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영상을 이용한 소규모 가스 배출시설 탐지 가능성 분석
Availability Analysis on Detection of Small Scale Gas Emission Facilities using Drone Imagery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7 no.1, 2017년, pp.213 - 223  

신정일 ((주)지오스토리 공간정보솔루션연구소) ,  김익재 ((주)지오스토리 공간정보솔루션연구소) ,  황동현 (한국국토정보공사 융복합사업부) ,  이종민 (한국국토정보공사 융복합사업부) ,  임성하 (한국국토정보공사 융복합사업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의 대기환경이 악화되고 있으며 대기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관측수단이 대기환경 모니터링에 이용되고 있으나, 배출시설에 대한 공간정보가 부재한 실정에서 관측자의 경험과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모니터링을 위한 드론 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드론 정사영상에 질감 변환 기법을 적용하여 공장지붕에 분포하는 소규모 가스 배출시설을 탐지하였고, 오탐지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치표면모델(DSM)로 계산한 경사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약 80%의 정탐지율과 40%의 오탐지율을 보여주어 소규모 가스 배출시설 탐지에 있어 드론 영상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정탐지율의 향상 및 오탐지율의 감소와 관련된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air quality of South Korea has deteriorated and public interest has been increasing. Various observation means are used for the monitoring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but it relies on the experience and judgment of the observer in the absence of spatial information on the emiss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드론 영상 처리에 있어 DSM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사 보정에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DSM을 지붕에 분포하는 소규모 가스 배출시설 탐지 시 오탐지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료로 함께 사용하였다. Figure 3은 연구지역인 공장 건물에 대한 DSM을 보여주고 있으며, 고도 30m에서 70m의 범위를 갖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드론 영상을 이용하여 공장 지붕에 분포하는 소규모 가스 배출시설 (배기구)을 탐지하는 실험을 통하여 대기환경 단속업무에 있어 드론 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따라서 국소적 대기환경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대기환경범죄를 단속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관리 및 모니터링이 소홀한 소규모 가스 배출시설에 대한 탐지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드론 정사영상에 대한 질감 변환을 통하여 공장 지붕에 분포하는 소규모 가스 배출시설을 78%의 정탐지율로 탐지하였으나 오탐지율이 92%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감이란 무엇인가? 질감은 특정 영역(kernel)에서 나타나는 색조의 변화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분산, 최대-최소 등의 1차 통계값 기반의 척도와 GLCM (gray-level co-occurrence matrix)을 이용하는 2차 통계값 기반의 척도를 들 수 있다. 많은 연구에서 GLCM 기반 질감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원격탐사, 의료영상, 컴퓨터비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객체 인식을 수행하였고,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다(김기홍 외 2006; Shin et al.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대기환경 및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으로는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지상관측망을 이용하는 방법, 굴뚝원격감시시스템(CleanSYS)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은 광역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낮은 공간해상도와 시간해상도의 단점을 갖고 있다(Martin 2008;Wespes et al. 2012).
지상관측망의 단점은 무엇인가? 지상관측망은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AirKorea를 통해 전국 시 ‧ 군에 322개의 도시대기 측정망, 도로변대기 측정망, 국가배경 측정망, 교외대기 측정망으로 나뉘어 설치되어 있으며 측정된 대기환경 기준물질의 측정 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한국환경공단 2017). 그러나 관측망의 밀도가 낮아 국소지역이나 특정 사업장에 대한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굴뚝원격감시시스템은 대기오염물질 배출 감시를 위해 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하여 24시간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전국 552개 사업장 1437개 시설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고, 가스의 배출량, 온도 등을 측정하며 5분, 30분 단위로 자료가 전송된다(윤정호 외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영일, 최명진, 홍대식, 최수, 박도현, 배효욱. 2014. 실시간 원격 환경오염 감시기술. 국방과학연구소. 2014-I-09. (Kang YI, Choi MJ, Hong DS, Choi S, Park DH, Bae HU. 2014. Realtime remote environment pollution monitoring technology.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2014-I-09.) 

  2. 김기홍, 최승필, 육운수, 손홍규. 2006. GLCM기법을 이용한 전정색 위성영상에서의 도시경계 추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1D):211-217. (Kim GH, Choi SP, Yook WS, Sohn HG. 2006. Extraction of urban boundary using grey level co-occurrence matrix method in pancromatic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6(1D):211-217.) 

  3. 김대남. 2008. SPOT-5 영상과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감독분류 기반의 자동 지형분류.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p. 71. (Kim DN. 2008. Automatic supervised classification utilizing SPOT-5 satellite image and LiDAR data [thesis]. Inha University. p. 71.) 

  4. 김영준. 2013. 대기환경 통합 진단.예측 연구. 광주과학기술원. p. 4-7. (Kim YJ. 2013. Integrated diagnostics and forecasting of atmospheric environment.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 4-7.) 

  5. 김용민. 2012.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빌딩 탐지기반의 항공사진 분류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p. 91-92. (Kim YM. 2012. A study on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accuracy of aerial imagery based on building detection using airborne LiDAR data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 91-92.) 

