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 : 공간구조 기반 접근
Spatio-temporal Changes of Urban Sprawl Proces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Spatial Structure-based Approach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3, 2016년, pp.628 - 642  

임수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김감영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와 같이 가용 국토면적이 좁은 상황에서 도시의 급격한 외연적 팽창은 여러 도시 및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진다. 도시 스프롤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시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그 양상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면적, 분포, 형태 등 공간구조 관점에서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관 분석 툴인 FRAGSTATS을 이용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말 이래 수도권의 스프롤은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으며, 그 경향은 1990년대 보다 분명하였다. 1990대에는 비지적 개발이, 2000년대에는 충진 개발이 상대적으로 강하였다. 둘째, 권역별로 보면, 스프롤 경향과 개발의 방식이 권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경관지수 측면에서 과밀억제권역의 스프롤 경향이 가장 강하지만 충진 개발이 우세한 반면, 성장관리권역1의 경우 1990년대는 비지적 개발이, 2000년대에는 충진 개발이 우세하였다. 성장관리권역2의 경우 1980년대 이후 비지적 개발이, 자연보전권역의 경우 스프롤의 수준이 가장 약하지만 점차 그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셋째, 수도권 스프롤 양상은 서울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에 따라 상이하였다. 1980년대 말에는 서울에 인접한 시군에서, 1990년대 말에는 서울 인접 시군과 남부지역에서, 2000년대 말에는 서울의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에서 스프롤 현상이 뚜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mall countries such as Korea, rapid expansion of cities has been pointed out as the main cause of urban and environmental issu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urban problems caused by urban sprawl and prepare countermeasures for it, urban sprawl must be accurately measured first of all. The purpo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전역에선, 언제부터 교외화・ 광역화가 진행되었는가? 수도권은 일반적으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전역을 포함하는 범위로 규정(건설교통부, 2006)된다. 이 지역은 1970년대 후반부터 교외화・ 광역화가 진행되었는데 서울시 주변에 설정된 그린벨트로 인해 비지적 팽창이 불가피하게 수반되 었고(권용우, 2001), 개발사업 단위 위주의 택지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비효율적인 도시 확장 패턴인 스프롤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롤 현상으로 인해 도로 등 기반시설용량을 초과하고 있고 자연녹지공간이 무분별하게 잠식당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경기도, 2012).
FRAGSTATS는 어떤 도구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면적, 분포, 형태 등 공간구조 관점에서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관 분석 툴인 FRAGSTATS을 이용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 스프롤은 무엇인가? 도시 스프롤은 기존 도시의 경계 혹은 그 주변에서 나타나는 도시의 수평적 팽창과정으로 일종의 교외화 현상이다. 낮은 주거 밀도, 새로운 개발에 따른 무제한적 도시 외부 확장, 지구제를 통해 상이한 토지이용 유형의 공간 분리, 비지적 개발 (leapfrog development) 등이 도시 스프롤의 주된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건설교통부, 2006,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2006-2020). 

  2. 경기도, 2012, 경기도종합계획(2012-2020). 

  3. 권용우, 2001, 교외지역: 수도권 교외화의 이론과 실제, 아카넷. 

  4. 사공호상, 2004,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화지역 확산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40(3월호), 53-69. 

  5. 신정엽.김진영, 2012, 도시 스프롤에 대한 논의 재조명과 공간 분석 방법론에 토대한 도시 스프롤 측정연구: 수도권을 사례로, 서울법학, 19(3), 317-354. 

  6. 엄현태.우명제, 2015, 도시스프롤 현상이 중심도 시쇠퇴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재생에 대한 함의, 국토 계획, 50(3), 73-89. 

  7. 이동근.이현이.김은영, 2007, 개발에 따른 탄천유역의 파편화 및 이질성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6), 120-129. 

  8. 이동근.최혜영, 2008, 단계적 변화분석(gradient analysis)을 적용한 도시화의 공간적 평가, 환경 영향평가, 17(6), 357-366. 

