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효과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me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3, 2020년, pp.115 - 139  

백지원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  표순희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효과를 이용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 요소들을 서비스 이용, 사서, 도서관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테마 컬렉션 서비스를 주요한 도서관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A공공도서관 이용자 294명을 대상으로 효과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테마 컬렉션을 알고 있는 이용자들의 장서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이용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생각지 못한 새로운 도서의 이용에 대한 만족에 높은 효과 인식을 보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 효과 인식도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은 오래전부터 도서관을 이용해왔던 이용자, 자주 이용하는 핵심 이용자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브라우징을 많이 하는 이용자들일수록 사서의 역량에 대한 효과 인식도가 높았다. 이러한 테마 컬렉션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평가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와 의의를 반영하여 장서개발, 장서의 활용 및 정보서비스 제공, 이용자 중심의 분류, 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 개선의 관점에서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me collection service in public library from the user's perspective. To this en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effect elements of the theme collection were derived from the service use, librarian, and library level. A questionnaire...

주제어

표/그림 (2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테마 컬렉션이란 무엇인가? 테마 컬렉션은 도서관의 많은 정보자원 중 특정한 테마를 중심으로 자원을 선별, 재분류, 재배치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거나 더욱 가치 있게 만드는 작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백지원 2018).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은 다양한 의도로 별치자료를 두거나 전시를 하는 등 기존에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던 서비스의 일종이라 할 수 있으며, 선정된 테마를 중심으로 기존의 질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다양한 자원이 모여 서비스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특징은 무엇인가? 테마 컬렉션은 도서관의 많은 정보자원 중 특정한 테마를 중심으로 자원을 선별, 재분류, 재배치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거나 더욱 가치 있게 만드는 작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백지원 2018).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은 다양한 의도로 별치자료를 두거나 전시를 하는 등 기존에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던 서비스의 일종이라 할 수 있으며, 선정된 테마를 중심으로 기존의 질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다양한 자원이 모여 서비스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테마 컬렉션에 대한 이용자 평가에서 이용한 세부 연구 질문은 무엇이 있는가? 첫째, 테마 컬렉션 장서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장서 만족도보다 높은가? 둘째, 이용자 및 이용 특성에 따른 테마 컬렉션의 효과 인식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만족도와 효과 인식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ang, Mia-Hye. 1996.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xhibits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2):107-125. 

  2. Kim, Young Suk, Park, Yeon Sik and Lee, Yung Ju. 2018. Book curation: talk with the books. Gyeonggi-do Library Series 21. Suwon: Gyeonggi-do Cyber Library. 

  3. Park, Young Sook. 2014. I Will Not Serve Customer like A King. Seoul: Ilma. 

  4. Beak, Ji-Won. 2018.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Theme Collection: Focusing on the User-centered Classification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4): 51-69. 

  5. Chung, Yoo Ra and Lee, Jee Yeon. 2017. "A Study on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 Changes after Using the Theme Display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2): 27-45. 

  6. Pyo, Soon Hee and Beak, Ji-Won. 2019.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me collections through book curation: in-depth interview with public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4): 189-211. 

  7. Haba Oshitaka. 2016. I Do Not Mind Reading Books. Seoul: Deonan. 

  8. Braun, Jolie. 2017. "Now on display: Lessons learned from building a small exhibits program." Archival Issues, 38(2): 6-19. 

  9. Camacho, Leticia, Spackman, Andy and Cluff, David. 2014. "Face out: the effect of book displays on collection usage."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19: 114-124. 

  10. Caswell, Lucy S. 1985. "Building a strategy for academic library exhibits."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News, 46(4): 165-168. 

  11. Fouracre, Dorothy. 2015. "Making an exhibition of ourselves? Academic libraries and exhibitions today."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41: 377-385. 

  12. Kemp, Jane. 1985. "Creating exhibits in the smaller academic library."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News, 46(7): 344-346. 

  13. Ranasinghe, W. M. Tharanga Dilruk, Chung, Jun Min. 2019.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2): 215-235. 

  14. Tingle, Natalia and Tovstiadi, Esta. 2016. "The impact of physical book displays on business e-book use."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21(1): 26-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