  6. 김정태. 2016. 드론을 이용한 3D맵핑 시스템 활용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p. 1-11. (Kim JT. 2016. A study on 3D mapping system utilization using drone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p. 1-11.) 

  7. 손승우, 윤정호, 조지혜, 김태현, 전형진. 2016. 드론을 이용한 환경재난 사후대응 기술 및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06. (Son SW, Yoon JH, Jo JH, Kim TH, Jeon HJ. 2016. Analysis of disaster response technologies that use drones and trend of research.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06.) 

  8. 윤정호, 정우현, 이승민, 한대호, 전형진, 손승우, 이종민. 2016. 환경오염도 측정자료의 환경감시업무 활용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환경부. p. 10-18. (Yoon JH, Jeong WH, Lee SM, Han DH, Jeon HJ, Son SW, Lee JM.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application system for environment monitoring of environment pollution measurement data. Ministry of Environment. p. 10-18.) 

  9. 이진덕, 방건준, 김성훈, 이규달. 2014. 수치항공사진으로부터 소형건물의 지붕 경계 추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425-435. (Lee JD, Bhang KJ, Kim SH, Lee KD. 2014. Extracting roof edges of small buildings from digital aerial photograph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5):425-435.) 

  10. 조남욱, 이종천, 김도현, 심지훈. 2015. 원거리 유해가스 검출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2015-126. (Cho NW, Lee JC, Kim DH, Shim JH. 2015. Development of remote sensing & monitoring technology of hazardous gases.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15-126.) 

  11. 천병석. 2017. 드론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소규모 지형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통대학교. p. 1-28. (Cheon BS. 2017. Analysis of small scale topographic change using drone digital image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p. 1-28.) 

  12. 최종수. 2016. UAV 영상을 활용한 Edge Detection 기반 객체추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과학기술대학원. p. 60-61. (Choi JS. 2016. A study of feature extraction based edge detection using UAV imagery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 60-61.) 

  13. 황계영. 2015. 환경지도 . 단속 업무의 현황 및 향후 정책 방향. 환경법연구. 37(2):75-101. (Hwang GY. 2015. Environmental inspection and control-Present state and policy direction. Environmental Law Review. 37(2):75-101.) 

  14. 한국환경공단. 2017. 에어코리아 소개[인터넷]. [http://www.airkorea.or.kr/airinfo]. 2017년 4월 25일 검색.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17. About AIRKOREA [Internet]. [http://www.airkorea.or.kr/airinfo]. Last accessed 25 April 2017.) 

  15. Berman ESF, Fladeland MLJ, Kolyer R, Gupta M. 2012. Greenhouse gas analyzer for measurements of carbon dioxide, methane, and water vapor aboard an unmanned aerial vehicle.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169(5):128-135. 

  16. Cheng CI. 2003. Hyperspectral Imaging: Techniques for Spectra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Kluwer Academic / Plenum Publishers. p. 2-35. 

  17. Fladeland M, Sumich M, Lobitz B, Kolyer R, Herlth D, Berthold R, McKinnon D, Monforton L, Brass J, Bland G. 2011. The nasa sierra science demonstration programme and the role of small-medium unmanned aircraft for earth science investigations. Geocarto International. 26(2):157-163. 

  18. Jensen JR. 2016.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Pearson Education. p. 344-347. 

  19. Jivane MJ, Soundrapandiyan R. 2017. Enhancement of an algorithm for oil detection in satellite im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lligent Engineering & Systems. 10(3):218-225. 

  20. Li Z, Liu Y, Walker RA, Hayward RF, Zhang J. 2009. Towards automatic power line detection for a UAV surveillance system using pulse coupled neural filter and an improved Hough transform. Machine Vision and Applications. 21(5):677-686. 

  21. Malaver A, Motta N, Corke P, Gonzalez F. 2015.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a solar powere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 to monitor greenhouse gases. Sensors. 15(2):4072-4096. 

  22. Martin RV. 2008. Satellite remote sensing of surface air quality. Atmospheric Environment. 42(34):7823-7843. 

  23. Mohanaiah P, Sathyanarayana P, GuruKumar L. 2013. Image textrue featrue extraction using GLCM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and Research Publications. 3(5):1-5. 

  24. Shin MS, Shin JI, Park IS, Suh YC. 2016. Detection of seabed rock using airborne bathymetric Lidar and hyperspectral data in the East Sea coas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2):143-151. 

  25. Villa TF, Gonzalez F, Miljievic B, Ristovski ZD, Morawska L. 2016. An overview of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air quality measurements: Present applications and future prospectives. Sensors. 16(7):1072-1101. 

  26. Wespes C, Emmons L, Edwards DP, Hannigan J, Hurtmans D, Saunois M, Coheur PF, Clerbaux C, Coffey MT, Batchelor RL. 2012. Analysis of ozone and nitric acid in spring and summer arctic pollution using aircraft, ground-based, satellite observations and Mozart-4 model: Source attribution and partitioning.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2(1):237-2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