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가족력 유무에 따른 부정적 심리요인과 유방암 검진과의 관련성: 우리나라 여성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Cancer Worries and Breast Cancer Screening with and without Family History among Korean Women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7 no.2, 2017년, pp.157 - 166  

김복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경영학과) ,  최귀선 (국립암센터 국제암전문대학원대학교 암정책관리학과) ,  이윤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경영학과) ,  민인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경영학과) ,  함명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Women with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are more likely to be worried about having cancer and participate in breast cancer screening.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istory, cancer worries, and participating in breast cancer screening in Korea.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을 중심으로 암가족력 유무에 따른 암에 대한 부정적 심리요인들의 차이, 그리고 암가족력 유무와 암에 대한 부정적 심리요인들마다 유방암 검진 유무 및 유방촬영술과 유방초음파 같은 검진종류별로 수검률의 차이를 확인하고,암가족력 유무와 암에 대한 부정적 심리요인들이 각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유방암의 위험요인에는 연령, 가족력, 빠른 초경과 늦은 폐경, 늦은 초산 혹은 미출산, 경구피임약 복용, 유방 염증, 고밀도 유방조직,호르몬 대체요법, 고지방 식이, 음주, 흡연, 비만, 스트레스 등이 있다[3-5]. 그 중에서도 Yoon과 Park [3]은 가족력이 유방암의 위험 정도가 가장 높은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암에 대한 부정적 심리요인은 수검률과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또한 암에 대한 부정적 심리요인이 2년 이내 검진 유무 및 검진종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를 확인한 결과로 암발생 염려도,신체관찰 정도, 암발생 위험인식도의 심리적 요인이 클수록 수검률이 증가하였다. 즉 암에 대한 심리적 강도가 클수록 수검률이 높아졌다. 신체관찰을 자주 하는 여성은 거의 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유방암 검진을 1.
유방암의 수검률 비율이 어떻게 변해왔는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에 대한 국가차원의 관리를 위하여[9], 정부는 1999년부터 국가암검진을 시작하였고 2005년부터 5대 암종에 대해 전 국민 암검진서비스를 제공하였다[10]. 5개 암종(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중 유방암은 수검률이 가장 높았으며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6년에는 26.4%, 2008년에는 34.9%, 2010년에는 43.5%, 2013년에는 48.6%의 수검률을 보이고 있다[11]. 유방은 여성에게 심리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있기 때문에[3] 수검률이 높은 현상은 유방암에 대해 더 걱정하며, 걱정의 정도에 따라 유방암 조기검진을 더 빨리 받거나 정기적으로 받는 등의 건강행태가 강화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3.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5. 175 p. 

  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in Korea. Age standardized by year cancer incidence trend of female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6 [cited 2017 Feb 1].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4000000. 

  3. Yoon GO, Park HS. A study on th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1;8(1):7-23. 

  4. Henderson IC.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development. Cancer 1993; 71(6 Suppl):2127-2140. DOI: https://doi.org/10.1002/1097-0142 (19930315)71:6+ 3.0.co;2-2.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Breast cancer basic information: what are th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Internet].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cited 2017 Feb 1].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cancer/breast/basic_info/risk_factors.htm. 

  6. Ottman R, Pike MC, King MC, Henderson BE. Practical guide for estimating risk for familial breast cancer. Lancet 1983;2(8349):556-558.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83)90580-9. 

  7. Claus EB, Risch N, Thompson WD. Genetic analysis of breast cancer in the cancer and steroid hormone study. Am J Hum Genet 1991;48(2):232-242. 

  8. Schwartz AG, Kaufmann R, Moll PP. Heterogeneity of breast cancer risk in families of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and controls. Am J Epidemiol 1991;134(11):1325-1334. DOI: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6035. 

  9. Statistics Korea. A news release about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3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7 Feb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3018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2013%EB%85%84+%EC%82%AC%EB%A7%9D%EC%9B%90%EC%9D%B8. 

  10. Hahm MI, Choi KS, Park EC, Kwak MS, Lee HY, Hwang SS. Personal background and cognitive factors as predictors of the intention to be screened for stomach cancer.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8;17(9):2473-2479. DOI: https://doi.org/10.1158/1055-9965.EPI-08-0027. 

