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팬덤 양상 비교 연구 -강박형과 히스테리형 주체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fandom of Media Conversion Storytelling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7 no.1, 2017년, pp.79 - 88  

서성은 (한경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관련 팬덤의 속성을 정신분석학의 강박증과 히스테리의 구분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원작각색으로 대표되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은 원작을 통해 거대한 만족을 경험한 주체들로서 각색에 의한 스토리 변형을 쉽게 용인하지 않는 강박적 주체이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은 스토리세계의 결핍을 인지하고, 스스로 결핍을 향유하는 히스테리적 주체이다. 크로스미디어의 원작 팬덤은 원작자의 권위와 원작 스토리세계 안에서 팔루스적 질서를 향유하며, 트랜스미디어의 팬덤은 언어적 질서를 넘어서는 적극적인 직접 체험을 통해 연속적이며 무한한 '다른 향유'를 경험한다. 본 연구는 매체 전환의 양극단에서 나타나는 팬덤의 특성을 강박증과 히스테리의 비교를 통해 규명하기 위한 이론적 입론의 과정이며, 후속연구를 통해 실제 팬덤에 대한 질적 분석을 보강함으로써 매체 전환 팬덤에 대한 총체적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attributes of fandom related to storytelling of media conversion in terms of division of obsession and hysteria from the psychoanalysis. Fandom of crossmedia storytelling represented by adaptation of the original is the subject who experienced a great satisfaction from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서 중요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라캉의 논의에서 ‘강박증 주체’ 혹은 ‘히스테리 주체’란 강박 증상 혹은 히스테리 증상을 가지고 있는 병리적 존재가 아니라 ‘강박증 구조를 가진 주체’, ‘히스테리 구조를 가진 주체’를 의미한다는 사실이다[15]. 따라서 본 연구의 지향점은 문화연구 밖에서 진행된 일련의 연구[16], 즉 팬덤을 일종의 성격 장애, 병리적 차원의 질병을 가진 기이한 집단, 문화적 일탈자로 보는 시선과는 분명하게 다른 것임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매체 전환과 관련된 팬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자 했다. 이에 따라 정신분석학의 신경증 이론을 토대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양극인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 문화가 보여주는 향유적 특성이 각각 강박적 주체와 히스테리적 주체와 구조적 동형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 이에 본고에서는 신경증 이론을 활용하여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양극인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 문화가 보여주는 향유적 특성이 각각 강박적 주체와 히스테리적 주체와 구조적 동형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이론적 입론의 과정이며, 추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실제 팬덤에 대한 질적 분석을 보강함으로써 스토리텔링 팬덤에 대한 총체적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 팬덤 연구와 창작 실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에서 나타나는 팬덤의 특성을 정신분석학의 강박증과 히스테리의 비교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매체 전환과 관련된 팬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자 했다. 이에 따라 정신분석학의 신경증 이론을 토대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양극인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 문화가 보여주는 향유적 특성이 각각 강박적 주체와 히스테리적 주체와 구조적 동형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구분이 어느 한쪽의 우위를 논하려는 것이 아니라 각 팬덤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라는 사실이다.
  • 이에 본고에서는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팬덤, 그 중에서도 팬 문화를 낳는 심리적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이 창작 방식처럼 대조적 양상을 나타내는 것에 주목한다.
  • 이에 본고에서는 신경증 이론을 활용하여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양극인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 문화가 보여주는 향유적 특성이 각각 강박적 주체와 히스테리적 주체와 구조적 동형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이론적 입론의 과정이며, 추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실제 팬덤에 대한 질적 분석을 보강함으로써 스토리텔링 팬덤에 대한 총체적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이란? 본 연구의 목적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관련 팬덤의 속성을 정신분석학의 강박증과 히스테리의 구분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원작각색으로 대표되는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은 원작을 통해 거대한 만족을 경험한 주체들로서 각색에 의한 스토리 변형을 쉽게 용인하지 않는 강박적 주체이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팬덤은 스토리세계의 결핍을 인지하고, 스스로 결핍을 향유하는 히스테리적 주체이다. 크로스미디어의 원작 팬덤은 원작자의 권위와 원작 스토리세계 안에서 팔루스적 질서를 향유하며, 트랜스미디어의 팬덤은 언어적 질서를 넘어서는 적극적인 직접 체험을 통해 연속적이며 무한한 '다른 향유'를 경험한다.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은 국내에서 어떠한 전략으로 간주되는가? 소설이나 연극은 초창기 영화 스토리의 주요 공급원이었으며, 영화에 이어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웹툰 등의 매체가 등장하면서 각색은 보다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이른바 원소스멀티유즈 (OSMU) 전략이라는 이름하에 콘텐츠 생산의 핵심 전략으로 간주되어 왔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각 매체별 스토리 버전 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공개되어 긴밀한 연결을 유도하는 동기식(synchronous)과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공개되어 비교적 느슨한 스토리세계를 구축 하는 비동기식(asynchronous)으로 구분된다[4]. 최근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주 사용되는 리부트 (reboot), 즉 주요 골격이나 핵심 캐릭터를 원작과 공유하되 기존 스토리를 완전히 뒤엎고 전혀 새로운 이야기로 재창조하는 방식이나, 속편으로 분류되는 시퀄(sequel), 원작 이전의 일을 새로운 스토리로 풀어내는 프리퀄(prequel), 원작에서 파생된 독립적인 이야기를 다루는 스핀오프(spinoff)등은 트랜스미디어 중에서 비동기식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ye-jin Jeong, Sedaily, 2016.8.2 http://www.sedaily.com/NewsView/1KZZI3PRJ5 

