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도시 내 양봉꿀벌 서식환경 분석 연구 - 천안시를 중심으로 -
Habitat Analysis Study of Honeybees(Apis mellifera) in Urban Are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 Focused on Cheonan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3, 2017년, pp.55 - 64  

김휘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송원경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김성열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형은정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이승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blem of the population number of honeybees that is decreasing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has a great influence on human beings and the entire ecosystem. The habitat of honeybees is recognized to be superior in urban environment rather than rural environment, and predicting for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꿀벌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꿀벌 서식지를 분석․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시지역에서 꿀벌 서식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생태적 개선방향을 도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생태계에서 보전가치가 높은 양봉꿀벌의 출현 및 서식환경을 도시공간 차원에서 제시한 선도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계 지표종인 양봉꿀벌을 통해 도시 생태계서비스의 질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연구로 발전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꿀벌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꿀벌 서식지를 분석․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시지역에서 꿀벌 서식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생태적 개선방향을 도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인슈타인의 꿀벌과 관련된 말은 무엇인가? 꿀벌의 가치는 소와 돼지 다음으로 중요한 종으로 선정되었다. “꿀벌이 멸종하면 인간은 4년 내로 사라질 것”이라는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꿀벌의 존재는 식물과 화분매개 곤충 사이에 상호작용함으로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지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생태계의 건강도를 나타내는 환경 지표종의 역할을 하고 있다.
시민 단체가 도시를 꿀벌 개체수 증가를 위한 장소로 지목한 이유는 무엇인가? 꿀벌 개체수 증가를 위해 국내외 다양한 시민 단체들은 해결책으로 도시를 지목했다(Noah, 2013).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간을 선호하는 꿀벌이 따뜻한 도시지역의 환경이 살기 적합 하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실제로 겨울동안 꿀벌 생존율이 시골지역(40%)보다 도시지역(62.
꿀벌의 역할은 무엇인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속씨식물 20만종 가운데 17여 만종의 식물이 꿀벌의 도움을 받아 수분을 하며 100대 농작물의 71%의 작물이 꿀벌에 의존하고 있다고 조사되었다(FAO, 2004). 꿀벌은 직접적인 화분매개 서비스에 한정되지 않고 목축업, 화훼산업, 화장품 산업, 제약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도시 및 마을 경관의 질을 높이는 큰 역할을 한다. 꿀벌의 화분매개로 인한 경제적 가치는 6조원으로 추정 되며 간접적으로 얻는 가치를 환산했을 때 화분 생산물의 142배로 추정된다(You,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i, G. C. 2006. The social of bees pollen mediation. Korea beekeeping bulletin. (309): 19-21. (in Korean) 

  2. Chung, N. K..I. S. Hwang.S. G. Park and G. U. Jeong. 2011. Survey of beekeeper's consciousnes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n disease of honey-bees. Korean J Vet Serv. 34(1): 8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Damon, M. Hall.R. Gerardo.K. Rebecca.O. Jeff.A. Karin.A. Mike.S. John.C. Katherine.F. Robert.F. Gordon.G. Dave.G. Bengt.E. Mick.I. Janet.L. Gail.L. David.S. Emily.M. Stacy.G. Simon.H. Muzafar.M. Edward.N. Graham and G. Caragh. 2016. The city as a refuge for insect pollinators. Conservation Biology. 31(1): 24-29. 

  4. Dianan and Jay. 2011. CRC Press. Honey Bee Colony Health: Challenges and Sustainable Solutions. 238-240. 

  5. Faith, K. 2014. Obama announces plan to save honey bees. CNN Politics. June 23, 2014. 

  6. FAO. 2004.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ollinator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through an Ecosystem Approach. 7(2): 1-4. 

  7. Giorgio and Bettina. 2003. Honey bees as bioindicators of environmental pollution. Bulletin of Insectology. 56(1): 137-139. 

  8. Hevia, T..J. Bosch.F. M. Azcarate.E. Fernandez.A. Rodrigo.H. Barril-Graells and J. A. Gonzalez. 2016.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232: 336-344. 

  9. Jeroen, E..W. Michael.G. Bernd and F. Carsten. 2011. Microsite conditions dominate habitat selection of the red mason bee (Osmia bicornis, Hymenoptera: Megachilidae) in an urban environment: A case study from Leipzig, German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3: 15-23. 

