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안 서촌 마을비보숲의 14년간(2002~2016)의 식생구조 변화
The Vegetation Structure Change of Seochon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in Jinan County during 14 Years(2002~2016)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3, 2017년, pp.30 - 40  

박재철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정경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토목공학과) ,  이석우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토목공학과) ,  김영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 마을비보숲의 사례를 통해서 비보숲의 식생구조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는 데 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은 마을비보숲이 진안지역에 잔존하고 있어서, 마을비보숲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진안지역에서 자연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서촌 마을비보숲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천주교 신자들이 피신하기 위해 1800년대 형성된 마을인 서촌 마을은 마을을 조성하면서 피신을 위해 숲의 다른 부분들은 개간하고, 개발하면서도 수구부분의 자연림의 잔존에서 출발하여 마을 비보숲을 보전하여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니터링을 위한 식생 조사는 2002년과 2007년에 이어 2016년에 이루어졌다. 현장조사를 통해 브라운 블랑케의 방형구법에 의한 우점도와 군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종다양성, 종구성, 층위구조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결과, 인간의 간섭이 줄어들면서 마을비보숲의 구조와 기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연 천이를 통해 다층구조가 더 안정되고, 종다양성이 더 증가하고, 종구성의 질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of a complementary forest through monitoring a natural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Because the most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are located in the Jinan of all counties of South Korea, the naturally-managed Seochon co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본의 사토야마도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보전하는 것을 볼 때, 한국의 마을 비보숲은 생물 종다양성 유지를 위한 소중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안의 마을숲 중에서 대표적으로 자연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서촌 마을 비보 숲을 2002년과 2007년에 이어 9년 후인 2016년 모니터링을 통하여 인위적인 간섭을 최소화하였을 때 마을비보숲이 자연천 이에의해 식생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통해 바람직한 마을비보숲 복원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한편, 마을비보숲의 형성 기원과 천이과정을 구성종을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진안의 마을숲 중에서 대표적으로 자연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는 서촌 마을 비보 숲을 2002년과 2007년에 이어 9년 후인 2016년 모니터링을 통하여 인위적인 간섭을 최소화하였을 때 마을비보숲이 자연천 이에의해 식생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통해 바람직한 마을비보숲 복원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한편, 마을비보숲의 형성 기원과 천이과정을 구성종을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귀면 서촌 숲이 모니터링에 선정된 이유는? 마을 비보숲 모니터링을 위하여 Figure 1과 같이 단위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가장 많은 수의 마을비보숲이 잔존하고 있는 진안지역의 마을 비보숲 중에서 마이산 주변 비보의 기능이 충실하게 보전되어 있고, 자연적으로 관리되는 대표적인 숲으로 2002과 2007년 5년간에 걸쳐서 모니터링한 바 있는 대상지로, 그후 9년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Figure 2, 3과 같은 부귀면 서촌 숲을 선정하였다. 대상지는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북 진안군 부귀면 신정리 서촌 마을 비보숲이다.
서촌 마을 비보숲의 유래는? 기록을 통해 추정해 보면, 약 150년 전에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을이 형성되기 전 이 지역은 인간의 간섭이 없이 자연천이에 맡겨지면서 극상수종으로 개서어나무가 출현하였는데, 천주교 신자들이 탄압을 피해 이 지역에 들어오면서 다른 주변 산지는 개간이나 조림을 통해 이용하였으나, 피난을 위해 필수적이었던 마을 비보숲은 남겨서 보전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마을은 막다른 오지의 산자락에 만들어진 10여호 정도의 작은 마을로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비보숲에 의해서 온전히 가려져 있다.
서촌 마을 비보숲의 주소는? 서촌 마을 비보숲은 행정리로는 전북 진안군 부귀면 신정리 서촌 마을에 속한다. 진안 지역에 천주교 신자들의 신자촌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은 1866년 병인박해 이후였으며, 대부분 전라도의 다른 지역에서 이주한 사람들로서 주로 이웃하고 있는 고산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Y. H., S. J. Lee, G. M. Shin and E. J. Park(2007) The vegetation and flora of village groves in Paengseong-eup, Pyongtaek City, Gyonggi- Do, Korea. Kor. J. Env. Eco 21(6): 515-525. 

  2. Choi, S. J. and C. H. Oh(2014) A study on type of village forest and conservation measures in Cheongsando. Kor. J. Env. Eco. Proceeding, 2: 51-52. 

  3. Gil, J. H.(2016) Research on Prototype of Oeamli Traditional Folk Village, Master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Science of Life and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4. Han, B. H., J. W. Choi, T. H. Noh and J. S. Kim(2012)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change for twenty four years(1986-2010) of Seunghwanglim(Forest), Wonju. Kor. J. Env. Eco 26(5): 741-757. 

