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적 제135호 부여 궁남지의 정비과정으로 살펴본 전통의 남용과 발명
The Abuse and Invention of Tradition from Maintenance Process of Historic Site No.135 Buyeo Gungnamji Pond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2, 2017년, pp.26 - 44  

정우진 (상명대학교 한중문화정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전통 연지의 시원으로 평가되는 궁남지는 "삼국사기"에 나타난 무왕의 연지 축조 기록, 사비왕궁으로 추정되는 관북리 유적 및 화지산 이궁지 남쪽에 위치한 지리적 정황에 의해 궁남지로 비정되는 한편 사적으로 지정 복원되었다. 본 연구는 궁남지의 복원정비 과정에 나타난 진정성 왜곡과 전통의 발명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되었으며, 연구의 요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마래방죽[마천지]으로 불려왔던 궁남지는 일제 강점기 때만 해도 3만여 평의 광대한 자연 저습지의 상태로 존재했다. 궁남지 복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홍사준은 1940년대만 해도 마래방죽에 백제시대 궁남지 유적으로 추정되는 섬과 석축시설이 남아있었고 그 위에 전각 및 정원을 조성한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전했다. 또한 화지산 이궁터의 조사 후 서동설화와 연관시켜 마래방죽을 궁남지와 동일시하는 의견을 피력하였는데, 이는 궁남지 복원정비의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였다. 특히 홍사준이 제시한 스케치 도면 및 부여도엽에서 마래방죽의 형태와 규모를 엿볼 수 있었는데, 이러한 방죽의 형태는 일제 강점기에 촬영된 사진 속 상황과 근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2. 궁남지의 축소정비는 1960년대 추진된 경지정리사업에 의해 농경지로 불하되고 남은 잔여의 면적이 수습된 결과였다. 1965~67년에 있었던 최초 복원공사 이래 수차례 시행된 궁남지 정비를 통해 드러난 문제는 고고학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채 후대의 시각으로 추정복원 되면서 경복궁 향원지의 구성을 그대로 복제한 데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연못 안에 섬과 정자를 놓고 교량으로 섬과 육지를 연결시키는 구성은 궁남지가 경복궁 향원정을 모델로 만들어졌음을 방증해 준다. 하지만 교량설계에 참조된 취향교 조차도 조선시대의 형식으로 보기 어려운바 당시의 잘못된 복원설계의 동기와 발상이 궁남지의 가치를 크게 저하시켰다고 판단된다. 이처럼 전통조경의 소재로서 이미 널리 알려진 디자인 전범을 그대로 모방한 것은 경복궁이 갖는 미적 표상과 기호를 지향한 것으로서, 궁남지가 그와 유사한 장소 권위를 획득하도록 의도된 것이었다. 3. 궁남지는 애초부터 진정성이 결여된 채 정비된 사적이었기 때문에 정비 과정에서 경관의 왜곡과 전통성의 남용을 통해 유적의 역사적 맥락이 과감히 표방되어 갔다. 이러한 역사 재료의 무비판적인 활용과 왜곡을 불사한 정비방식은 1960~70년대 박정희 체제에 의해 주도된 민족주의 문화정책과 맞닿아 있다. '만들어진 전통담론'의 맥락에서, 박정희 시기의 문화정책은 국민의 기억에서 이상화된 과거를 취사선택하여 그것을 가시적으로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이전의 유적을 보수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이 부각된 사적지가 전국 곳곳에 생겨나게 되었는데, 궁남지가 초기에 순수한 보존의식으로 축소되어 정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점차 본래 공간과는 상관없는 새로운 건조물들이 들어서고 기형적으로 확장 정비되어 갔던 사실은 그러한 국가주도 문화정책의 영향이 컸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garded as Korea's traditional pond, Gungnamj Pond was surmised to be "Gungnamji" due to its geological positioning in the south of Hwajisan (花枝山) and relics of the Gwanbuk-ri (官北里) suspected of being components to the historical records of Muwang (武...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궁남지는 일제강점기때 어떠한 모습으로 존재했는가? 마래방죽 또는 마천지(馬川池)로 불려왔던 궁남지는 일제 강점기 때만 해도 3만여 평의 광대한 자연 저습지의 상태로 존재했다. 마래방죽이 있던 동남리, 군수리, 왕포리 일대는 지형이 완만하고 하천과의 고도차가 적어, 홍수가 발생하게 되면 상습적인 침수가 발생하는 범람지대였다.
마래방죽이 존재하는 일대는? 마래방죽 또는 마천지(馬川池)로 불려왔던 궁남지는 일제 강점기 때만 해도 3만여 평의 광대한 자연 저습지의 상태로 존재했다. 마래방죽이 있던 동남리, 군수리, 왕포리 일대는 지형이 완만하고 하천과의 고도차가 적어, 홍수가 발생하게 되면 상습적인 침수가 발생하는 범람지대였다. 특히 부여읍 일대는 홍수가 끝난 뒤도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물에 잠겨 있는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데, 이 때문에 수역(水域)이 유동적인 배후습지와 충적토 지대가 넓게 분포되어 있다.
포룡정 명칭에 대한 유래로 존재하는 것은? 완공 직전에 정자명이 무선루에서 포룡정으로 변경된 경위는 뚜렷치 않다. 다만 「궁남지복원공사설계서승인신청(1971년)」(BA0120306)에서 ‘전각의 명칭은 고증에 의해 작명할 것’이라는 짧은 기록에 의해 준공직전 재작명의 요구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이다(Figure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ung, D. O.(1986). Korean Garden(한국의 정원). Seoul: Minumsa Publishing Co.. p.49. 

