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큐레이션을 통한 테마 컬렉션의 구축과 운영에 관한 연구 - 공공도서관 담당자의 심층면담을 통해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me Collections through Book Curation: In-depth Interview with Public Librarian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3 no.4, 2019년, pp.189 - 211  

표순희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  백지원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테마 컬렉션의 개념을 정립하고, 테마 컬렉션 운영의 실제를 밝혀 향후 테마 컬렉션 구축과 운영을 위한 방법론 설정 및 향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공공도서관 네 곳의 관장 및 테마 컬렉션 담당 사서 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테마 컬렉션은 자관의 장서와 이용자 및 커뮤니티에 대해 충실하게 이해하고, 자관의 서비스 목표와 지향을 공유한 상태에서 제대로 구축되고 기능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테마 컬렉션 구축 업무는 사서 개인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면이 있으며, 기존의 도서관 업무 경계를 넘나드는 상호 연계된 성격을 지녔음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테마 컬렉션 구축 및 운영을 위해서 참조할 수 있는 현행 테마 컬렉션의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이의 의의와 향후 과제를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me collection in the library, to clarify the reality of the theme collection operation. This study was to set up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theme collection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

주제어

표/그림 (1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테마 컬렉션이란? 테마 컬렉션은 운영되고 있는 양상과 이를 해석하고 의도하는 방법이 도서관마다 제각기 다르며, 도서관이 전통적으로 수행해 온 업무에 비해 연혁이 짧고, 상대적으로 덜 보편화된 업무 또는 서비스 영역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 서는 이러한 테마 컬렉션의 구축과 운영 현황을 통계적인 양적 분석을 통해서 밝히기 보다는 각 도서관에서 테마 컬렉션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는 관장 및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테마 컬렉션 운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체계화 하였다.
큐레이션이라는 개념은 도서관에 따라 어떠한 명칭으로 불리는가? 이는 도서관이 특정 테마를 중심으로 도서관 자원을 별개의 모음으로 구성 하는 것으로, 도서관 내 특정한 위치에 별치나 전시의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도서관에 따라 컬렉션, 테마 도서, 전시 도서, 추천 도서, 북큐레이션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공공도서관에서 구축하는 테마 컬렉션 주제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테마는? 공공도서관에서 구축하는 테마 컬렉션의 테마는 대체로 사회과학, 인문학 쪽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이는 기본적인 테마 컬렉션의 관심이 대중의 일상생활에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자연스러운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ang, Mia-Hye. 1996.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xhibits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0(2): 107-125. 

  2. Kim, Young Suk, Park, Yeon Sik and Lee, Yung Ju. 2018. Book curation: talk with the books. Gyeonggi-do Library Series 21. Suwon: Gyeonggi-do Cyber Library. 

  3. Park, Yang-Ha. 2016. "A Study on the Book Recommendation Standards of Book-Curation Service for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279-303. 

  4. Park, Hyu-Yong. 2014. Qualitiative research methodolgy.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ress. 

  5. Baek, Ji-Won. 2018.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Theme Collection: Focusing on the User-centered Classification Perspect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4): 51-69. 

  6. Ann, Jung Hee. 2015. Library Display where You want to Read Books. Gyeonggi Library Series 13. Suwon: Gyeonggi Cyber Library. [online] [cited 2019. 4. 11.] 

  7. Lee, Eunjung and Kim, Giyeong. 2017. "A Study on the Reading Effectiveness of School Library Event Collection Programs: Focusing on Korean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1): 73-110. 

  8. Chung, Yoo Ra and Lee, Jee Yeon. 2017. "A Study on Public Library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 Changes after Using the Theme Display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2): 27-45. 

  9. Flick, Uwe. 2009.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London: Sage Publications. translated by Lim, Eun Mi, Choi, Geum Jin, Choi, In Hoo, Heo, Moon Kyung, Hong, Kyunghwa. Seoul: Hanul Publishing Co. 

  10. W. M. Tharanga Dilruk Ranasinghe, Jun Min Chung. 2019.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2): 215-235. 

  11. Baker, S. L. 1986. "The display phenomenon: An exploration into factors causing the increased circulation of displayed books." Library Quarterly, 56(3): 237-257. 

  12. Camacho, L., Spackman, A., and Cluff, D. 2014. "Face out: The effect of book displays on collection usage."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19(2): 114-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