of Japanese cherry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in Korea during 1941-2100,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 68-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