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패션제품 온라인 쇼핑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College Women's Online Shopping Motivation Effect on Satisfaction Level i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7 no.4, 2017년, pp.21 - 37  

권진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김용문 (강릉원주대학교) ,  엄소희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이영숙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우현리 (강릉원주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shion market in the past had a physical structure, and the supply and demand developed within that space. However, this has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fashion market, as it no longer requires physic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online sh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경제적 쇼핑 동기의 요인을 다른 곳보다 싸게 쇼핑할 수 있음, 대체로 좋은 가격에 쇼핑할 수 있음, 그리고 가격 비교가 쉬움의 세가지 변수로 추출하였으며, 온라인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경제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사회적 쇼핑 동기의 요인을 주위 사람들과 어울리기 위해 온라인 쇼핑을 함, 친구들에게 뒤떨어지지 않으려고 쇼핑함, 그리고 친구들이 온라인 쇼핑에서 샀기 때문에 나도 구매함으로 세 가지 변수로 추출하여온라인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사회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제품적 쇼핑 동기의 요인을 최신 유행 제품을 구입할 수 있음과 독특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음의 변수로 추출하였으며, 온라인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제품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패션제품의 경제적 쇼핑동기와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Kim(2002)의 연구에서 인터넷 쇼핑의 만족도와 쾌락적 요소에 포함되는 인터넷 쇼핑 흥미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Na(2006)의 연구 또한 패션상품 구매자가 쇼핑 과정에서 느끼는 쾌락적 쇼핑가치가 소비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쾌락적 쇼핑 동기의 요인을 온라인 쇼핑은 재미있고 즐거움, 온라인 쇼핑 이벤트 참여가 즐거움, 그리고 온라인쇼핑으로 스트레스가 해소됨의 세 가지 변수로 추출하여 온라인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쾌락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편의적 쇼핑 동기의 요인을 온라인 쇼핑은 시간의 절약,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쇼핑이 가능함, 그리고 편안하게 물건을 배송 받음의 세 가지 변수로 추출하여온라인에서 패션 제품 구매 시 편의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동기와 관련된 다섯 가지 요인과 각각의 요인별 세부 사항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추출하였다. 또한 여대생의 패션제품 온라인 쇼핑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 쇼핑 만족도를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연구문제1. 여대생들의 온라인 쇼핑에서 경제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5. 여대생들의 온라인 쇼핑에서 사회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2. 여대생들의 온라인 쇼핑에서 제품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3. 여대생들의 온라인 쇼핑에서 쾌락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4. 여대생들의 온라인 쇼핑에서 편의적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전체 여성 가운데 여대생을 대상으로 패션제품에 대한 온라인 쇼핑동기 요인이 온라인 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여대생의 패션제품 온라인 쇼핑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시장에서 소비자로 적극적 활동을 하고 있으며, 미래의 계속적인 소비자층으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현재의 20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남자보다 여자들이 패션제품 쇼핑에 보다 적극적인 점을 고려하여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패션제품의 온라인 쇼핑에 대한 동기 요인이 쇼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시장에서의 소비자의 니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의 발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온라인 패션 시장 발전에 기여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온라인 쇼핑에서 경제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1).
  • “온라인 쇼핑에서 사회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5).
  • “온라인 쇼핑에서 제품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2).
  • “온라인 쇼핑에서 쾌락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3).
  • “온라인 쇼핑에서 편의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4).
  • 가설1: 패션제품에 대한 온라인 쇼핑에서 경제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온라인 쇼핑에서 제품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온라인 쇼핑에서 쾌락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온라인 쇼핑에서 편의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5: 온라인 쇼핑에서 사회적 동기 요인은 쇼핑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또한 여대생의 패션제품 온라인 쇼핑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 쇼핑 만족도를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각 온라인쇼핑동기 요인 변수들이 온라인 쇼핑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Fig.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온라인 쇼핑에서 패션 제품을 구입할 때 쇼핑의 동기 요인이 쇼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체적으로 기존 연구들은 구매동기 요인을 구매행동의 측면에서 접근하기도 하고 구매동기를 구매의사 결정요인의 관계를 검증하는 등에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구매 동기 요인을 보다 구체화하고 각각의 동기에 대하여 세분화된 요인을 구분하여 온라인 쇼핑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쇼핑의 동기가 다양한 요인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온라인 쇼핑동기는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판매 및 구매 형태인 통신 회선을 활용한 온라인시스템(Online system)에서의 쇼핑동기라고 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의 동기는 개인의 가치나 욕구 등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특정한 요인으로 대표되기 보다는 다양한 요인으로 구성되며, 그 연구 또한 다양한 차원으로 분류되어 연구되고 있다. Li,Kuo & Russell(1999)은 온라인 쇼핑의 동기를 경험적 동기와 편의적 동기로 구분하였으며, Brown& Voges(2002)는 편의적 동기와 쾌락적 동기로 구분하였고, To, Liao, & Lin(2007)은 쾌락적 동기와 효용적 동기로 구분하였다.
쇼핑동기란 무엇인가? 쇼핑동기는 쇼핑지향성 또는 쇼핑성향으로도 지칭되는 것으로써 개인의 욕구를 총족하기 위하여 특정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Park, Lee, &Kim, 2009)하는 쇼핑행동과 관련된 경향(Predisposition)을 의미한다(Park & Kang, 2011). 쇼핑 동기는 특정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이유로(Park et al.
온라인 쇼핑의 만족도에 가장 낮은 영향을 주는 편의적 동기의 요인은 무엇인가? 두 번째로 온라인 쇼핑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편의적 동기의 요인은 편안하게 물건을 배송 받음으로 나타나 온라인 쇼핑의 만족도를 높이고 제품의 재구매 및 쇼핑몰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해서 제품 판매에 따른 배송의 관리가 함께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편의적 동기의 세부 요인 가운데 온라인 쇼핑은 시간이 절약됨은 쇼핑의 만족도에 가장 낮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In, K. (2009). The Impact of Service Satisfaction on Repurchase Intentions and Word-of-Mouth: The Moderating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and Service Invol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 Bae, J., Kim, Y., Park, J. & Lee, K. (2006). Purchase Motives of Fashion Products in Surrogate Internet Shopping Malls,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379-380. 

