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Wax-up으로 조각한 치관과 CAD로 설계한 치관의 형태 비교
Shape comparison of Wax-up carved crown and CAD-designed crown 원문보기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v.39 no.2, 2017년, pp.93 - 99  

김갑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dental technology, we are manufacturing prosthetic crown in various ways. However, the wax-up method that makes existing prosthetic crown is also used steadily. Thus, we will compare the shape of the crown designed with wax-up and the crown designed with C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ax-up으로 조각한 치관과 CAD로 설계한 치관의 형태를 비교하고자하였다. 동일한 모형에 동일한 술자가 wax-up 조각과 CAD 설계로 치관을 제작하고 그 형태의 차이를 비교를 위하여 3차원 외형 비교와 가공 형상 비교를 실시한 결과 CAD 설계로 치관이 wax-up 으로 조각한 치관에 비하여 크게 가공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wax-up으로 조각한 치관과 CAD로 설계한 치관의 형태를 비교하고자한다. 동일한 모형에 동일한 술자가 wax-up 조각과 CAD 설계로 치관을 제작하고 그 형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wax-up으로 조각한 치관과 CAD로 설계한 치관의 형태를 비교하고자한다. 동일한 모형에 동일한 술자가 wax-up 조각과 CAD 설계로 치관을 제작하고 그 형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일치아에 한해서 구강 내 스캐너의 장점은? CAD/CAM 관련 기술로 활용되는 구강 내 스캐너와 모델 스캐너로 취득된 단일치아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 비교 분석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비디오 방식인 구강 내 스캐너는 단일치아에 한에서 모델 스캐너보다 더 정확하게 디지털 모형을 재현할 수 있었으며 정확도(trueness), 정밀도(precision)는 비슷했다(이재준, 2016). 또한 스캐너의 모형 스캔과정에서 복제모형 생성 시 오류로 인해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와 정밀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CAD/CAM을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 니아 코핑의 적합도에 대한 결과는? 윤성근(2010)은 CAD/CAM을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 니아 코핑의 적합도 여부에 대해서 연구하여는데 그 결과 전자 현미경 영상을 이용하여 제작한 코핑의 내면 적합도를 측정한 결과 일반적인 작업에 의한 보철물의 마진 적합도에 비해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CAD로 제작한 치관 시편이 wax-up으로 제작한 치관 시편이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지 않은 이유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CAD로 제작한 치관 시편이 wax-up으로 제작한 치관 시편이 수치상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CAD 설계 후 CAM으로 가공을 위하여 변화되는 과정에서 설계된 치관의 외형 100%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가공을 하였다 하더라고 다소 크게 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또한 CAD 설계 에서 CAM 가공을 위한 STL(Stereolithography) 파일로 변환되는 과정과 전송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CAM 가공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오류를 배제 할 수없기 때문에 결과 분석에서 이러한 오류들을 감안하여야 한다(허중보,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ho SB. Comparison of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wo dental CAD/CAM scanner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2. Huh JB. Shim JS. The factors caused error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CAD/CAM prosthesis based on experience. J Kor Dent Assoc, 52(6), 332-345, 2014. 

  3. Hwang YC. The evaluation of working casts prepared from diital impressions. Korea University, 2014 

  4. Joun MS.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evaluation of dental CAD/CAM scanner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5. Lee JJ. Comparison analysis of accuracy of single abutment digital model obtained by intraoral scanners and model scanners. Korea University, 2016. 

  6. Park TH. A comparison of digital impression with conventional impress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7. Youn SG. Accuracy of Zirconia copings using CAD/CAM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