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의료계열 대학생 대상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이 임상실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Education in clinical practice for healthcar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409 - 417  

신은희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이 간호학과, 임상병리학과 및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서 환자안전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수행자신감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6주동안 매주 90분간 강의 및 그룹 토의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 전과 임상실습 후 실시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에서 학생들의 환자안전에 관한 지식에 관한 정답률이 높아졌고 수행자신감은 유의하게 향상됨을 보였으나, 태도에는 변화가 없었다. 인터뷰를 통해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타 분야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느꼈음을 나타냈다.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환자안전에 대한 올바른 지식, 태도 등과 함께 타 직종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기반한 협력을 위한 역량증진을 위해 전문직 간 교육프로그램 수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self-confidence of patient safety in the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physical therapy and biomedical laboratory students. Each week for 6 weeks, a lecture and group discussion w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임상병리학과, 물리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한 전문직간 환자안전 교육커리큘럼 가이드(Multi-professional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19]를 참조로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임상실습전에 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을 임상실습 전과 후에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전문직 간 환자안전교육이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관련 학과의 담당 교수들의 협조를 받아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실시하고 임상실습 전과 후에 환자안전 인식 등에 관한 부분을 평가하여 비교하고자 한 단일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제공한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커리큘럼 가이드(Multi-professional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19]을 참조로 하여 구성하였다(Table 1 참조).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을 실시하고자 간호학과, 임상병리학과 및 물리치료학과에서 자발적으로 참여를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6주간의 환자안전교육을 실시하여 임상실습에서 환자안전과 관련된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에서의 변화와 학생들의 임상실습 시 영향을 평가하고, 관련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보건의료 계열인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및 임상병리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6주간의 전문직간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이 임상실습 후 학생들의 환자 안전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수행자신감과 임상실습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환자안전에 관한 지식에서는 임상실습 후 향상됨을 보였으나, 태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임상병리학과, 물리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한 전문직간 환자안전 교육커리큘럼 가이드(Multi-professional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19]를 참조로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임상실습전에 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을 임상실습 전과 후에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전문직 간 환자안전교육이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커리큘럼 가이드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관련 학과의 담당 교수들의 협조를 받아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실시하고 임상실습 전과 후에 환자안전 인식 등에 관한 부분을 평가하여 비교하고자 한 단일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제공한 전문직 간 환자안전 교육커리큘럼 가이드(Multi-professional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19]을 참조로 하여 구성하였다(Table 1 참조). 교육 기간은 총 6주간으로 매주 90분씩 실시하였으며, 공통 교육프로그램 4주, 각 학과 교육프로그램 1주와 함께 마지막 주에는 조별 발표와 평가를 실시하였다.
임상병리학과 및 물리치료학 학생들에게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6주동안 매주 90분간 강의 및 그룹 토의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 전과 임상실습 후 실시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에서 학생들의 환자안전에 관한 지식에 관한 정답률이 높아졌고 수행자신감은 유의하게 향상됨을 보였으나, 태도에는 변화가 없었다. 인터뷰를 통해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타 분야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느꼈음을 나타냈다.
학생 대상의 전문직 간 환자안전교육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학생들에게 전문직 간 교육은 다른 직종의 보건의료인과 기술과 지식을 나눌 수 있는 능력 등과 다른 보건의료직종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와 공유된 가치, 존중을 갖도록 하며[5,6,7], 팀협력, 의사소통 등과 관련된 지식, 기술과 태도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8]. 이러한 학생 대상의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해 코그란 그룹(Cochrane Collaboration)에서 기존 연구를 검토한 결과 검색된 연구 대부분에서 전문직 간 환자안전교육이 학습자의 반응(reaction), 태도(attitude) 또는 인식(perception), 지식(knowledge) 또는 기술(skill), 행동상(behavioral) 등의 변화에서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보였음을 보고하였다[9]. Jacobsen 등도 학생 시절에 전문직간 교육이 가능한 상황에서 타 학과와 한 팀으로써 협조하도록 교육을 받은 경우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좀 더 효과적인 협력자가 됨을 밝혔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Besner. (2008). Is interprofessional practice rhetoric or reality? Canadian Nurse, 104(3),48. 

  2. S. Tunstall-Pedoe, E. Rink & S. Hilton. (2003). Student attitudes to undergraduat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7(2), 161-72. DOI: 10.1080/1356182031000081768 

  3.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8). Learning to work together for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4. H. Barr, I. Koppe, S. Reeves, M. Hammick & D. Freeth. (2005). Effectiv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rgument, assumption and evidence. Oxford: Blackwell Publishing. 