  11. Statistics Korea. The rates of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7 Feb 1].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40. 

  12. Choi E, Lee YY, Yoon HJ, Lee S, Suh M, Park B, et al. Relationship between cancer worry and stages of adoption for breast cancer screening among Korean women. PLoS One 2015;10(7):e0132351.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32351. 

  13. Cohen M. Breast cancer early detection, health beliefs, and cancer worries in randomly selected women with and without a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06;15(10):873-883. DOI: https://doi.org/10.1002/pon.1018. 

  14. Majidzadeh-A K, Farahmand L, Zare AA, Esmaeili R, Salehi M, Habibi M. Iranian women's attitude toward prophylactic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J Cancer Res Ther 2016;12(2):915-919. DOI: https://doi.org/ 10.4103/0973-1482.171363. 

  15.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Breast cancer screening recommendation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6 [cited 2017 Feb 1].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jsp/album/gallery.jsp?addCancerTitle%EC%9D%BD%EA%B8%B0(%EA%B2%80%EC%A7%84%EA%B6%8C%EA%B3%A0%EC%95%88%20-%20%EC%9C%A0%EB%B0%A9%EC%95%94)&spage1&boardId14354374&boardSeq14355851&mcategoryId&idcancer_010207000000. 

  16. Kim OS, Kim JH. Relationship among breast cancer fear, benefit for mammogram screening and stage of mammogram. Health Nurs 2006; 18(1):1-8. 

  17. Hwang TY, Kim BS, Lee KS, Hwang IS.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and follow-up examination after abnormal results among women in Gyeongju city.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08; 12(1):116-125. DOI: https://doi.org/10.21896/jksmch.2008.12.1.116. 

  18. Choi JS, Park JY, Han CH. The behavioral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breast self-examination and breast cancer screening.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1;18(1):61-78. 

  19. Consedine NS, Magai C, Krivoshekova YS, Ryzewicz L, Neugut AI. Fear, anxiety, worry, and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a critical review.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4;13(4):501-510. 

  20. Kim SH, Kim MH, Oh KK. Analysis and comparison of breast density according to age on mammogram between Korean and Western women. J Korean Radiol Soc 2000;42:1009-1014. DOI: https://doi.org/10.3348/jkrs.2000.42.6.1009. 

  21. Lee YR, Seo BK, Chung KB, Cho KR, Lee JY, Lee YH,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breast cancer of Korean women according to age in radiological, pathological, and clinical findings. J Korean Breast Cancer Soc 2002;5(2):91-101. DOI: https://doi.org/10.4048/jkbcs.2002.5.2.91. 

  22. Lee SM, Choi HY, Baek SY, Suh JS, Rhee CS, Moon BI. Diagnostic accuracy of mammography and ultrasonography in detection of early breast cancer. J Korean Radiol Soc 2002;47:321-328. DOI: https://doi.org/10.3348/jkrs.2002.47.3.321. 

  23. Lee MH. Mammographic and sonographic evaluation of breast carcinoma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6. 

  24.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screening rate according to cancer screening recommendation rate, 65.8%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5 [cited 2017 Feb 1]. Available from: http://www.ncc.re.kr/prBoardView1.ncc?nwsId2185&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8. 

  25. Han IY, Lim JW, Rhee YS, Kang BG, Lee JE. A study on the effects of a navigator intervention to improve breast cancer screening: a focus on national population screening program for cancer in one district of Seoul. Health Soc Welf Rev 2015;35(1):158-185.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5.35.1.158. 

  26. Chang KJ.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1982. 

  27. Lee WH.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belief for cervical cancer in between examined and non examined group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84. 

  28. Choo NK. A study on the examination frequency and it's influential factors of cervical cancer of uterus: centered on housewives of 30-49 years old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88. 

  29. Hahm MI, Chen HF, Miller T, O'Neill L, Lee HY. Why do some people choose opportunistic rather than organized cancer screen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0-2012. Cancer Res Treat 2016 Oct 31 [Epub]. DOI: https://doi.org/10.4143/crt.2016.243. 

  30. Yoo YG, Choi SK, Hwang SJ, Kim HS.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according to life style. J Korea Contents Assoc 2013;13(4):262-272. DOI: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