  5. Hong, S. K. and J. E. Kim(2007) Village forests of estuary in west sea -Forested landscape management for conserving resort area.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29: 441-473. 

  6. Jo, H. K., O. H. Seo, I. H. Choi and T. W. Ahn(2011) Growth environments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Pinus densiflora village groves in western Gangwon Province1a Korea. Kor. J. Env. Eco 25(6): 893-902. 

  7. Kang, G. W.(2013) Growth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for the Pinus densiflora Forest for Sugumagi of Unmun Temple, Cheongdo-gun, Master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University of Seoul. Korea. 

  8. Kang, W. M., I. S. Koh, C. R. Park and D. W. Lee(2012) An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fragmentation and morphology in surrounding landscapes of maeulsoops and Jinan-gun. Kor. J. Env. Eco 26(6): 941-951. 

  9. Kim, D. W., J. S. Kim, S. D. Lee and C. Lee(2014)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david hemiptelea and dwarf elm forest of Jusagol Village in Yeongyang. Kor. J. Env. Eco Proceeding 1: 41-42. 

  10. Kim, H. B., D. S. Jang and B. J. Park(2008) A study on the course of restoration of traditional village grov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2): 42-50. 

  11. Koh, I. S.(2006) Controls of a Bibosoop Over Wind Speed and Evaporation in a Korean Agricultural Area: Field Observation and Modeling at Songmal-ri, Icheon, Gyonggi-do, Master Thesis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2. Lee, S. D., M. J. Kim and H. K. Kang(2016)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mulgeun fish shelter forest in the southern coa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1): 118-128. 

  13. Lim, D. O., H. W. Choi and J. J. Jang(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conservation of the Jeongdori Windbreak Forests on Wando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4(1): 69-77. 

  14. Lim, E. J., S. D. Lee and M. J. Kim(2013) Management plan for humanistic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weol Village Forest in Tongyoung1a Korea. Kor. J. Env. Eco 27(1): 85-98. 

  15. Lim, J. C.(2012)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Maeul-Soop in Korea, Ph. D. Thesis of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sity. Korea. 

  16. Lim, W. H.(2013) Studies on the investigation into original form of natural monument No. 404 Orijangnim in Jacheon-ri, Yeongche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83-94. 

  17. Park, J. C.(1998) A study on the groves for making enclosed village in rural human settlement circ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3): 152-161. 

  18. Park, J. C.(2000) Relationship among village, village grove of Jinan-Eub region and prospected landscape about Mt. Mai.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5(5): 309-316. 

  19. Park, J. C. and J. H. Rho(2001) A review on enclosing groves of the village which standing stone of penis form is existing in Sunchang region -Centered on enclosing groves of Palwang and Taechon Village. Rural Planning 7(2): 33-40. 

  20. Park, J. C., G. S. Jung, Y. S. Gim and H. H. Jang(2002) Comparison of the village grov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mountainous settlement region - Centered on Jinan and hamyang reg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1): 11-17. 

  21. Park, J. C., G. S. Jung and H. H. Jang(2003) Analysis on ground temperature arrangement function of Jinan Hacho Village Grove, Rural Planning 9(4): 35-41. 

  22. Park, J. C. and Y. W. Chun(2004) Shelterbelt effect on wind speed eeduction at gosapo complementary grove at Buan. Jour. Korean For. Soc 93(5): 325-330. 

  23. Park, J. C., M. J. Kim, J. J. Kim and W. J. Jung(2004)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complementary village grove -Centered on on Dubang Village Grove in Wanju-gu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13-18. 

  24. Park J. C. and S. H. Lee(2014) Village Forest in Jinan, Culture Institute of Jinan. 

  25. Park, J. C. and S. Y. Han(2009) The monitoring of complementary village grove -Case study on complementary village groves of Seochon and Weonyeonjang in Jinan Coun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3): 9-17. 

  26. Park J. C.(2010) Background about establishment and remain of complementary village grove around Mai mountai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5(3): 209-218. 

  27. Shin, S. S., J. H. Rho and H. K. Kim(2008) A study on the seeing of prototype landscape and vegetational restoration design of the Bangdong village groves in Imsil-gu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3): 78-86. 

  28. Song, D. O.(2011)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astal Groves Type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Korea, Ph. D.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Korea. 

  29. Sung, D. H.(2005) A study on the ecological idea and practice of feng-shui. Journal of Eastern studies 50: 503-534. 

  30. Yoon, J. I. and D. H. Sung(2012) A study on the BiBo forest-case study of Goseong-Gun villagec forest from Feng-shui perspectives.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tudies 13(2): 213-246. 

  31. http://jin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jinan&dataType0206 

  3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68571&cid46686&categoryId46694 

  3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7784&cid40942&categoryId32694 

  3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5382&cid46686&cate goryId466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