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벨보텀 팬츠의 실루엣 변화와 시각적 평가
Silhouette Changes in Bell Bottom Pants and Visual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9 no.1, 2017년, pp.91 - 105  

조은혜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이영주 (경성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silhouette changes in bell bottom pants and the overall visual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The survey was disseminated from December 2015 to January 2016 to 245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Busan. The variables used for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벨보텀 팬츠의 플레어 양에 따라 시각적 평가에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그러나 벨보텀 팬츠가 구성상 독특한 실루엣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등장하여 유행한 팬츠 스타일임에도 불구하고 벨보텀 팬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벨보텀 팬츠의 시대별 실루엣 변화와 벨보텀 팬츠의 실루엣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를 통해 앞으로 유행하게 될 벨보텀 팬츠의 실루엣 예측과 소비자들이 원하는 벨보텀 팬츠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세째, 벨보텀 팬츠의 플레어 시작 위치에 따라 시각적 평가에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첫째, 벨보텀 팬츠의 실루엣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의 구성요인을 밝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벨보텀 팬츠가 유행한 시기는 언제인가? 벨보텀 팬츠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 초에 유행한 무릎 부분에서 밑으로 플레어가 들어간 팬츠로 실루엣이 벨 모양인데서 붙여진 명칭이다(패션전문자료사전, 1997). 1970년대를 대표하는 아이템으로 신체적 단점을 보완하고 활동성까지 겸비한 벨보텀 팬츠는 수년째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스키니 진에 버금가는 인기를 얻으며 2015년부터 복고 열풍을 주도하는 아이템으로 떠올랐다(패션조선, 2015).
벨보텀 팬츠의 플레어 시작 위치는 어떤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는가? 1969년부터 2015년까지의 벨보텀 팬츠의 실루엣 특징을 고찰한 결과 벨보텀 팬츠 실루엣 변화의 중요 요인인 플레어 양은 점차 작아지면서 캐주얼하고 활동성이 강조된 실루엣으로 변화되고 있다. 플레어 시작 위치는 점차 무릎부위로 내려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팬츠 길이가 짧아 지면서 다리 길이가 길어 보이게 하기위한 다양한 디테일이 이용되고 있다.
20대 여성들을 위한 벨보텀 팬츠는 플레어 양을 작게 해 실루엣 변화가 크지 않게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랫동안 스키니 스타일 팬츠에 익숙해있는 20대 여성들은 플레어 양에 의해 실루엣 변화가 큰 벨보텀 팬츠 보다는 스키니 팬츠의 실루엣에 가까우면서 유행을 접목한 벨보텀 팬츠를 더 세련되고 매력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개성을 추구하고 유행에 민감한 20대 여성들을 위한 벨보텀 팬츠는 플레어 양을 작게 하여 실루엣 변화가 크지 않게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권윤희, 이연순, 나미향. (1998). 블루진의 설계와 피복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2), 121-130. 

  2. 김경희. (1993). 플리츠 스커트의 플리츠 수와 스커 트 길이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희, 소연정. (2009) 청바지 패턴제작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10), 1541-1551. 

  4. 김미정. (1987). 바지패션에 관한 고찰- 1978년에서 1987년까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선숙. (2013). 패션 주기 이론 구성을 위한 팬츠 스타일 트렌드 분석 : 1967-2012년을 대상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7(6), 86-798. 

  6. 김정미. (2012). 와이드 팬츠의 시각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2), 147-156. 

  7. 김지영. (2005). 베이직 팬츠의 허리선 위치와 라운드 벨트 폭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나미향. (2000). 산업패턴설계. 서울: 교학연구사. 

  9. 메릴린 드롱, 금기숙 옮김. (1997). 복식조형을 보는 시각. 서울: 이즘. 

  10. 안인숙. (2014). 여성 스커트 길이 스타일 변화주기에 관한 연구 : 1950년부터 2013년까지 Vogue자료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2(4), 543-554. 

  11. 유지헌. (2004). 패션 주기의 터닝 포인트 분석 : Vogue 1997년과 2002년도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2(3), 327-338. 

  12. 이승렬. (2004). 이승렬의 패턴이야기2. 서울: 기술과 감성. 

  13. 이영주, 최경옥. (2010). 스커트 형태에 따른 남녀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5), 626-632. 

  14. 이정순. (2012). 플레어 팬츠의 바지부리 폭과 허리선 위치의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4), 127-137. 

  15. 이정순. (2013). 와이드 팬츠의 실루엣 변화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1), 21-30. 

  16. 이정순. (2014). 벨 버텀 팬츠의 시각적 평가.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1), 15-25. 

  17. 이형숙, 남윤자. (2007). 여성복 구성. 서울: 교학연구사. 

  18. 일본문화복장학원 외 2명, 조영아 옮김. (2010). 스커트 팬츠2. 서울: 시사출판사. 

  19. 임병렬. (2003). 팬츠 제도. 서울: 전원문화사. 

  20. 전수정. (2015.12 25). 시대별로 즐기는 복고 패션-1970년대, 자료검색일 2016. 7.12, 자료출처 http://fashion.chosun.com 

  21. 정삼호. (1998). 현대패션모드. 서울: 교문사. 

  22. 정지년, 권기영. (2008). 팬츠장식의 변천과 내적 의미 연구 : 1969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잡지에 나타난 장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0), 59-69. 

  23. 정진숙. (2011). 여성복을 중심으로 본 한국 현대 패션의 흐름 ; 1950년대에서 현재까지. 한국콘텐츠학회, 9(2), 17-24. 

  24. 채금석, 千村典生. (2007). 세계패션의 흐름. 서울: 지구문화사. 

  25. 최진. (2008). 부츠 컷 청바지 패턴 설계 : 3차원 가상착의평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패션서울. (2016). 미리 보는 2016 S/S 데님트렌드. 자료검색일 2016.12.23, 자료출처 http://www.fashionseoul.com 

  27.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1997). 패션전문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28.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서울: 교문사. 

  29. http://www.fashionnetkorea.com/ 

  30. http://fashionn.com/index.php/ 

  31. http://navercast.naver.com/ 

  32. http://section.blog.naver.com/ 

  33. http://www.auction.co.kr/ 

  34. https://univ20.com/ 

  35. http://m.blog.daum.net/ 

  36. http://www.donga.com/ 

  37. http://www.wkorea.com/ 

  38. http://www.missp.co.kr/ 

  39. http://www.dint.co.kr/ 

  40. http://www.vogue.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