  5. D. Craddock, C. O'Halloran, A. Borthwick & K. McPherson. (2006).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health and social care: fashion or informed practice? Learning in Health and Social Care, 5, 220-242. DOI: 10.1111/j.1473-6861.2006.00135.x 

  6. R. Karim & C. Ross. (2008).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chiropractic. The Journal of the Canadian Chiropractic Association, 52, 76-78. 

  7. R. Jones. (1986). Working together-learning together. Occasional Paper, The Journal of the Royal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33, 1-26. 

  8. P. Funnell. (1995). Exploring the value of interprofessional learning. In: Soothill K, Mackay L, Webb C, eds. Interprofessional Relations in Health Care. London: Edward Arnold, 163-171. 

  9. D. Freeth, M. Hammick, I. Koppe, S. Reeves & H. Barr. (2002). A critical review of evaluation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LTSN-Centre for Health Sciences and Practice. http://www.health.ltsn.ac.uk. 

  10. F. Jacobsen & S. Lindqvist. (2009). A two-week stay in an interprofessional training unit changes students’ attitudes to health professionals.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23(3), 242-250. DOI: 10.1080/13561820902739858 

  11. M. S. Kim & Y. H. Kim.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tient safety reporting promoting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 284-29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284. 

  12. S. J. Myung, J. S. Shin, J. H. Kim, H. Roh, Y. Kim & J. Kim. (2012). The patient safety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s a first step toward improving patient safety. Journal of the Surgical Education, 69(5), 659-664. DOI: 10.1016/j.jsurg.2012.04.012 

  13. H. R. Roh, H. J. Seol, S. S. Kang, I. B. Suh & S. M. Ryu. (2008). Using Medical Error Cases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Korean Journal of the Medical Education, 20(3), 265-271. DOI: 10.3946/kjme.2008.20.3.265 

  14. S. H. Choi, & H. Y. Lee. (2015).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practi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1(2), 184-192. DOI: 10.11111/jkana.2015.21.2.184 

  15. T. M. Chenot & L. G. Daniel. (2010). Frameworks for Patient Safety in the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10), 559-568. DOI: 10.3928/01484834-20100730-02 

  16. W. S. Madigosky, L. A. Headrick, K. Nelson, K. R. Cox, & T. Anderson. (2006). Changing and sustain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bout patient safety and medical fallibility. Academic Medicine, 81(1), 94-101. DOI: 10.1097/00001888-200601000-00022 

  17. J. H. Park & M. H. Park. (2014).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5-14. DOI: 10.5977/jkasne.2014.20.1.5 

  18. S. S. Huh, & H. Y. Kang. (2015). The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458-5467. DOI: 10.5762/KAIS.2015.16.8.5458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Multi-professional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 J. Park & M. Park. (2014).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5-14. DOI: 10.5977/jkasne.2014.20.1.5 

  21. D. L. Streiner & G. R. Norman. (2005).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2. S. H. Son & J. S. Park. (2017). A study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behavior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Fisheries and Marine Education, 29(4), 1043-1053. DOI:http:/dx.doi.org/10.13000/JFMSE.2017.29.4.1043 

  23. M. Vaismoradi, M. Salsali & P. Marck. (2011). Patient safety: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and the role of nursing education to provide safe car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8(4), 434-442. DOI: 10.1111/j.1466-7657.2011.00882.x 

  24. A. Kearney, T. Adey, M. Bursey, L. Cooze, C. Dillon & J. Barrett. (2010). Enhancing patient safety through undergraduate inter-professional health education. Healthcare quarterly, 13, 88-93. DOI: 10.12927/hcq.2010.21972 

  25. H. S. Jeong, J. H. Kong & M. Y. Jeon. (2017).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vergence Society, 13(2), 121-130. DOI: http:/doi.org/10.1520/JKCS.2017.8.6.121. 

  26. P. A. Furseth, B. Taylor & S. C. Kim. (2016). Impact of iterprofessional education among nursing and paramedic students. Nurse Educator, 41(2), 75-79. DOI: 10.1097/NNE.0000000000000219 

  27. S. Y. Liaw, W. T. Zhou, T. C. Lau, C. Siau & S. W. Chan. (2014). A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training using simulation to enhance safe care for a deteriorating patient. Nurse Education Today, 34(2), 259-264. DOI: http://dx.doi.org/10.1016/j.nedt.2013.02.019. 

  28. B. K. Cha & J. Choi. (2015).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4), 405-416. DOI: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4.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