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시적 원형경관 해석을 통해 본 강진 백운동 원림의 복원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toration for Baegun-dong Garden in Gangjin through a Diachronic Interpretation of the Prototype Scener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3, 2017년, pp.116 - 128  

하혜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학과)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백운동 원림의 승경을 읊은 연작시(連作詩)로서 이담로(李聃老, 1627~1701)의 "백운동 8영", 송익휘(宋翼輝, 1701~?)의 "백운동 10수",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백운동 12경"과 이시헌(李時憲, 1803~1860)의 "백운동 14경"에서 시원적 원형경관과 시대적 원형경관의 구성요소들을 추출, 통합하여 백운동 원림의 통시적 원형경관을 해석하였다. 이를 복원된 현장과 비교 분석한 후 향후 복원의 방향을 제안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운동 원림의 통시적 원형경관은 옥판봉 아래 계곡에 별서를 만들고, 동백나무 숲길, 이담로의 '백운동' 바위글씨, 정약용이 붉은 글씨를 썼던 '창하벽', 폭포와 단풍나무숲, 오동나무가 어우러진 모습이었다. 별서 담장 밖에 홍매화숲, 소나무숲, 왕대나무숲이 있고, 옥판봉이 조망되는 정선대가 있었다. 별서 마당에는 취미선방, 죽각, 평상을 놓고, 연꽃이 심겨진 방지와 곡수거를 조성하였으며, 화계에 모란, 영산홍, 국화, 난초류, 수선화를 심고, 학을 키웠다. 둘째, 백운동 원림의 통시적 원형경관과 복원 현장을 비교한 결과, 백운동 계곡의 수원 확보, 죽각 복원과 '창하벽' 바위글씨의 각인 및 정선대에서 옥판봉을 조망할 수 있도록 수목 관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더불어 홍매화, 소나무, 오동나무, 영산홍, 국화, 난초류, 수선화, 연꽃 등의 식재를 보강하여 다채로운 계절 경관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통합 안내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riginal scenery of Baegun-dong Garden in Gangjin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reconstructed site to suggest directions for restoration in the future. The diachronic prototype scenery of the Baegun-dong Garden was derived by integrating the elements of the original and contempo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구조물의 복원을 통해서 백운동 원림의 골격이 잡혀 있으나, 여기에 식재경관을 세심하게 조성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방문자가 진정성 있는 원형경관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효율적 정보 전달을 위한 통합 안내시스템이 정비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또한 입향조 이담로의 인식과 함께 「백운동 14경」에서 ‘백운동’이 하나의 경으로 선정된 사실에 근거하여 백운동 원림 복원 사업의 물리적 범위를 원림에 인접한 일대 영역까지 확장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이렇게 대중의 관심이 증대하고 있지만, 백운동 원림의 복원 사업에 관한 모니터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운동 원림의 복원 결과를 점검하고, 원림의 시대적 경관 변천을 수용하는 통시적 관점으로 원형경관을 해석하여 원림의 복원 시점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지닌다.
  • 즉, 본 연구의 목적은 통시적 원형경관 해석을 통해서 백운동 원림의 향후 복원 방향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강진 백운동 원림의 바람직한 복원에 기여하고, 나아가 전통원림의 원형경관 복원 시점의 선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현재까지 백운동 원림은 19세기 초반,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가 그린 『백운동도(白雲洞圖)』와 다산 정약용의 백운동 12경을 기준으로 삼고 복원되었으나, 본 연구는 원림 조성이 시작된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시간의 흐름을 수용한 결과로서 ‘통시적 원형경관’의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통시적 원형경관 해석을 통해서 백운동 원림의 향후 복원 방향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강진 백운동 원림의 바람직한 복원에 기여하고, 나아가 전통원림의 원형경관 복원 시점의 선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현재까지 백운동 원림은 19세기 초반,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가 그린 『백운동도(白雲洞圖)』와 다산 정약용의 백운동 12경을 기준으로 삼고 복원되었으나, 본 연구는 원림 조성이 시작된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시간의 흐름을 수용한 결과로서 ‘통시적 원형경관’의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전통조경은? 세계유산협약(1972)이 채택된 이후, 우리나라의 세계유산등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세계문화유산은 과거의 흔적이자 역사의 산물로서 전통조경과 관련하여 창덕궁(1997), 경주역사유적지구(2000), 조선왕릉 40기(2009), 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 양동, 2010), 남한산성(2014)이 등록되었으며, 그밖에도 많은 전통조경공간들이 세계유산 등재 잠정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우리의 전통조경공간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게되면서 고(古)정원의 복원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과거에 진행된 원형경관 복원에 관한 실체와 논리의 모순이 존재하는 사례는? 또한 과거에 진행된 원형경관 복원에 관한 실체와 논리의 모순이 발견되는데, 소쇄원의 ‘위태롭지 않은’ 형태로 복원된 ‘투죽위교(透竹危橋)’와 기와를 얹은 다산초당(茶山草堂)을 대표 사례로 꼽을 수 있다(Ahn and Lee, 2014). Rho, et al.
특정 대상이 처음 발생한 시점에서 보는 관점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한 정의인가? (2009)은 첫째, 특정 대상이 처음 발생한 시점에서 보는 관점[original type], 둘째, 인류의 시대와 문화가 바뀌어도 영속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이상적이며 본질적 대상이라고 보는 관점[archetype], 마지막으로 시대마다 구분되는 표본으로서 원형경관이 존재할 것이라고 보는 관점[prototype]으로 구분하였다9). 이에 대하여 Lee(2016)는 첫 번째 유형은 원형의 시원성을 중요하게 생각한 정의이며, 두 번째 유형은 통시성을 중요시한 정의, 세 번째 유형은 시대성을 중요시한 정의라고 언급하고, 명승에 대한 원형 개념 적용의 틀을 시원성, 통시성, 시대성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원형경관의 관점을 시원적 원형경관, 시대적 원형경관, 통시적 원형경관이라는 세 가지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G. B. and W. H. Lee(2014) A proposition on landscape restoration of Joseon Dynasty's Palace Garde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10-20.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1983) Soswaewon Garden Conservation Maintenance Planning and Design Report.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9) Guidelines for Cultural Properties Guidebooks and Improvement Casebooks.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0) Cultural Heritage Public Design Guidelines. 