  10. Jill and Barry. 2016. Greenleaf Publishing. The Business of Bees: An Integrated Approach to Bee Decline and Corporate Responsibility. 111-113. 

  11. Joseph, S..P. Joshua.S. Lisa.L. Carmelle.I. Harold and G. Terry. 2016. Sampling bee communities using pan traps alternative methods increase sample size. J Insect Conserv. 20(5): 919-922. 

  12. Kim, J. R. 2016. Bees and people living in the city 'Beekeeping'. The Science Times. May 5, 2016. (in Korean) 

  13. Kim, J. Y..C. W. Seo.H. S. Kwon.J. E. Ryu and M. J. Kim. 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9): 593-607. (in Korean) 

  14. Kim, Y. J..J. H. Kim.Y. H. Oh.S. J. Lee.S. G. Song.E. Y. Joung.S. J. Lee.S. J Lee and B. C. Moon. 2016. Prevalence of honeybee (Apis mellifera) disease in Daejeon. Korean J Vet Serv. 39(4): 253-2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cocq, A..P. Kryger.F. Vejsnaes and A. Jensen 2015. Weight Watching and the Effect of Landscape on Honeybee Colony Productivity: Investigating the Value of Colony Weight Monitoring for the Beekeeping Industry. PLOS ONE DOI:10.1371/journal.pone.0132473. July 6, 2015. 

  16. Lee, M. R. 2008. Characteristics of CCD and domestic situation. Korea beekeeping bulletin. 331: 16-17. (in Korean) 

  17. Lee, S. B..H. J. Yoon.S. W. Kang.J. S. Kwon and K. K. Park. 2014. Comparison of strawberry pollen mediated activities by the number of Western species bees. 52(2): 134-141. (in Korean) 

  18. Leong, M and G. K. Roderick. 2015. Remote sensing captures varying temporal patterns of vegetation between human-altered and natural landscapes. PeerJ Inc. (8): e1141. 

  19. Lisa, M. and K. Mary. 2014. Among the colony: Ethnographic fieldwork, urban bees and intra-species mindfulness. Ethnography. 15(4): 51-539. 

  20. Makori, D. M..A. T. Fombong.E. M. Abdel-Rahman.K. Nkoba.J. Ongus.G. Mosomtai.S. Makau.O. Mutanga.J. Odindi.S. Raina and T. Landmann. 2017. Predicting spatial distribution of key honeybee pests in Kenya using remotely sensed and bioclimatic variables: Key honeybee pests distribution models. ISPRS Int. J. Geo-Inf. 6(3): 66 

  21. Mihaill, G..S. Roger and L. W. Francis. 2015. Eating locally: dance decoding demonstrates that urban honey bees in Brighton, UK, forage mainly in the surrounding urban area. Urban Ecosyst. 18(2): 411-418. 

  22. Noah. 2013. Bee Sanctuary: A Nonprofit Sponsorship Program. Urban Beekeeping Laboratory. 

  23. Phal, M..H. Zhu.J. Tautz and S. Zhang. 2011. Large Scale Homing in Honeybees. PLoS ONE 6(5): e19669. 

  24. Phillips, S. J...R. P. Anderson and R. E. Schapi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25. Rachael, W. 2010.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ild bees. Ann. N.Y. Acad. Sci. ISSN 0077-8923. 1195: 169-197. 

  26. Rebecca, T..F. Jeremie.A. John.E. Katherine and L. Daniel. 2011. A comparison of bee communities of Chicago green roofs, parks and prair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3: 102-108. 

  27. Seo, C. W..Y. R. Park and Y. S. Choi. 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6(4): 59-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hon, K. R..J. H. Kim.K. S. Chu and J. W. Lee 2015. Monitoring of Sacbrood virus from Korean native honeybees in Jeonbuk province, Korea. Korean J Vet Serv. 38(1): 57-59. (in Korean) 

  29. Song, W. K. 2015. Habitat Analysis of Hyla suweonensis in the Breeding Season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J. Korean Env. Res. Tech. 18(1): 7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teven, J.P Robert.E. Robert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3-4): 231-259. 

  31. Weronika, B..R. Halina and D. Lukasz. 2016. Features of urban green space favourable for large and diverse beepopulations (Hymenoptera: Apoidea: Apiforme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20: 448-452. 

  32. You, Y. H. 2016. Bees, Human survival report. Seoul news. March 4, 201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