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기 위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 분석: 수학 과제 및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of Functional Thinking for Teaching: Focused on Mathematical Task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2, 2017년, pp.343 - 364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수학교육)) ,  선우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초등학교 수학에서 함수적 사고는 매우 중요하지만,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기 위한 수학 과제 및 수업 전략에 대한 지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검사 도구를 개발한 후 초등학교 교사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부분 곱셈 관계와 덧셈 관계의 과제를 적절하게 개발할 수 있었고, 비연속적인 대응표의 활용과 같은 수업 전략에 대하여 함수적 사고 지도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었다. 반면 일부 교사들은 함수적 사고에 대한 중요한 아이디어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함수적 사고를 지도하기 위한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에 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significance of functional thinking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on teachers who play a major role in making students be engaged in functional thinking. This study surveyed 1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nvestigate their knowledge of functional think...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KT는 크게 어떻게 구분되는가? 먼저 Ball 외(2008)의‘수학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은 교사의 지식을 측정하는 대규모의 연구에서 여러 차례 적용 및 검증되어 왔으며, 최근까지도 여러 국내외 연구에서 교사 지식을 측정하는 분석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예, 전미현, 김구연, 2015; Wilkie, 2014). 구체적으로 Ball 외(2008)의 MKT는 크게 교과 내용 지식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으로 구분되는데, 교과 내용 지식은 공통 내용 지식(Common Content Knowledge [CCK]), 전문화된 내용 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 수학적 식견으로서의 지식(Horizon Content Knowledge [HCK])으로 구성되며,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KCS]), 내용과 교수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KCT]),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Curriculum [KCC])으로 구성된다. Ball 외(2008)의 MKT는 수학 교사의 지식을 여러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수를 가르치기 위한 지식(KAT)은 MKT와 어떤 두 가지 차이점이 있는가? McCrory 외(2012)가 제안하는 KAT는 적어도 두 가지 측면에서 Ball 외(2008)의 MKT와 차이를 보인다. 첫째, KAT는‘대수’를 가르치는 데 필요한 지식이다. 다시 말해KAT는 특정 내용 영역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지식으로 수학 교사의 지식을 더욱 특화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교사의 지식이 가르치는 내용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둘째, KAT는 교사에게 필요한 수학적 지식 뿐 아니라 교사가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도 초점을 두었다. 이는 Ball 외(2008)가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KCS, KCT, KCC로 세분화한 것과 차이를 보인다. McCrory 외(2012)는 대수를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사의 수학적 내용 지식과 그것을 활용하는 교수 관행(teaching practices)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MKT의 장점은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Ball 외(2008)의 MKT는 크게 교과 내용 지식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으로 구분되는데, 교과 내용 지식은 공통 내용 지식(Common Content Knowledge [CCK]), 전문화된 내용 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 수학적 식견으로서의 지식(Horizon Content Knowledge [HCK])으로 구성되며,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KCS]), 내용과 교수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KCT]),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Content and Curriculum [KCC])으로 구성된다. Ball 외(2008)의 MKT는 수학 교사의 지식을 여러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교육부(2014a). 수학 4-1. 서울: 천재교육. 

  2. 교육부(2014b).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3. 교육부(2015a).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4. 교육부(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5. 권성룡(2007). 초등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활동 고찰. 초등수학교육, 10(2), 111-123. 

  6. 김정원 (2014). 초등학교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의 특징 및 지도 방향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정원(2017). 초등학생들은 표를 어떻게 이해할까?: 함수적 사고의 관점에서. 초등수학교육학회, 20(1), 53-68. 

  8. 방정숙(2010).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위한 초등 수학과 수업 평가 기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편집), 교실친화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 초등학교(pp. 140-162). 

  9. 방정숙, 선우진(2016). 초등학생의 함수적 사고 신장을 위한 기하 패턴 지도 사례의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4), 769-789. 

  10. 방정숙, 선우진, 김은경(2017). '규칙과 대응'에 대한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학교수학 19(1), 117-136. 

  11. 전미현, 김구연(2015).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 측정 및 분석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5(4), 691-715. 

  12. 정유경, 방정숙(2015).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5(4), 617-630. 

  13. 정호정, 최창우(2014). 초등학교 교사의 등호 개념에 관한 지식분석 사례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211-236. 

  14. 최지영, 방정숙(2012).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이해 실태 조사. 학교수학, 14(3), 275-296. 

  15. Ball, D., Thames. M.,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6. Beatty, R. (2010). Supporting algebraic thinking: Prioritizing visual representations. Ontario Associa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Gazette, 49(2), 28-34. 

  17. Billings, E. (2008). Exploring generalization through pictorial growth patterns. In C. E. Greenes, & R. Rubenstein (Eds.), Algebra and algebraic thinking in school mathematics (70th yearbook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p. 279-293).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8. Blanton, M., Brizuela, B. M., Sawrey, K., & Newman-Owens, A. (2015). A learning trajectory in six-year-olds' thinking about generalizing algebraic relationships in func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5), 511-558. 

  19.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In B. J. Dougherty, & R. M. Zbiek (Eds.), Essential understandings serie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 Carraher, D. W. & Schliemann, A. D. (2015). Powerful idea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91-218). New York: Routledge. 

  21. Ferrara, F., & Sinclair, N. (2016). An early algebra approach to pattern generalisation: Actualising the virtual through words, gestures and toilet paper.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2(1), 1-19. 

  22. Kieran, C., Pang, J., Schifter, D., & Ng, S. F. (2016). Early algebra: Research into its nature, its learning, its teaching. New York: Springer. 

  23. McCrory, R., Floden, R., Ferrini-Mundy, J., Reckase, M. D., & Senk, S. L. (2012). Knowledge of Algebra for Teaching: A Framework of Knowledge and Practic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5), 584-613. 

  24. Moss, J., & McNab, S. L. (2011). An approach to geometric and numeric patterning that fosters second grade students' reasoning and generalizing about functions and co-variation.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pp. 277-301). New York: Springer. 

  25. Radford, L. (2010). Layers of generality and types of generalization in pattern activities. Pentose Nucleic Acid (PNA), 4(2), 37-62. 

  26. Rivera, F. (2013). Teaching and learning patterns in school mathematics: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New York: Springer. 

  27. Warren, E., & Cooper, T. J. (2008). Patterns that support early algebraic thinking in the elementary school. In C. E. Greenes, & R. Rubenstein (Eds.), Algebra and algebraic thinking in school mathematics (70th Year book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p. 113-126).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8. Wilkie, K. J., & Clarke, D. (2015). Pathways to professional growth: Investigating upper prim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n learning to teach algebra.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0(4), 87-118. 

  29. Wilkie, K. J. (2014) Upper primary school teachers’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functional thinking in algebra.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7(5), 397-4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