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 K-전문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Process : Based on the surveys in K-Colleg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6, 2017년, pp.547 - 557  

김수현 (거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배유나 (거제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이진현 (동의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들의 학습참여에 관한 학습과정 수준이 성별, 수업연한, 계열, 학점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K전문대학 정규교육과정 재학생들 중 2015학년도 2학기 학습과정 설문조사 참여에 응답한 재학생 총 68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전문대학 학습과정 분석 척도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과 성별, 수업연한, 계열, 학점에 따라 전문대학생들의 학습과정 수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전문대학생의 학습과정은 하위요인 중 수업 외 학습활동, 수업 중 학습활동, 학습성과, 대학시설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업연한에 따른 전문대학생의 학습과정은 하위요인 중 수업 외 학습활동, 수업 중 학습활동, 수업만족도, 대학시설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계열에 따른 전문대학생의 학습과정은 하위요인 중 수업 외 학습활동, 수업 중 학습활동, 학습 상호작용, 학습성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점에 따른 전문대학생의 학습과정은 학습과정과 전체 하위요인(수업 외 학습활동, 수업 중 학습활동, 수업만족도, 학습 상호작용, 학습성과, 대학 시설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함의를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the years for graduation, college majors, and grades by the level of students' learning process about the student engagement of college students. Subjects were 684 students who responded to a student engagement survey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전문대학 교육과정의 효과성은 양적 결과만으로는 평가될 수 없으며, 전문대학의 학습자가 경험한 학습과정 평가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활동, 수업만족도, 학습 상호작용, 학습 성과, 대학 만족도를 전문대학 학습자들의 학습과정으로 정의하고, 경남 지역 소재의 K전문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 수업연한, 계열, 학점에 따라 학습과정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차이를 밝혀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과정 평가를 통하여 전문대학이 제공하는 정규 교육과정과 비정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교육 제반에 관한 효과성을 제고 하는데 유의미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참여란? 그 중에서 대표되는 용어는 학습참여, 학습경험, 학습과정으로 각 개념들은 상호 유사하면서도 조금씩 다른 관점을 반영하여 그 내용을 평가하고 있다[24]. 학습참여는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가 성공적 학습의 중요한 요소라고 보는 관점으로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일체감, 학습에 대한 헌신 또는 투자로 정의된다. 학습경험은 학습자가 학습이 일어나는 장면에서 겪게 되는 주관적 경험이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관점으로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흥미와 목적에 따른 학업과 컴퍼스 활동의 몰입, 학습에 관한 개인적 동기로 정의된다.
전문대학의 역할은? 산업사회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이론 습득으로 국가사회 발전에 필요한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인 전문대학은 우리나라 직업교육의 중추기관으로써 고등교육법 제47조에 의거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산업밀착형 교육과정 기반의 실습 중심 수업, 2~4년제의 수업 연한, 산업체 경력 중심의 교수 분포, 대학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조교의 행정서비스, 현장에서 실제 활용되는 기자재 및 실습실 비율이 높은 대학시설 등 전문대학은 재학생의 현장실무능력 증진을 위한 실용주의적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다[1-3].
학습과정 평가에서 제공되는 대학의 외부적 차원과 내부적 차원의 정보는 무엇이 있는가? 이처럼 다양한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학습자의 학습과정 평가 결과는 대학의 외부적 차원과 내부적 차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학의 외부적 차원으로는 교육 책무성 및 학습과정에 관한 일반 현황 정보, 경쟁대학 또는 준거대학과의 비교에 관한 정보 제공이 있다[20]. 대학의 내부적 차원으로는 학습과정 영역 및 활동별 강ㆍ약점 정보, 학습과정 취약집단 정보, 교수-학습지원 전략 프로그램 진단 및 평가 정보, 교수-학습 만족도, 교수-학습 지원체제 개선방안 정보 제공이 있다[11,26]. 이러한 학습과정 평가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활용된다면 전문대학 평가 순위, 취업률, 기초학습능력 수준, 학점 등의 양적 정보를 보완하고 대학의 전략적 성장과 발전을 위한 질 관리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K. Kwan, B. H. Mang, J. S. Lee, H. S. Lee, K. H. Kim, H. J. Bae, M. K. Sin, Y. H Choi, J. S. Jeong, K. H. Kwan, G. J. Hyun: A Curriculum of Guidelinn based on NCS - Development, management, Evaluation, Quality Management.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5. 