  3. Bellenger, D. N. & Korgaonkar, P. K. (1980). Profiling the Recreational Shopper. Journal of Retailing, 56(3), 77-92. 

  4. Brown, M., Pope, N., & Voges, K. (2002). Buying of Browsing? An Exploration of Shopping Orientations and On-line Purchase Inten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7, 1666-1688. 

  5. Gu, S. (2014). The Stud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n Social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4), 2048-2061. 

  6. Fang, L.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 Motivation of Social Commerce on Flow,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7. Holbrook, M. B. & Elizabeth C. H. (1987).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2-140. 

  8. Jo, K & Song, H. (2002). Shopping Orientation's Differentiation between On-line Consumer Group and Off-line Consumer Group,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10, 71-90. 

  9. Ju, Y. (2013). A research on internet consumer's fashion product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between Lorea and China: comparison of the 20-30 female consumer in Seoul, Shanghai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0. Jung, C. (2005). A Study on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upon Consumers' Buying Behavior at Internet Shopping Mal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1. Kim, G. (2014). 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erce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with Shopping, Journal of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7(4), 15-22. 

  12. Kim, H. (2000). A Study on Types of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n the Information on Internet Fashion Web Sites (Master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423517 

  13. Kim, J. (2002), A Study on Searching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of Internet Clothing Shopping (Master Dissertation, Sill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446644 

  14. Kim, J. (2008).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ddictive Buying Tendencies to buy Fashion Products from Internet Shopping Malls: Focusing on Age 20-30 Women (Master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216915 

  15. Kim, S., Kim, K., Park, M. & Yang, J. (2011). Effect of Customer's Emotion Experienced during Internet Shopping On Shopping Behavior According to Internet Shopping Motiv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30(1), 1-37. 

  16. Kim, S & Rhee, E (1999). A exploratory study on Segmentation of Internet Clothing Buyer: Focusing Buying Motives,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4(2), 75-91. 

  17. Kim, S. H. & Rhee, Y.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leader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1), 162-172. 

