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A Study on Children's Poetry Activity through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Program in A Small Group 원문보기

韓國保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17 no.4, 2017년, pp.233 - 258  

박부숙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임명희 (동남보건대학교 보육과) ,  박윤조 (여주대학교 보육과)

초록

음악적 경험 중에서 감상활동은 다른 음악 활동에 선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인식 부족과 교수 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생각을 반영하여 통합적 음악 감상을 구성하고 유아들이 음악 감상에 흥미를 갖게 하며, 유아 스스로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고, 연계활동으로 유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동시로 표현하였다. 만 3, 4세의 발달 특성상 개인별 동시 짓기의 어려움이 있어서 자신의 의견을 나누며, 또래들의 반응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소그룹 토의를 통한 동시 짓기로 접근 하였다. 현장에서 음악 감상과 동시 짓기 활동을 어려워하는 교사들에게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의 생각을 반영한 통합적 음악 감상을 통한 소그룹 동시 짓기를 한 결과 유아들은 초기에는 음악 감상을 위한 준비과정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으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음악적 개념을 발견하고, 음악 감상에 적극적이었다. 연계활동으로 동시를 지을 때 또래의 이야기를 들으며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자극이 되었고, 동시에 관심이 없었던 유아들도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교사도 유아의 창의적인 단어에 흥미를 보였고, 유아들과 함께 창작의 기쁨을 느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listening to music is the most basic musical experience that is ahead of all the other musical activities, it tends to be neglected due to lack of awareness and difficult teaching methods. This study is to compose integrative music appreciation by reflecting thoughts of children, draw chi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생각을 반영하여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을 실행하여 음악 감상 과정을 즐기는데 의의를 두어 유아들이 음악 감상에 흥미를 갖게 하며, 유아들이 자연스럽게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 발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연계활동으로 음악 감상에서 느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동시로 표현하였다.
  • 교사와 유아 상호 주도적 음악 감상 활동은 음악 감상 활동방법을 비롯하여 감상에 필요한 소품이나 자료를 유아가 주도적으로 준비하고 교사도 구성원으로서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통합적 음악감상은 예술영역 내에서 통합으로 음률활동, 조형활동, 문학(극놀이)활동의 이론적 기본 요소가 유아 교육기관의 생활주제 및 유아의 흥미, 그리고 각 교육 내용 간 주제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통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음악 감상 과정에 유아들이 참여하여 음악을 즐기고 느끼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음악 감상 과정에서 유아의 창의적이고 순수한 언어 표현은 최근 일상생활 속에서 거칠어진 우리의 말과 상반된 상황을 만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상활동은 어떻게 여겨지고 있는가? 음악적 경험 중에서 감상활동은 다른 음악 활동에 선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인식 부족과 교수 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생각을 반영하여 통합적 음악 감상을 구성하고 유아들이 음악 감상에 흥미를 갖게 하며, 유아 스스로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고, 연계활동으로 유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동시로 표현하였다.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음악교육의 특징은? 음악교육은 음악을 통한 인간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김정희, 김영희, 2003). 특히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음악교육은 미적 감각과 정서적 표현 능력을 포함함은 물론 인격형성의 토대 마련과 동시에 음악능력 발달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 특히 인간의 음악능력 중 듣기 감각은 그 분화가 매우 뚜렷해 2-6세에 음악능력의 기본이 되는 듣기 감각과 반응력이 뚜렷하게 발달한다.
어린 연령의 경우 동시 짓기는 음악 감상과 마찬가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소외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는 이유는? 즉 동시는 유아의 마음을 나타내는 시로서, 유아의 생각이나 느낌을 함축성 있게 표현한 글이다. 김재숙(2002)의 연구에 의하면 동시가 문학으로서 이해되고 감상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암송과 언어활동의 매체로 활용되고 있음이 실태조사에서 나타났다. 교사들이 동시 관련 활동을 어려워하거나 문학과 달리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고성희, 2016; 옥수정, 2004). 또한 유아기 동시 짓기는 문해와 상관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느낌의 언어적 표현’이라고 보는데 비해, 일선 교사들은 문해가 전제되어야만 가능한 활동으로 간주하고 있음이 조사 결과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 연령의 경우 동시 짓기는 음악 감상과 마찬가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소외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고성희(2016). 두줄쓰기 기법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고영희(2015). 유아음악감상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준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고지민(2011). 걸음마기 영아-어머니 간 상호작용의 반응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공효은(2012). 음악감상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곽이정(1999). 유치원 음악교육 실태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곽정례(1994). 어린이 글짓기. 서울: 문학아카데미. 

  7. 교육부(1998). 유아를 위한 친사회적 교육활동 지도자료. 서울: 교육부. 

  8. 권민균, 석미경(2004). 친사회적 동화를 활용한 소그룹 토의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59-378. 

  9. 김광자, 박영옥(2006).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음악 감상활동 방안: 보육시설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151-173. 