  2. , KOCCA, 2016.6. vol.1. 

  3. Philips, Andrea, A Creator's guide to Transmedia Storytelling: how to captivate and engage audiences across multiple platforms, Mc Graw Hill, 2012, pp.18-19. 

  4. Aarseth, Espen, "The Culture and Business of Cross-Media Productions, Popular Communic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and Culture, Vol.4 No.3, 2006. 

  5. Seong-eun Seo, The Study on Media Conversion Storytelling, Ewha Womans Univ., a thesis for a doctorate, 2015.2. 

  6. Yun-gyung Cho,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Prefix "Trans-": Focusing on Conceptual Consideration for Trans-Humanities,Trans-Humanities, Vol.3 No.3, Ewha Institute for the Humanties, 2010. 

  7. Gwang-chul Shin, Transmedia & Content, Grobla Korean Language & Literature Conference Proceeding, No.11, 2011. 

  8. Yong-ho Choi, Trans-Semiosis and Reading - focusing on Don Quixote, Korean Literature Theory & Criticism Journal, Vol.44 No.0, Korean Literature Theory & Criticism Society, 2009. 

  9. Hye-won Han, Seung-Hee Nam, A Study on Storytelling Structure of Trans-media Contents-Focus on the LOST Alternative Reality Game, Korean Humanities Content, Vol.15 No.0, Korea Humanities Content Society, 2009. 

  10. Dong-Hee Shin, Hee-Kyung Kim, A Study of Transmedia Contents : Storytelling and Conceptualiza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Journal,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0. 

  11. Gyong-ran Jeon,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Contents Textuality and Usage, The Korea Contents Society Journal, Vol.10 No.9, Korea Contents Society, 2010. 

  12. Je-sang Yu, A Study of Transmedia and User participation, Grobal Culture Content, Grobal Culture Content Society, 2015. 

  13. Dong-eun Lee, Meta Storytelling & Character Storytelling Model, Cartoon & Animation Studies,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2016.3. 

  14. Jeremy D, Holden, trans. by Gyung-sik Lee, Second That Emotion, booksonwed, 2013. 

  15. Dor, Joel, trans. by Jun-gi Hong, Structure et perversions, anankebook, 2005. 

  16. Mark Duffett, trans. by Su-jeong Kim, Understanding Fandom, Hanulmplus, 2016. pp.136-150. 

  17. vol.07, KOCCA, 2016.9. 

  18. Tae-young Won, sisapres, 2016.7.29.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b/156060 

  19. Lachaud, Denise, trans. by Jun-gi Hong, L'enfer du devoir, anankebook, 2007. 

  20. Na-gyung Choi, OSEN, 2014.11.5 http://osen.mt.co.kr/article/G1109999970 

  21. Sang-heon Han, The Formation of Science Fiction Literature Field and Cultural Practice of Fandom, Chungnam Univ., a thesis for a doctorate, 2012. 

  22. Hutcheon, Linda, A Theory of Adaptation, Routledge, 2013. 

  23. Beom-seok Lee, A Q Methodological Analysis of the Audience Perception on TV Drama of Adapted version, Seogang Univ., thesis for a doctorate, 2009, pp.71-74. 

  24. Sang-jun Gang, sisainlive, 2014.12.12.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85 

  25. Min-young Lee, yeongnamilbo, 2016.3.4.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60304.010400836190001 

  26. Seung-ho Woo, Structures and desire of obsessional neurosis : analysis of Michael Haneke's film according to lacanian theory, Honkik Univ. a master's thesis, 2013, p.28 

  27. Jun-gi Hong, Oedipus Complex: the sex of man, the sex of woman, anankebook, 2005. pp.170-180. 

  28. Dowd, Tom, Niederman, Michael, Fry, Michael, Steiff, Josef, Storytelling Across Worlds: Transmedia for Creatives and Producers, Focal Press, 2013. p.45. 

  29. Jenkins, Henry, Convergence Culture, vizandbiz, 2006, p.43. 

  30. Pratten, Robert, Getting Started in Transmedia Storytelling: A Practical Guide for Beginners. CreateSpace, 2011., p.2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