  2. M. H. Ko, J. Mi: Effectivenes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Junior College Students. Research of Learning Science, vol. 9, no. 1, pp. 1-20, 2015. 

  3. K. O. Son, J. K. Kwan, J. H. Lee: A Research Study of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for College Students.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Korean Council for College Education, 2013. 

  4. W. H. Jeong: A Study of education of humanism of College's Social Science Subject. The Korean Assocication of General Education, vol. 2013, no. 11. pp. 289-295, 2013. 

  5. W. Y. Yun, W. l. Jung, B. H. Lee: A Case Study on the College's Adoption of BSC, The Journal of Korea Tax Accounting Research. vol. 37, pp. 83-107, 2013. 

  6. E. M. Im, M. S. Song, M. S. Kim: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Academic Counseling Experience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4, no. 3, pp. 1855-1875, 2013. DOI: https://doi.org/10.15703/kjc.14.3.201306.1855 

  7. H. J. Shin: The Life and Knowledge of the College Student, the Experiential Construction: Based on College Lives. Anthropology of Education, vol. 15, no. 1, pp. 187-227, 2012. DOI: https://doi.org/10.17318/jae.2012.15.1.006 

  8. H. S. You, H. N. Im, Y. I. Seo, J. W. Ko, H. S. Shin, S. H. Park, E. Heo: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in Korean Universities (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9. S. Y. Kim, H. J. Yu: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ssential Competency Assessment of Vocation for Local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15, no. 4, pp. 71-100, 2013. DOI: https://doi.org/10.18211/kjhrdq.2013.15.4.004 

  10. J. E. Jeong, C. Y. Jyu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47, no. 1, pp. 79-96, 2015. 

  11. J. S. Kim: Learning Consultation at a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6, no. 4, pp. 837-851, 2012. 

  12. S. H. Min: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asic Workplace Literacy Development for the Junior College Students. The Education Research for Tomorrow, vol. 17, no. 1, pp. 73-91, 2004. 

  13. E. H. Park: A Study on the Educational Participation Factors of the Reverse Transfer Students in Korean Junior College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14, no. 2, pp. 87-115, 2008. 

  14. Y. J. Kwan, Y. S. Park, E. C. Kim: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Support, Self-efficacy, Happ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Education Inquiry. vol. 25 No,2, pp. 153-172, 2007. 

  15. I. S. Song, J. H. Choi: Exploring the Domain Issue of Academic Emotions: A Comparison of Domain Generality, Domain Specificity and Domain Complex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ction, vol. 11, no. 4, pp. 227-243, 2011. 

  16. G. Y. Lee, M. H. Jeong, K. S. Shin: The Application of Basic Learning Ability Diagnostic Tools and Development of Standard Goal for College Student. Seoul: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Korean Council for College Education, 2008. 

  17. S. I. Han, S. H. Lee: Improvement Strategy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Junior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of the Each Departm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2, no. 10. pp. 524-531, 2012. 

  18. J. G. Hwang: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Strateg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KNU. Dept of Education, 2012. 

  19. Kristin W., Anne A., Andreas L., Siegfried F., Matthias N: Learning and Instruction. Vol29, pp. 103-114, 2012. 

  20. S. H. Bae, H. J. Kim: Validation of The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NSSE) Model in the Korean Context. The Journal of Education Administration, vol. 30, no. 1, pp. 499-523, 2012. 

  21. J. W. You, M. H. Ka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Learning Engage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ction, vol. 12, no. 4, pp. 209-337, 2012. 

  22. H. S. You: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in Korean Universities (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2. 

  23. M. J. Chung, S. H. Lee: Effects of Cognitive Learning Program Utilizing Cognitive Learning Program (FIE) for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vol. 9, no. 1, pp. 111-128, 2011. 

  24. J. P. Lee, S. J. Kim, D. K. Kim: A study on Connecting Method College Education with Qualification Syste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0. 

  25. J. W. Ko, H. J. Kim, M. S. Kim: The Impact of Students' College Experiences on Students' Cognitive and Non-cognitive Outcomes, and Instructional Satisfa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Administration, vol. 29, no. 4, pp. 169-194, 2011. 

  26. Paola, M., Tiziana, R., Silvia, R: Self-efficacy in Learning and Scholastic Success: Implications for Vocational Guidanc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 116, pp. 1232-1236, 2014. 

  27. B. S. Cho, D. U. Lee, K. H. Kim, K. Y. Kim, D. Y. Jeong: Diagnosis and Promotion Plans of Basic Learning Ability for College Student.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Korean Council for College Education,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