  10. 김명순, 조경자(1998).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다음세대. 

  11. 김미숙(2000). 체험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미정, 이숙희(2008).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에 기초한 유아의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443-467. 

  13. 김성균(1990). 유아음악교육프로그램-II. 감상을 통한 유아 교육. 서울: 국민서관. 

  14. 김승희(2007). 설문을 통한 유아 음악 감상 실태 조사 연구: 5-7세 지도교사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연수(2014).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및 민감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영희(2001). 유아를 위한 음악 감상지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재숙(200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동시 활동 실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정희, 김연희(2003). Rousseau의 자연사상과 아동음악교육. 한국보육학회지, 3(1), 69-91. 

  19. 김지영, 김나림(2015). 학습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유아음악 수업이 예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과 포트폴리오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2), 241-262. 

  20. 남선옥, 김호(2013).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241-263. 

  21. 문금희, 이민정(2006). 포괄적 음악 감상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395-424. 

  22. 문혜련(2007).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 음악 감상 방법의 제안과 그에 따른 활동의 예. 어린이미디어 연구, 4, 41-63. 

  23. 박부숙(2003). 통합적 음악 감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화목(1989). 아동문학개론. 서울: 민문고. 

  25. 성영화, 최진숙, 정현영(2010). 음악개념중심의 유아음악 예비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0(4), 167-183. 

  26. 성진희, 성경희(1999). 창의적 음악 감상. 서울: 아마데우스클래스. 

  27. 안경숙. 정연희(1994). 프로젝트 접근법의 활용. 서울: 다음세대. 

  28. 안옥수(2010).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양승희, 임명희(2011).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1(1), 19-39. 

  30. 옥수정(2004). 동시지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유덕희(1983). 아동발달과 음악교육론. 서울: 개문사. 

  32. 유창근(1989). 현대아동문학론. 서울: 동문사. 

  33. 윤수진, 한석실(2009).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보육학회지, 9(3), 119-132. 

  34. 이몽희(1996). 유치원에서의 문학 지도를 위한 동시의 상징성 연구. 부산경상전문대학 논문집. 제16호. 

  35. 이명화(2001). 동시를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동시 짓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미경(2001). 유치원 음악 교육에 관한 실태 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민정(2002). 음악활동에 관한 교사의 태도 및 교수실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0, 19-38. 

  38. 이상미(2011). 음악 감상을 통한 음악적 표현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개념 학습과정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9, 283-314. 

  39. 이샤론(2011).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송은(2001). 통합적인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짓기와 감상 및 교사의 동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제18호. 

  41. 이수경, 최진숙(2011). 포괄적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형교육학회, 제39집, 125-149. 

  42. 이영자, 이기숙(1994).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43. 이유정(2011).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은주(2017). 우정활동이 삽입된 통합적 음악 감상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인아, 이완정(2015).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5(3), 1-17. 

  46. 이홍수(1990).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47. 장윤정, 황윤숙(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한국보육학회지, 17(2), 181-203. 

  48. 장자영(2005). 통합적인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Alper(1987).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NY. Teachers College Press. 

  50. Crinklaw-Kiser, D.(1996). Integrating music with whole language through the Orff-Schulwerk proces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Vol.51, No.5. 

  51. Davis, J. E.(1977). Poetry as Motivation for Read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22nd, Miami Beach, Florida). 

  52. Dixon, G. & Chalmers, F. G(1990). The expressive Arts in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53. Dyer, S. M. & Schiller, W.(1993). 'Not wilting flowers again!'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in movement and performanc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54. Eva, M., Sherry, N., & Stephanie, F.(2013). Meaningful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PEARSON. 

  55. Flohr, W. J. (1996). Children's electro physiological responses to music.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ic Education World conference(22nd), Amsterdam, Metherlands, July, 1996.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410017). 

  56. Greenberg. M (1979). Your children need music. Englewood Cliffs. N.J: Prenyice-Hall. 

  57. Hayes, D. S., Bruce. E., Chemelski, D., & Palmer, M.(1982). Nursery rhymes and prose passages: Preschooler's liking and short-term retention of story ev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18(1), 49-56. 

  58. Holt, D. M. et al.(1988). Reading, movement education and music : An integrated approach. Educational Document : ED 

  59. Mursell, J. L.(1992). 음악적 성장을 위한 교육(한국 음악 교재 연구회 역)Growth Process in Musical Education. 

  60. Sayre, N. E.(1990). The perfect mix : Creative movement an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al Document : ED 

  61. Schliesman, M.(1998). Poetry for Every Child. Book Links, v7, n6, 35-39. 

  62. Sharron, L.(1990). Music-movement-make-believe : The link between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Southern Association on Young Children Under Six. Educational Document : ED 

  63. Webre, E. C.(1993). Guidelines for children's poetry appreciation and poetry writing and suggested books and activiti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