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중재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변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ife Style Modification on Constipation of the Older Adults at a Geriatric Hospital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20 no.1, 2017년, pp.52 - 60  

강호숙 (대전대학교 대학원) ,  김인자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ifestyle modifications on the constipation relief, the time required to see the effects, and the effective lifestyles for constipation in older adults admitted to a geriatric hospital.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양병원 노인 환자에게 시행하는 생활습관 중재는 특별히 어려운 기술이 필요하지 않고 간호사들이 주의 깊게 관심만 기울여 실행한다면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는 중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비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생활습관 중 아침 식전에 물 마시기 격려, 매일 아침식사 하기, 매일 같은 시간에 배변시도하기, 적절한 신체적 활동을 위한 걷기운동을 기존 간호에 포함하여 요양병원 입원 노인 환자의 변비가 감소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생활습관 변화가 변비에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생활습관 변화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 환자의 변비 완화에 효과가 있는지, 생활습관 변화로 변비 완화가 일어나는 시기가 언제인지, 변비에 효과적인 생활습관이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변비 완화를 위한 생활습관 중재로 아침 식전 물 마시기, 아침식사 하기, 규칙적인 배변 시도, 걷기를 포함시켰다.

가설 설정

  • 가설 1: 생활습관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변비 증상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생활습관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배변횟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생활습관 중재를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변완화제 사용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변비는 노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노인의 변비는 비뇨기 증상, 분변매복, 결장 파열 등 다른 문제를 유발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의료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Wald, Scarpignato, & Kamm, 2007) 이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적극적으로 중재하여야 한다. 노인의 변비는 노화로 인한 생리적 결과가 아니라 활동 결여, 약물, 기존 질환, 직장의 감각-운동기능장애 등으로 발생하여 다양한 치료법이 필요하지만 대다수가 식이와 생활습관 변화에 반응한다(De Giorgio et al.
충분한 수분섭취를 하기 위해 하루에 어느 정도의 물을 마셔야하는가? , 2011). 충분한 수분섭취는 변비예방에 효과적이며, 신부전으로 금기가 아니면 하루에 1.5~2 L의 수분(매일 6~8잔)을 섭취를 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Kim, 2011; Park, 2006). Song (2005)은 변비 환자에게 잘못된 배변습관이 생활습관병으로 발전함을 이해시키고 충분한 수분섭취, 규칙적인 운동, 정해진 시간에 화장실을 가는 것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했다.
변비를 관리하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로 특별한 훈련이 필요없는 중재에는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비약물적 중재가 우선되어야 하는데 복부경락 마사지(Jeon & Jung, 2005), 뜸요법(An & Kim, 2012), 경락 마사지(Kim, 2009) 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이러한 중재는 특별한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 단점이다. 특별한 훈련이 필요 없는 비약물적 중재로는 규칙적인 배변습관, 식사 후 화장실 가기, 수분섭취 증가, 적절한 운동이나 신체적 활동, 식이 등과 같은 생활습관이 권장되고 있다(Mounsey et al., 2015; Nour-Elde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Y. H., & Kim, Y. K. (2012). Effects of hands moxibustion therapy and hand press pellet on decreasing constipation among homebound el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2), 109-118. https://doi.org/10.7475/kjan.2012.24.2.109 

  2. Berklow, R., & Beers, M. H. (2000). Merck manual of geriatrics (3rd eds). Whitehouse Station, NJ: Merck Research Laboratories. 475-476. 

  3. Celik, S., Star, N. Y., Ozturk, N., Mendes, G., Kuytak, F., Bakar, E., et al. (2015). Constipation risk in patients undergoing abdominal surgery. Iran Red Crescent Medical Journal, 17(6), e23632. https://doi.org/10.5812/ircmj.23632 

  4. De Giorgio, R., Ruggeri, E., Stanghellini, V., Eusebi, L. H., Bazzoli, F., Chiarioni, G., et al. (2015). Chronic constipation in the elderly: a primer for the gastroenterologist. BMC Gastroentetology, 15, 130. https://doi.org/10.1186/s12876-015-0366-3 

  5. Gaff, L., Jones, J., Davidson, I. H., & Bannerman, E. (2015). A study of fluid provision and consumption in elderly patients in a long-stay rehabilitation hospital. Journal of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 28(4), 384-389. https://doi.org/10.1111/jhn.12294 

  6. Jeon, S. Y., & Jung, H. M. (2005). The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on constipation among CV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 135-142. 

  7. Kim, E. H. (2011). Effects of hydration manage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buk University, Daegu. 

  8. Kim, H. R. (2008) Prevalence of constipation among elderl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9. Kim, Y. G., & Bae, H. (2013). The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with aroma oils on constipation in elderly stroke patien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1(5), 883-890. 

  10. Kim, Y. M. (2009). The effects of relieving constipation nursing intervention on constipation and depression of the women elderly patient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1. Kunimoto, M., Nishi, M., & Sasaki, K. (1998). The relation between irregular bowel movement and the lifestyle of working women. Hepatogastroenterology, 45(22), 956-960. 

  12. Lee, C. L., & Kim, S. K. (2011).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constipation groups by self-reported constipa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6(1), 23-36. https://doi.org/10.5720/kjcn.2011.16.1.23 

  13. McMillan, S. C., & Williams, F. A. (198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stipation assessment scale. Cancer Nursing, 12(3), 183-188. 

  14. Mounsey, A., Raleigh, M., & Wilson, A. (2015). Management of constipation in older adults. American Family Physician, 92(6), 500-504. http://www.aafp.org/afp/2015/0915/p500.html 

  15. Nour-Eldein, H., Salama, H. M., Abdulmajeed, A. A., & Heissam, K. S. (2014). The effect of lifestyle modification on severity of constipat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s in nursing homes at Ismailia city, Egypt. Journal of Family Community Medical, 21(2), 100-106. https://doi.org/10.4103/2230-8229.134766 

  16. Park, A. J., Lim, N. Y., Kim, Y. S., & Song, J. H. (2011). Prevalence and risk of constipation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7(1), 57-65. 

  17. Park, J. H., & Kwon, Y. C. (1989).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18. Park, T. N. (2006).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onstipation in Korean elderly - local adaptation of the NGCTM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onstipation in the old adult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3), 315-325. 

  19. Rey, E., Barcelo, M., Jimenez Cebrian, M. J., Alvarez-Sanchez, A., Diaz-Rubio, M., & Rocha, A. L. (2014). A nation-wide study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fecal impaction in nursing homes. PLoS One, 9(8), e10528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05281. 

  20. Song, C. (2005). Management of constipation. Paper presented at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Seoul, Korea. 

  21. Statistical Research Office. (2013). Korean social trends 2013. Seoul: Suk et al. 

  22.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15). Geriatric medicine (pp. 151-162). Seoul: Bummun Education. 

  23. Wald, A., Scarpignato, C., & Kamm, M. A. (2007). The burden of constipation on quality of life: results of a multinational survey.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26(2), 227-236. https://doi.org/10.1111/j.1365-2036.2007.03376.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