  18. Ko, B. (2014). An Analysis on Senior's Purchase Decision-Making on the Internet Shopping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13640 

  19. Lee, H. (2005). A study on shopping orientation and a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from an Internet shipping mall: Focusing on Korean woman in their 20's (Master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024478 

  20. Lim, H. J., & Hong, K. H. (2004).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rnet clothing shopping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8), 1065-1075. 

  21. Lee, E. & Kim, J. (2013). The Effect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 Characteristics, Shopping Motivation, and Price Sensitivity on Negative Purchasing Behavior, Fashion & Text. Res. J., 15(3), 381-392. 

  22. Lee, J. E., & Lee, K. H. (2009). Purchase motives,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decision making styles of online clothing shopp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6), 880-892. 

  23. Lee, S. (2004).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n Consumer's Reliance and Satisfaction in Purchasing the Products from Online Shopping Mall (Master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search 

  24. Lee, T. (2011).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internet shopping behaviors (Master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519407 

  25. Li, H., Kuo, C., & Russell, G. M. (1999). The impact of perceived channel utilities, shopping orientations, and demographics on the consumer's onlin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5(2), 1-20. 

  26. Lim, H. j. & Hong, K. H. (2004).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rnet Clothing Shopping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8), 1065-1075. 

  27. Lotz, S. L., Eastlick, M. A., & Shim, S. (1999). Modeling Participation in Entertainment and Shopping Activities in Malls Utilizing the Flow Paradigm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search 

  28. Na, Z. (2012). The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Motivation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Consumers in Beijing,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16(1), 221-239. 

  29. Na, Y. (2006). Determinants of Shopping Value and Consumer Satisfaction in Internet Shopping-mall: In case of Fashion Products (Master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342582 

  30. Park, E & Kim, E (2006). A Structural model of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behavior,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4), 433-446. 

  31. Park. C. & Kang, Y. (2011). Internet Shopping in Japans: Shopping motivation, Perceived Risks, and Innovativenes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2(1), 91-114 

  32. Park, H., Lee, Y., & Kim. H. (2009). Clothing Shopping Motivation on Internet and Customer e-Loyalty among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744-1754. 

  33. Park, I. (2003), A Study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of Fashion Goods According to Service Quality Importance and Customer's Type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Master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947790 

  34. Park, G. (2011), A Study on Determinant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s (Master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514520 

  35. Qin, H. & Kim, C. (2016). Online Shopping Motivation, Attitudes towards Online Shopping, Shopping Satisfaction, Purchased Items for Chinese 20 to 30 Years Old Customers Between in HANGZHOU and in SHANGHAI,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569-580. 

  36. Shin, H. & Ha, O. (2001). Shopping behavior, attitud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clothing shopp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1), 71-82. 

  37. Shin, S. & Kim, H. (2001), A Study on Types of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n the Information on Internet Fashion Web Si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8), 1500-1511. 

  38. Snong, W. & Lee, M. (2001). A Study o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in Internet Shopping and Its Relation to Life Style,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9(4), 602-615. 

  39. Song, Y. (2009).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s of Internet Shopping Clients (Master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613373 

  40. To, P. L., Liao, C., & Lin, T. H. (2007). Shopping motivations on internet: A study based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Technovation, 27(12), 774-787. 

  41. Yoo. H. & Kim, G. (2001). A Consumer Satisfaction Model in Internet Shopping by Shopping Mall Type: Focused on Twenties and Thirti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2(3), 223-255. 

  42. Yoo, J. & Park, C. (2009). The effects of shopping motiv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of open market site.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1(3), 103-121. 

  43. Yoo. O. (2010), The Effects of Flow on Consurmers' Purchase Intention at a Fashion Internet Shopping Mall,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938415 

  44. Yoo, Y. (2010). The Effects of Sales Promo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on Fashion Customer's Purchase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r-Mouth Intention (Master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161802 

  45. Westbrook, R. A. (1960). Interpersonal affective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with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June, 86. 

  46. Yoon, S. (2008). A Study on Buying Behavior of Internet Clothing Products According to Adolescents' Shopping Orientation (Master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3810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