  2. Lee, S. H.(2012). Ancient Topography Restoration for Historic City: Focus on Baekje Sabi Capital City(역사도시 연구를 위한 고대 지형 복원: 백제 사비도성을 중심으로).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Seoul. 

  3. Hong, S. J.(1970). Gungnamji Pond and Earthenware(궁남지와 토기).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106-107: 34-37. p.36. 

  4. Hong, S. J.(1961). Baekje Culture and Buyeo(백제문화와 부여). Seoul: Hakwonsa Publishing Co.. p.149-154. 

  5. The Construction Project of Gungnamji Building(궁남지 전각 건립 공사)(1971). National Archives of Korea: BA0120306. 

  6. The Restoration of Gungnamji Pond(궁남지 복원)(1972). National Archives of Korea: BA0120591 

  7. The Repair Works of Gungnamji Bridge(궁남지 교량 보수공사) (1981). National Archives of Korea: BA0123013. 

  8. Historic Site No.135 Buyeo Gungnamji Pond(사적 제135호 궁남지) (1970's). National Archives of Korea: CET0063531 

  9. The Foreground of the Gungnamji Pond(궁남지 전경) (1973). National Archives of Korea: CET0061080 

  10. Development Project of Baekje Cultural Area(백제문화권개발)(1)), National Archives of Korea(BA0806641) 

  11. Yoon, J. U.(1998). The 100 Years of Buyeo City from Photograph (사진으로 보는 부여의 백년). Daejeon: AllGraphics. p. 229. 

  12. Construction of Buyeo Gungnamji Wooden Bridge(부여 궁남지 목교 설치공사)(1987), National Archives of Korea(CA0015705) 

  13.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07). Transformational History of Gyeongbokgung Palace(경복궁 변천사) vol.2. Daeje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137. 

  14. Bae, H. H. and Lee, S. R.(1981). Now this Joseon Saw has rusted (이제 조선 톱에도 녹이 슬었네). Seoul: 'Deep-rooted Tree' Publishing Co.. p.178. 

  15. Jung, W. J., Song, S. H. and Sim, W. K.(2013).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onds and the Account of Reconstruction at Jondeokjeong Area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창덕 궁 후원 존덕정 일원 지당의 변형과 조영경위에 관한 고찰).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1): 71-86. 

  16. Busan Museum(2009). The Modern Landscapes from photo postcards(사진엽서로 보는 근대 풍경) vol.4. Busan: Minsokwon. p.132, 139. 

  17. Kim, N. K.(1990). Reflection and Task of Realization of Traditionality in Process of Development Korean Modern Construction(한국 현대건축의 전개과정에서 본 전통구현의 반성과 과제).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34(2): 24-27. 

  18. Oh, M. S.(1998). Public Discourse on National Culture and Cultural Policy in 1960s and 1970s(1960-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CROSS-CULTURAL STUDIES 4: 121-152. pp.128-130. 

  19. Jeon, J. H.(1998). Nationalism and the Use of History : Traditional Culture Policy in Park Jung Hee's Political Regime(민족주의와 역사의 이용 : 박정희 체제의 전통문화정책) Social Science Research 7: 83-106. p.90. 

  20. Hong, J. S.(1981). A Study of Sabi-castle Town in Backje - Focused on Remains and Relics-(백제 사비성 연구 -유물, 유적을 중심으로-). Master's Thesis of Dongguk University, Seoul. 

  21. Seung, J. T.(1982). A Study of Sabi-castle Town in Backje(백제 사비도성 연구). The Paekche Yonku(백제연구) 13: 5-56. pp.31-33. 

  22. Kim, S. B.(2005). The Current States and Future Prospects of Excavation Survey from Buyeo Gungnamji Pond(부여 궁남지 유적 발굴조사 현황과 전망). The Research of Backje Culture. 34: 111-125. 

  23. Yeo, H. K.(2001). A Study 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abi citadel, Baekje(백제 사비도성의 구조와 성격). Master's Thesis of Danguk University, Seoul. p.56. 

  24. Kim, N. J.(2011). The Palatial Garden of Baekje(백제 궁성의 원지와 후원). The Paekche Yonku 53: 21-49. pp.26-27. 

  25. Kim, K. T.(2012). A Tentative Idea on the Change of Drainage System of Sabi- Capital-town(사비도성의 배수체계 변천에 대한 시론적 고찰). Journal of Korea Ancient History(한국상고사학보) 77: 37-62. p.57. 

  26. Lee, D. H.(2015). Review of Iksan Province in Baekje History(백제사 속의 익산에 대한 재조명). Mahan, Baekje Cultures(마한, 백제문화) 25: 93-112. pp.103-103. 

  27. Kang, J. W.(2016).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Mireuksa Under the King Mu in the Baekje Kingdom(백제 무왕대의 정국변화와 미륵사 조영). Baekje Culture 54: 285-310. p.292. 

  28. Choi, J. Y.(2015). The Story of our land Finding through History and Origin of a word(역사와 어원으로 찾아가는 우리 땅 이야기). Paju: 21th Books Poblishing Co.. p28, p.118. 

  29. Choi, S. W.(2015). Changes in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artography(근현대 지도제작 기술의 변천). The Korean Cartographic Journal: 15(2): 103-105. p.106. 

  30. National Heritage Center(2010). A Basic Study on the Standards Establishment about Landscape Maintenance of Historic Site - Landscape Maintenance Plans of Confucian Academy(사적지 조경 정비 기준확립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서원의 조경정비 방안-). Daeje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37. 

  31. Hobsbawm E. J. and Ranger T. O.(1983). The Invention of tradition.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2; p.263. 

  32. Lee, J. S.(1997). Current Situations and Issues of Development of Back-Je Cultural Zone(백제문화권 개발의 현황과 과제). The Chungnam Review 10: 13-29. p.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