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영재학생들의 원순열 과제 해결 분석
Analysis on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quiries on combinatoric task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2, 2017년, pp.365 - 389  

박진형 (명지대학교) ,  김동원 (청주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영재학생들의 원순열 과제 해결 과정을 분석하여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영재학생들에게 원순열 과제를 제공하여 이 학생들의 해결 과정을 표현, 세기 과정, 결과 집합구성 방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순열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일부 학생들이 유추를 활용하는 장면이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은 가능한 결과들의 범주화와 재범주화 과정에서, 그리고 유추의 적절하지 않은 활용으로 인하여 원순열 과제해결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quiries on combinatoric tasks. In particular, we designed circular permutation tasks and analyzed students' inquiries on these tasks. We especially analyzed students' expressions, counting processes, and their construction of set of outcome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승인(2000)에 따르면 수학 영재학생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수학 영재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수학적 과제를 비교적 간결하고 명료하게 해결하며, 이러한 수학적 과제 해결 과정과 결과를 신속하게 일반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ruteskii,1976). 남승인(2000)에 따르면 수학 영재학생들은 주변의 환경에서 양과 양적 측면에 민감하며 관심과 호기심이 많고, 수학적 규칙성, 수학적 구조에 대한 지각력, 해석력이 민첩하다. 또한, 일반적 수준의 문제 해결에서 적용되는 알고리즘을 일반화하는 능력이 우수하며, 수학적 추론 과정을 단축할 수 있고, 예상하기 어려운 독특한 방식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경향이 있다. 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방식으로 수학적 탐구를 전개하려는 경향이 있다.
조합적 과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국내외 선행 연구들에서는 학생들이 조합적 과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 상황에 따라 같은 경우로 고려되거나 혹은 다른 경우로 구분되기도 하는 결과들에 대해 학생들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구나영과 이경화(2014)는 순열 과제를 해결할 때에는 순서에 따라 다른 경우로 고려되었던 결과들이 조합적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하나의 경우로 고려되면서 겪는 학생들의 어려움을 소개한 바 있다. 이와 유사하게, Kapon, Ron, Hershkowitz, Dreyfus (2015)는 두 개의 동전 A, B를 동시에 던지는 시행에서, 동전 A, B가 각각 앞면과 뒷면이 나오는 결과와 뒷면과 앞면이 나오는 결과가 서로 같은 경우로 고려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다른 경우로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 장면을 보고하였다. 구나영과 이경화(2014)에서 학생들은 순열 과제를 해결한 방식을 조합적 과제 해결에 활용하는 과정에서 중복되는 경우들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구나영과 이경화(2014)의 경우 순열로부터 조합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의 탐구를 설계하였음이 확인된다.
조합론이 학교 수학에서 강조된 이유는? 학교수학에서는 주로 유한 집합의 원소의 선택이나 배열 등에 대한 문제와 관련지어 조합론(combinatorics)을 다루며, 수학교육 연구 공동체에서는 학생들이 이러한 조합적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사고를 조합적 사고라는 용어로 논의해왔다(Lockwood,2013). 조합론은 한편으로 우리의 일상이나 다양한 학문 영역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으로 학생들의 수학적 탐구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교수학에서 강조되어 왔다(Eizenberg & Zaslavsky,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구나영, 이경화 (2014). 중복 개념의 대상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1), 67-82. 

  2. 김미정 (2010). 중등수학에서 발견을 통한 순열과 조합 지도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미정, 김용구, 정인철 (2009a). 고등학교 순열과 조합 단원의 불안요인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2), 261-279. 

  4. 김미정, 김용구, 정인철 (2009b). 발견을 통한 순열과 조합 지도방안 연구. 수학교육, 48(2), 113-139. 

  5. 김서령, 박혜숙, 김완순 (2007). 조합문제에서의 인식론적 장애. 수학교육, 46(2), 193-205. 

  6. 김원경, 홍갑룡, 이종학 (2011).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순열과 조합의 교수 학습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25(3), 607-627. 

  7. 남승인 (2000). 초등학교 저학년 영재지도 방안. 수학교육 학술지, 5, 21-37. 

  8. 방신영, 송상헌 (2013). 스핑크스퍼즐로 모든 삼각형 해법 찾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165-184. 

  9. 송상헌, 임재훈, 정영옥, 권석일, 김지원 (2007). 초등수학영재들이 페그퍼즐 과제에서 보여주는 대수적 일반화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2), 163-177. 

  10. 이경화 (2009). 영재아들의 세 유형의 유추 과제 해결. 수학교육학연구, 19(1), 45-61. 

  11. 이지현, 이정연, 최영기 (2005). 순열 조합 문장제의 문제 변인과 오류 분석. 학교수학, 7(2), 123-137. 

  12. 이진수, 송상헌 (2013). 다면체의 쌍대 탐구 과정에서 초등수학영재들이 ㄹ보여주는 시각화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351-370. 

  13. 황지남(2015). 초등수학영재의 수학적 정당화를 위한 칠교판 활용방안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589-608. 

  14. Batanero, C., Navarro-Pelayo, V., & Godino, J. (1997). Effect of the implicit combinatorial model on combinatorial reasoning in secondary school pupil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2, 181-199. 

  15. Creswell, J. W. (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6. Dreyfus, T., & Tsamir, P. (2004). Ben's consolidation of knowledge structures about infinite set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3, 271-300. 

  17. Eizenberg, M. M., & Zaslavsky, O. (2004). Students' verification strategies for combinatorial problem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6(1), 15-36. 

  18. English, L. D. (1991). Young children's combinatoric strateg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5), 451-474. 

  19. English, L. D. (2005). Combinatorics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mbinatorial reasoning. In G. A. Jones(Ed), Exploring probability in school: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p. 121-141). New York: Springer. 

  20. Guerra-Ramos, M. T. (2011). Analogies as Tools for Meaning Making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How Do They Work in Classroom Setting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7(1), 29-39. 

  21. Kapon, S., Ron, G., Hershkowitz, R., & Dreyfus, T. (2015). Perceiving permutations as distinct outcomes: the accommodation of a complex knowledge syste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1), 43-64. 

  22.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Lockwood, E. (2011). Student connections among counting problems: An exploration using actor-oriented transfer.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8(3), 307-322. 

  24. Lockwood, E. (2013). A model of students' combinatorial thinking.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2(2), 251-265. 

  25. Maher, C. A., Powell, A. B., & Uptegrove, E. B. (2010). Combinatorics and reasoning: Representing, justifying, and building isomorphisms. New York: Springer. 

  26. Mason, J. (2011). Classifying and characterising: Provoking awareness of the use of a natural power in mathematics and in mathematical pedagogy. In O. Zaslavsky & P. Sullivan(Eds.) Constructing knowledge for teaching secondary mathematics (pp. 39-56). New York: Springer. 

  27. Marton, F. (2006). Sameness and difference in transfer.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5(4), 499-535. 

  28. Sfard, A. (1991). On the dual nature of mathematical conceptions: Reflections on processes and objects as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 1-36. 

  29.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