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서교사의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The Relation of the Awareness of Teacher Librarians about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nd Their Job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8 no.2, 2017년, pp.159 - 186  

이승길 (서울 경신고등학교,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  강봉숙 (대구 서부고등학교,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초중고 사서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 인원은 총 371명이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의 등급은 S등급 4.1%, A등급 27.5%, B등급 62.5%, 성과급 제외 5.9%의 비율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성과급 등급이 높을수록 성과급제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평가 기준의 적절성, 평가 절차 및 결과의 공정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서교사의 성과급 등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요소인 업무 관계, 인사 및 승진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원 성과급제에서 사서교사 평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 librarians' awareness about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an attempt to help make the pay system serve as catalyst in creating a positive competitive climate in the teacher community and boost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원 성과급제는 교직 사회의 협력과 경쟁 유도를 통해 교육의 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교원의 사기 진작을 도모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선의의 경쟁 유도로 교원들의 수업 전문성 신장과 생활 지도를 강화한다는 취지이다.
  • 2%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성과급제에 대하여 영양교사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양교사의 업무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평가기준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원 성과급제에서 사서교사가 어떤 부당한 평가를 받고 있는지 실제적인 데이터를 전국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원 성과급제에서 사서교사가 어떤 부당한 평가를 받고 있는지 실제적인 데이터를 전국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국 사서교사들은 66.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만족도, 교원 참여도, 평가 기준의 적절성, 평가 절차 및 결과의 공정성을 요소로 하는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을 조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과급제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성과급제는 업적을 중시하는 실적주의를 보수체계로 연계시킨 것이다( 정영희 2013, 9-10). 이 제도는 구성원들의 업무의 양, 업무처리 능력, 업무의 곤란도 등을 고려하여 우수한 실적을 거둔 구성원에게 더 나은 보수를 지급하고 구성원에게 조직 내에서 과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유인책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교원 성과급제의 목적은 무엇인가? 교원 성과급제는 교직 사회의 협력과 경쟁 유도를 통해 교육의 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교원의 사기 진작을 도모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선의의 경쟁 유도로 교원들의 수업 전문성 신장과 생활 지도를 강화한다는 취지이다.
교원 성과급제의 한계는 무엇인가? 하지만 교원 성과급제는 이미 그 시행 목적도 이뤄내지 못한 채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비교과 교사와 일반 교사의 차이점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데에 매우 큰 한계가 있다. 교과 수업과 담임을 전담하지 않는 교사는 언제나 낮은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과 상여금의 차등 지급 비율 간극과 등급 간 지급 금액의 격차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사서교사를 비롯한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Ji-hye. 2005. The relationship of merit-based pay system to teacher achievement motivation. M.A. thesis, Major in Educational Management and Lifelong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2. Han, Ji-min. 2010. The Relation of the Awareness of Teachers about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nd Their Job Satisfaction. M.A. thesis,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3. Jeong, Young-Hee. 2013. Relation Analysis Related to Achivement Motiv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ccording to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Based on Performance Based Pay System. Ph.D. dis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Korea. 

  4. Kim, Hyun-jung. 201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Nutrition Teachers and the Improvement of the Job Evaluation System in Incheon. M.A. thesis, Department of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Korea. 

  5. Kim, Jeong-Hyen et al.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Indicators in Korea." Jou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133-154. 

  6. Kim, Kyung-Yoon. et. al. 2012. "A study on respon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performance-based bonus pa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0(1): 161-192. 

  7. Kim, Sung-Jun. 2008.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eacher Librarians' Evaluation System in Korea." Jou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4): 421-443. 

  8. Kim, Sung-Jun. 2013. "A Study on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ools of the Performance of School Librarian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103-121. 

  9. Lee, Jae-Woon and Kang, Kyung-seok.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Perception of the Justice of Teacher's Merit-pay, Interpersonal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2(6): 115-146. 

  10. Lim, Hyo-Taeg. 2012. How Much is Reflected Main Job of Health Teacher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yang University, Korea. 

  11. Park, Ji-Hye and Choi, Hee-Jun. 2009.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herent in the Indicators and Items for Teacher Evaluation." Jou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93-111. 

  12. Park, Su-Kyung. 2012. The Effect of a Merit Pay System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eachers. M.A. thesis, Elementa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3. Yeo, Soon Young and Kim, Yun-Shin and Kim, Hyeon Suk. 2011.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s of performance based pa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4(2): 141-154. 

  1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기준.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15. 교육과학기술부. 2010. 학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표준매뉴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16. 김달효. 2013. 교원 성과급의 효용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4(1): 277-298. 

  17. 신상명. 2009. 교원성과상여금제도의 운영 및 성과에 대한 평가.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9: 3-15. 

  18. 유은혜. 2016. 비교과 교사 교원업적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2016년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서울: 국회의원 유은혜 의원실.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