  9. 임수진.김감영, 2015, 도시 스프롤 측정 방법으로 서 밀도 기반 스프롤 지수 특성 평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2), 67-79. 

  10. 임은선.이종열.김형진.이희연, 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외연확산형과 압축형 도시측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국토연 2006-6. 

  11. 장병관.황국웅, 2011, 도시화에 따른 경관다양성의 시공간적 패턴 연구, 지역사회연구, 19(4), 167-179. 

  12. 페티그로브 마가렛.황철수, 2010, 도시성장경계가 도시 밀도와 도시 스프롤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5), 549-558. 

  13. Bailey, T. and Kim, H. J., 2014, Monitoring Sprawl Through Land Use Cover Change, National Social Science, 42(2), 1-9. 

  14. de Almeida, C. M., Alves, C. D., Pereira, M. N., Miglioranza, E., and Tomas, L. R., 2007, Morphological metrics and unsupervised neural networks to analyse urban sprawl and intercity commuting, Simposio Brasileiro de Sensoriamento Remoto, 13, 5059-5066. 

  15. Fallah, B., Partridge, M., and Olfert, M., 2011, Urban sprawl and productivity: evidence from US metropolitan areas, Papers in Regional Science, 90(3), 451-472. 

  16. Fallah, B., Partridge, M., and Olfert, M., 2012, Uncertain economic growth and sprawl: evidence from a stochastic growth approach,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49(3), 589-617. 

  17. Fulton, W., Pendall, R., Nguyen, M., and Harrison, A., 2001, Who Sprawls Most? How Growth Patterns Differ Across the U.S., Brookings Institution, Center on Urban and Metropolitan Policy, Washington, D.C. 

  18. Furberg, D. and Ban, Y., 2008, Satellite monitoring of urban sprawl and assessing the impact of land cover changes in the Greater Toronto Area, In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ISPRS Congress Beijing, 131-136. 

  19. Ji, W., Ma, J., Twibell, R. W., and Underhill, K., 2006, Characterizing urban sprawl using multi-stage remote sensing images and landscape metric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30(6), 861-879. 

  20. Laidley, T., 2015, Measuring Sprawl A New Index, Recent Trends, and Future Research, Urban Affairs Review, 1078087414568812. 

  21. Lopez, R. and Hynes, H., 2003, Sprawl in the 1990s: Measurement, Distribution, and Trends, Urban Affairs Review, 38(3), 325-355. 

  22. Lopez, R., 2004, Urban sprawl and risk for being overweight or obes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9), 1574-1579. 

  23. Lopez, R., 2014, Urban Sprawl in the United States: 1970-2010, Cities and the Environment, 7(1), Article7. 

  24. McGarigal, K., 2015, FRAGSTATS help, http://www.umass.edu/landeco/research/fragstats/documents/fragstats.help.4.2.pdf. 

  25. Ramachandra, T. V. and Aithal, B. H., 2013, Urbanisation and Sprawl in the Tier II City: Metrics, Dynamics and Modelling Using Spatio-Temporal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Applications, 3(2), 65-74. 

  26. Taubenbock, H., Wegmann, M., Roth, A., Mehl, H., and Dech, S., 2009, Analysis of urban sprawl at mega city Cairo, Egypt using multisensoral remote sensing data, landscape metrics and gradient analysis, in Proceedings of the ISRSE conference, Stresa, Italy. 

  27. Torrens, P. M., 2008, A toolkit for measuring sprawl, Applied Spatial Analysis and Policy, 1(1), 5-36. 

  28. Tsai, Y. H., 2015, Housing demand forces and land use towards urban compactness: A pushaccessibility-pull analysis framework, Urban Studies, 52(13), 2441-2457. 

  29. Yeh, A. G. O. and Xia, L., 2001, Measurement and monitoring of urban sprawl in a rapidly growing region using entrop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7(1), 83-90. 

  30. 국토교통부 http://www.molit.go.kr. 

  31.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32. 환경부 환경공간정보서비스 https://egis.m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