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f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rse evaluation' scale for learner-centered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3 no.1 = no.51, 2011년, pp.13 - 22  

박성미 (동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rse evaluation' scale for learner-centered in university. The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1,567 university students's responses for item and scale quality analyses, and collected 2,539 university students's for ite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척도를 개발하여 대학교육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시사점과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강의평가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극복하고 대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는 무엇이고, 이는 어떤 구인으로 구성되어있는가를 검토한 후 그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함께 학습자 중심의 교육활동에 대한 강의평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수자의 전문성과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반영한 교수-학습 활동의 상호작용 과정을 측정하는 문항을 구성하고자 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교수설계 관점에서 교육내용이 잘 선정 및 조직화된 수업을 평가하는 영역, 교수-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간 긍정적인 수업 분위기가 조성되고, 이를 위한 적절한 수업매체의 활용 등을 포함한 수업활동 영역,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조력하며 이를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영역 등이 측정의 구인으로 고려될 수 있다.
  • 이러한 시사점과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강의평가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극복하고 대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는 무엇이고, 이는 어떤 구인으로 구성되어있는가를 검토한 후 그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활동이란? 여기서 교육활동은 설정된 교육목표를 달성하도록 의도적 및 계획적으로 구안되어 학습자의 행동을 변화시켜 나가는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활동에는 합리적인 교육목표를 정하는 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내용을 정하는 일, 그 내용을 토대로 실제 학습활동을 시키는 일, 그리고 그 결과를 평가하는 일 등의 과정을 겪게 되는데 각 단계에서의 활동이 모두 잘 계획되고 효율적으로 실천되어야 좋은 교육성과를 거둘 수 있다.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를 측정하기 위한 하위 영역으로써 강의의 조직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첫째, 강의의 조직성(이성흠, 2001; 류춘호, 이정호, 2005)이다. 이는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려면 잘 선정된 교육내용이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강의계획에 따른 수업운영, 교수의 수업시간관리, 강좌의 철저한 조직, 교수의 열의를 지닌 강의 준비 등을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수업활동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강의평가는 무엇을 평가하는 것인가? 최근 대학교육의 국제 경쟁력을 우위에 확보함은 물론 대학의 질 높은 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대학의 기능 전반에 대한 평가와 분석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대학의 주된 기능이 교육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교수의 수업활동을 평가하는 강의평가는 강의의 질을 개선시켜 대학 교육의 질 제고라는 측면에서 좋은 대안으로 수용되고 있다(김진실, 나승일, 2003; 오은주, 2008). 실제로 강의평가는 교수자로 하여금 좋은 강의를 하기 위해 강의준비를 철저히 하도록 유도하는 외적 자극 요소인 동시에 강의개선에 대한 송환 효과를 주어 보다 나은 강의를 할 수 있게 한다 (류춘호, 이정호, 2005; Marsh & Hocevar,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명화(2005). 강의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아시아교육연구, 6(3), 1-24. 

  2. 김성숙(2006). e-learning 강의 평가 도구의 일반화 가능도와 평가활용의 최적화 조건, 교육평가연구, 19(1), 305-322. 

  3. 김진실, 나승일(2003). 전문대학 수업평가 준거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5(4), 193-209. 

  4. 김학일.김성숙.권오양.이천.노경호(2007).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 평가 제도 개선방안, 공학교육연구, 10(4), 58-75. 

  5. 류춘호.이정호(2005).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 연구, 9(1), 249-278. 

  6. 박태수(2001).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학습자 중심 교육 방안, 제주대학교 백록논총, 3(2), 91-113. 

  7. 백순근.신효정(2008).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강의평가분석-S대학교 교양강의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1(2), 1-24. 

  8. 신붕섭(2001). 전문대학에서 학생평정에 의한 수업평가의 도구개발과 타당화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발전논집, 22(2), 103-118. 

  9. 이성흠(2001). 교수설계이론에 근거한 대학 강의 평가 도구개발, 교육공학연구, 17(1), 81-108. 

  10. 이선우(2007). 교육매체별 강의평가 모형 개발연구: 강의평가 제도 운영방안 수립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정책연구, 6(4). 

  11. 이은화(2006). 대학 수업평가의 개념모형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18(3), 314-328. 

  12. 오은주(2009). 강의평가 실태조사를 통한 강의평가 개선 방향 연구, 교육방법연구, 21(2), 1-20. 

  13.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2005). 한국 대학의 강의 평가 실태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3(3), 379-403. 

  14. Hayward, P. A.(2002). Developing ourselves through the use of midsemester evalua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Georgia Communication Association, Feb. 15-16, Valdosta, GA. 

  15. Marsh, H. W., & Hocevar, D.(1991). Student's evaluations of teaching effectiveness: The stability of mean ratings of the same teachers over 13 year period.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7, 303-314. 

  16. McKeachie, W. J.(1996). Research on college teach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189-200. 

  17. McKeachie, W. J.(2002). McKeachie's Teaching Tips, 11th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MA, USA. 

  18. Kulik, J. A.(2001). Student ratings: validity, utility, and controversy,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109, 9-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