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강의 평가도구 개발
Developing a Student Evaluation Instrument for College Teach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187 - 196  

김정겸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각 대학에서는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강의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대학강의 평가가 수업개선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환경의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대학교육이 면대면 교육과 온라인 교육을 병행하는 혼합학습 환경으로 변환함에 따라 이를 반영한 타당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이 요구되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의 C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와 본검사의 2차례에 걸친 검사문항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1차 자료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밝혀진 강의계획과 준비 등 10개 영역에 47문항으로 이루어진 측정도구를 가지고 수행되었다. 2차 자료는 예비검사 자료 분석을 통해 확정한 문항을 사용하여 본 검사의 타당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계획과 준비, 학습자료, 학습과제, 교수매체, 온라인 강의, 시험과 성적 등 6개 영역의 20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의 강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대학 교육 환경을 반영한 강의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using lecture evaluation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most universities need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transform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to a mixed learning environment blending face-to-face education and online education necessitates the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대학에서는 면대면 교육과 함께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이들 환경을 고려한 강의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고 있는 혼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대학에서의 강의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대학 수업의 질 관리 준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071로 대체로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측정모형이 대학 강의평가를 설명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강의평가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면대면 교육과 온라인 교육을 병행하는 혼합학습환경을 반영한 평가 문항 개발 및 실시가 요구됨에 따라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의 C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검사문항의 타당화가 이루어졌다.
  •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강의평가 도구의 타당화를 위해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수행하였다. 예비검사를 위한 1차 자료는 문항분석을 통해 문항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문항난이도와 변별도, 문항 제거 시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의평가의 목적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강의평가의 목적은 연구자들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체로 형성적인 목적과 총괄적인 목적으로 분류하여 논의된다. 강의평가의 형성적인 목적이란 강의평가를 통하여 수업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 및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하며, 강의평가의 총괄적인 목적이란 강좌의 재설강, 교수의 승진, 강사의 재계약, 교원의 업적평가 등의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강의평가가 거의 모든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과목 운영과정에서 강의를 평가하거나 학기가 종료된 후 강의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강의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수 개별 차원에서 시행해 오던 강의평가가 1997년 이후 대학 종합평가의 평가항목 안에 강의 평가가 포함되면서 거의 모든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다. 최근 각 대학들에서 실시하고 있는 강의평가 결과는 교수 과정의 개선 뿐 아니라 교수 업적평가와 우수교육 교수 선발 등에 활용하고 있다.
Marsh가 제안한 강의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나타나는 평가 영역 9가지는 무엇인가? Marsh[10][11]는 SEEQ(Student's Evaluation of Educational Quality)라는 강의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평가 영역을 9가지로 제안하였다. Marsh가 제안한 평가 영역은 학습의 성과와 가치, 교수자의 열의, 수업의 조직과 명확성, 그룹 간 상호작용, 교수자-학습자의 관계 형성,학습 내용의 범위, 시험과 성적, 과제, 학습량과 난이도가 있다. 구체적인 평가영역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I. Han, "Research on Student Ratings of University Teaching: Analysis of Determinants related to Professor, Student, and Clas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19, no. 3, pp. 247-266, 2001. 

  2. J. C. Ory, "Changes in evaluating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Theory into Practice, vol. 30, no. 1, pp. 30-36, 1991. DOI: https://doi.org/10.1080/00405849109543473 

  3. H. K. Wachtel, "Student evaluation of college teaching effectiveness : A brief review",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vol. 23, no. 2, pp. 191-211, 1998. DOI: https://doi.org/10.1080/0260293980230207 

  4. S. S. Kim, "Optimizing measurement conditions for students' evaluation of e-learning system using generalizability study",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vol. 19, no. 1, pp. 305-322, 2006. 

  5. J. G.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Lectur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the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7, no. 6, pp. 247-274, 2013. 

  6. H. H. Jeong, "A study on students awareness of course evaluation: focusing on integrity of responsive attitudes and satisfa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vol. 28, no. 3, pp. 443-470, 2016. 

  7. K. Bain, What the best college teachers do.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8. S. I. Han, H. J. Kim, J. Y. Lee, "A Comprehensive Study of Korean Students' Evaluations of University Teach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3, no. 3, pp. 379-403, 2005. 

  9. H. W. Marsh, J. U. Overall, "Validity of Student's Evaluation of Teaching Effectiveness: Cognitive and Affective Criteria",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72, no. 4, pp. 468-475, 1980. DOI: https://doi.org/10.1037/0022-0663.72.4.468 

  10. H. W. Marsh, "SEEQ: A reliable, valid, and useful instrument for collecting student's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2, pp. 77-95, 1987. DOI: https://doi.org/10.1111/j.2044-8279.1982.tb02505.x 

  11. H. W. Marsh, "Students'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Research findings, methodological issu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 pp. 253-388, 1987. DOI: https://doi.org/10.1016/0883-0355(87)90001-2 

  12. H. Narang, "Evaluating Teaching Effectiveness. A Proposal", ERIC, ED349906, 1992. 

  13. J. A. Centra, "The use of the teaching portfolio and student valuations for summative evaluation", Journal of High Education, vol. 65, no. 5, pp. 17-24. 1994. DOI: https://doi.org/10.2307/2943778 

  14. U. H. Chang, "Evaluation System of Instruction in College : Practical Problems and Improving Practices", Education Review, vol. 13, no. 4, pp. 91-103, 1993. 

  15. Y. W. Choi, Constructing Items for Course Evaluation.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4. 

  16. D. Cheung, "Developing a student evaluation instrument for distance teaching", Distance Education, vol. 19, no. 1, pp. 23-42, 1998. DOI: https://doi.org/10.1080/0158791980190104 

  17. M. S. Cho, "Operation Condition of Cyber Lectures and Students' Estimation in OCU and Cheju University", Social Development Review, 18, pp. 219-263, 2003. 

  18. J. H. Im, & I. S. Jeong, "A Study on the Student Satisfaction of Web-Base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Broadcasting, vol. 5, no. 2, pp. 151-175,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