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형태와 DNA 바코드에 근거한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의 보고, 미국잔디갈고리(콩과)
New record of an alien plant, Desmodium paniculatum (Fabaceae), in Korea based on a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DNA barcoding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51 no.2, 2021년, pp.133 - 140  

진동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심선희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서화정 (대전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진석 (금수강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일본에서는 외래식물로 알려진 미국잔디갈고리(Desmodium paniculatum)가 국내의 화성시와 대전시에서 발견되었다. 본종은 다년생 초본이며, 협과는 4-5개의 소절과로 연결되고, 소절과 사이의 배축면이 완만하게 좁아지는 점에서 국내의 근연분류군들과 구분된다. 미국잔디갈고리는 강변과 도로변에서 자라고 있어, 하천정비나 도로 공사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계통수상에서 한국산 미국잔디갈고리는 일본산 개체와 단계통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잔디갈고리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기재와 사진, 도해, 분포 위치에 대해 보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modium paniculatum (Fabaceae), native to North America and an alien plant in Japan, was newly found in Hwaseong-si and Daejeon-si, Korea.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Korean-related taxa based on certain morphological features. Specifically, it is a perennial herb, with a 4-5 jointed loment...

주제어

참고문헌 (23)

  1. Choi, B.-H. 2007. Desmodium Desv.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611-612. 

  2. GBIF Secretariat. 2019. Desmodium paniculatum DC. Retrieved Mar. 10, 2021, available from https://www.gbif.org/species/2967543. 

  3. Isely, D. 1983. The Desmodium paniculatum (L.) DC. (Fabaceae) complex revised. SIDA, Contributions to Botany 10: 142-158. 

  4. Isely, D. 1998. Native and Naturalized Leguminosae (Fabaceae)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Monte L. Bean Life Science Museum, Brigham Young University, Provo, UT, 1007 pp. 

  5. Jabbour, F., M. Gaudeul, J. Lambourdiere, G. Ramstein, A. Hassanin, J.-N. Labat and C. Sarthou. 2018. Phylogeny, biogeography and character evolution in the tribe Desmodieae (Fabaceae: Papilionoideae),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New Caledonian endemic gener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18: 108-121. 

  6. Jin, D.-P., J.-W. Park, J.-S. Park and B.-H. Choi. 2019. DNA barcode and phylogenetic study of the tribe Desmodieae (Fab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9: 224-239. (in Korean) 

  7. Kajita, T., H. Ohashi, T. Nemoto, C. D. Bailey and J. J. Doyle. 1996. Polyphyly of the legume tribe Desmodieae: Evidence from the chloroplast genom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3: 165-166. 

  8. Katoh, K. and D. M. Standley. 2013. MAFFT multiple sequence alignment software version 7: Improvements in performance and usability.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0: 772-780. 

  9.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16: 111-120. 

  10. Lee, J.-Y., M. J. Kim, C.-K. Oh and B.-H. Choi. 2012. First record of Hylodesmum laxum (Fabace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2: 207-210. 

  11.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 pp. (in Korean) 

  12. Li, J., X. Lin, G. Tang, R. Li, D. Wang and S. Ji. 2019. Pharmacognostical study of Desmodium caudatum. Anais da Academia Brasileira de Ciencias 91: e20180637. 

  13. Mito, T. and T. Uesugi. 2004. Invasive alien species in Japan: The status quo and the new regulation for prevention of their adverse effects.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8: 171-191. 

  1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I. Plants, Fungi, Algae, Prokaryotes. Designzip, Seoul, 113 pp. (in Korean) 

  15. Ohashi, H. 1999. The genera, tribes and subfamilies of Japanese Leguminosae. The Science Reports of the Tohoku University, 4th Series Biology 40: 187-268. 

  16. Ohashi, H. 2005. Desmodieae. In Legumes of the World. Lewis, G., B. Schrire, B. Mackinder and M. Lock (eds.), Royal Botanic Gardens, Kew. Pp. 432-445. 

  17. Ohashi, H. 2013. New combinations in North American Desmodium (Leguminosae: tribe Desmodieae). Journal of Japanese Botany 88: 166-175. 

  18. Ohashi, H. and R. R. Mill. 2000. Hylodesmum, a new name for Podocarpium (Leguminosae). Edinburgh Journal of Botany 57: 171-188. 

  19. Ohashi, H. and K. Ohashi. 2018. Grona, a genus separated from Desmodium (Leguminosae tribe Desmodieae). Journal of Japanese Botany 93: 104-120. 

  20. Ohashi, H., R. H. Polhill and B. G. Schubert. 1981. Desmodieae. In Advances in Legume Systematics. Part 1. Polhill, R. M. and P. H. Raven (eds.), Royal Botanic Gardens, Kew. Pp. 292-300. 

  21. Ohashi, K., H. Ohashi, T. Nemoto, T. Ikeda, H. Izumi, H. Kobayashi, H. Muragaki, K. Nata, N. Sato and M. Suzuki. 2018. Phylogenetic analyses for a new classification of the Desmodium group of Leguminosae tribe Desmodieae. Journal of Japanese Botany 93: 165-189. 

  22. Shimizu, T. 2003. Desmodium Desv. In Naturalized Plants of Japan. Shimizu, T. (ed.), Heibonsha Ltd., Tokyo. Pp. 106-107. (in Japanese) 

  23. White, T. J., T. Bruns,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Innis, M. A., D. H. Gelfand, J. J. Sninsky and T. J. White (eds.),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 Pp. 315-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