  5. Hong, H. S.(2005) Characteristics and building background of Namganjeongsa(南澗精舍) and its landscape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1): 1-13. 

  6. Jeong, M.(2015) Baekwoondong Gangjin, Paju: Geulhangari. 

  7. Jung, W. J., L. C. Oh and W. K. Sim(2013) Study on the prototype of the rear garden in Changdeok Palace through Gang Sehwang's Record of strolling with king in the forbidden garden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87-97. 

  8. Kang, Y. E., D. W. Choi, S. H. Hong, Y. H. Jung, S. B. Kim and S. B. Im(2009) A study on the meaning and the factors of formation of the prototypal landscap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4): 33-42. 

  9. Kim, Y. M.(2005) The study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restoration of the Whasung local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3): 50-60. 

  10. Kim, H. G. and H. S. So(2012) Cranes(Grus japonensis) adopted as a traditional factor in landscaping and gardening cul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3): 57-67. 

  11. Kim, S. J., H. J. Jung and W. K. Sim(2006) Basic studies on the Baekwoondong Byeolseo Garden in Gangjin County, Chonnam -With a special reference to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4(4): 51-61. 

  12. Kim, Y. M.(2007) A preliminary study of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inciples of traditional garde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2): 72-85. 

  13. Kim, Y M., Y. S., S. C. Chin and J. S. Jang(2004)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vegetation landscape around the Whaseong local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4): 39-53. 

  14. Lee, W. H.(2016) Problems of application of prototype concept in natural cultural properties. Cultural Heritage 49(1): 166-177. 

  15. Lee, W. H., J. W. Kim, D. H. Kim and H. I. Ahn(2015)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garden restor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pring Conference 16-19. 

  16. Lim, E. J. and H. S. So(2013) Landscape gardening culture in late Joseon Dynasty depicted in 'Ahoi-do' painting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46-57. 

  17.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2015) Scenic Site No. 40 Soswaewon Garden, Damyang: Study on the Traditional Space Creation Technique. 

  18. Park, E. H., W. G. Jang, M. G. Youn and J. K. Lee(2014) A study on prototype landscape of Dosangugok -Focused on valley 4 Boonche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2): 95-105. 

  19. Park, Y. J., H. G. Kim, J. H. Rho, H. O. Kim and Y. B. Goh(2011)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ater space and scenic spot of Baegundong Wonlim in Gangjin Aaun Villag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2): 99-107. 

  20. Rho, J. H., S. S. Shin and Y. J. Park(2008) The prototype scenery research of Dasanchodang represented in Dasando(茶山圖)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2): 31-41. 

  21.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2011) Academic research service to confirm the location and type of Seonnongdan, The University of Seoul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2. Daily News, 2015. 02. 03.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51750) 

  23. Gangjin Daily, 2016. 11. 10. (http://www.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925) 

  24. Gangjin Newspaper, 2015. 06. 14. (http://www.gjon.com/news/article-View.html?idxno32669) 

  25. OhmyNews, 2015. 06. 03. (http://www.ohmynews.com/NWS_Web/ View/at_pg.aspx?CNTN_CDA0002114985&CMPT_CDP0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