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미기록 식물: 갯톱풀(국화과)
First record of Achillea alpina L. subsp. pulchra (Koidz.) Kitam. (Asteraceae) in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7 no.2, 2017년, pp.112 - 118  

선은미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임형탁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혁진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손동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이강협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최경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화과 톱풀속의 미기록 식물인 갯톱풀(Achillea alpina L. subsp. pulchra (Koidz.) Kitam.)을 발견하여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갯톱풀은 일본 특산으로 홋카이도 해안가에 자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경상남도 울진군 일대의 해안가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갯톱풀은 엽연이 비교적 고른 치아상거치 또는 예거치이고, 잎과 총포에 털이 성기어 다른 톱풀속 식물들과 쉽게 구별된다. 국명은 미기록 식물의 자생지를 고려하여 '갯톱풀'이라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그림도해,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hillea alpina L. subsp. pulchra (Koidz.) Kitam., an unrecorded sub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chillea of Asteraceae, was discovered and is illustrated here. It is known as an endemic species of Hokkaido, Japan, but we discovered it along the seashore at Uljin in Gyeongsangbuk-do, Korea. Hav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Cartilaginous leaf teeth. G. Bracts of involucre and palea (rightnost). H.
  • Bracts of involucre and palea (rightnost). H. Ligulate floret and involucral bract. I.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Davis, P. H. 1975. Flora of Turkey and the East Aegean Islands. Vol. 5. Edinburgh University Press, Edinburgh, 890 pp. 

  2. Ehrendorfer, F. and Y.-P. Guo. 2006. Multidisciplinary studies on Achillea sensu lato (Compositae-Anthemideae): New data on systematics and phylogeography. Willdenowia 36: 69-87. 

  3. El-Shazly, A. M., S. S. Hafez and M. Wink. 2004. Comparative study of the essential oils and extracts of Achillea fragrantissima (Forssk.) Sch Bip. and Achillea santolina L. (Asteraceae) from Egypt. Pharmazie 59: 226-230. 

  4. Guo, Y.-P., J. Saukel, R. Mittermayr and F. Ehrendorfer. 2005. AFLP analyses demonstrate genetic divergence, hybridization, and multiple polyploidization in the evolution of Achillea (Asteraceae-Anthemideae). New Phytologist 166: 273-290. 

  5. Hara, H. 1938. Preliminary report on the Flora of southern Hidaka, Hokkaido (Yezo) XXIV. Botanical Magazine Tokyo 52: 1-8. 

  6. Im, R. J. 1999. Flora Coreana Vol. 7 (Asteraceae).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136-145. 

  7. Koyama, H. 1995. Asteraceae (Compositae). In Flora of Japan, IIIb, Angiospermae, Dicotyledoneae, Sympetalae (b). Iwatsuki, K., T. Yamazaki, D. E. Boufford and H. Ohba (eds.), Kodansha, Tokyo. Pp. 77-78. 

  8. Kitamura, S. 1968. Compositae of Southeast Asia and Himalayas I (in Japan). Acta Phytotaxonomica et Geobotanica 22: 1-19. 

  9. Koidzumi, G. 1918. Contributiones ad florum Asiae orientalis (Continued from Vol. XXXI). Botanical Magazine Tokyo 32: 53-63. 

  10. Saukel, J., M. Ancev, Y. P. Guo, A. Vitkova, A. Nedelcheva, V. Goranavo, A. Konakchiev, M. Lambrou, S. Nejati, F. Rauchensteiner and F. Ehrendorfer. 2003. Comments on biosystematics of Achillea (Asteraceae-Anthemideae) in Bulgaria. Phytologia Balcanica 9: 361-4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