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ilkworm is known as immunomodulatory substances and contain various bioactive compounds such as serine, tyrosine and alan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combine extract that silkworm and food materials (Eucommia ulmoides, Angelica gig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05% tween-20 을 함유한 PBS로 4회 세척 후 biotinylated anti-mouse IFN-γ , IL-2, IL-4 와 anti-mouse IL-12는 1% BSA를 함유한 PBS를 이용하여 0.05 ㎍/㎖ 농도로 희석한 후 well에 처리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 0.05% tween-20을 함유한 PBS로 4회 세척 후 재조합 사람 IFN-γ , IL-2, IL-4와 재조합 생쥐 IL-12 표준액과 식품소재 (50, 100, 200 ㎍/㎖)를 처리한 검체의 배양 상등액을 각 well 에 100 ㎕씩 분주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 5종의 식품소재를 누에와 복합 추출 하여 EZ-CyTox법을 사용하여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을 평가 하였고 누에 복합 추출물의 IL2, IL4, IL10, IL12, 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평가하여 면역 기능 증진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 ABTS 기질액을 각 well 에 100 ㎕씩 가하여 10 분간 발색을 유도한 다음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05 ㎚ 파장 에서 IFN-γ , IL-2, IL-4, IL-12 등을 측정하였다.
  • Balb/c계 수컷 생쥐를 경추 탈골로 희생시킨 뒤 비장을 적출한 다음 적당량의 무균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GIBCO, NY, USA) 용액이 담긴 용기에 넣고, 핀셋으로 잘게 절단하여 단일 비장세포 현탁액으로 만든 후, Filter로 여과하여 HBSS액에세 번 세척하였다.
  • anti-mouse IFN-γ , IL-2, IL-4, IL-10 와 anti-mouse IL-12 capture단 클론 항체 등을 96-well plate에 1 ㎍/㎖ 농도로 코팅하여 4℃에서 12시간 방치하였다.
  • 각 시료 100 g을 한일분쇄기 (FM-700SS, 한국)로 분쇄하여 환류추출기 (heating Mantle, MS-DM609/20L)에 넣고 100℃ 에서 증류수를 1ℓ가하여 120분 추출하였다. 그 후감압증류기 (N-1200A, EYELA.
  • 그 후감압증류기 (N-1200A, EYELA. CO. LTD, Japan)를 이용 하여 추출액을 농축하는 과정을 거치고, 동결건조기 (PF-10/ ALPHA 1-2LD, Germany)를 통하여 건조된 열수 추출물을 얻어 –20℃에서 냉동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단일 소재를 처리하였을 때 뛰어난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을 나타내었던 두충, 오가피, 부추, 육계, 맥문동을 누에와 혼합 하여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00 ㎍/㎖ 농도에서 두충을 단독 처리하였을 때는 148.
  • 단일 소재를 처리하였을 때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 실험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두충, 오가피, 부추, 육계, 맥문동을 누에와 혼합하여 마우스 비장세포에 처리한 다음 증식능을 계산 하였다. 실험 결과, 누에를 200 ㎍/㎖ 농도에서 단독으로 비장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171.
  • 동물 사육실의 조건은 conventional system으로 온도 22±2℃, 습도 50±5% 명암주기 (light : 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 하였다.
  • 본 연구자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면역 활성 증진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10가지 소재 (두충 (Eucommia ulmoides, EU), 당귀 (Angelica gigas, AG), 오가피 (Acanthopanax, AC), 부추 (Allium hookeri, AH), 육계 (Cinnamomum cassia, CC),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LP), 강황 (Curcuma longa, CL ), 우슬 (Achyranthes japonica, AJ), 익지 (Alpinia oxyphylla, AO), 사삼 (Adenophora triphylla, AT))를 선정하여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을 평가하였고 이중 비장세포 증식능이 높은 식품 소재 5종을 선정하여 누에와 복합 추출한 다음 EZ-CyTox법을 사용하여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 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누에 복합 추출물의 사이토카인 생성 량을 평가하여 면역 활성 증진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 마우스 비장 세포 현탁액을 200 ㎕/well의 양으로 96 well plate에 넣어 배양한 후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군, concanavalin A (Con A (10 ㎍/㎖))로 자극한 군 그리고 식품 소재 추출물 (50, 100, 200 ㎍/㎖을 처리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5% CO2 37℃ 배양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T 림프구를 분리하여 누에, 두충, 오가피, 부추, 육계, 맥문동 추출물 및 누에 복합 추출물과 함께 배양한 후 conA 용액으로 자극하여 분비된 사이토카인의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분리한 T 림프구를 conA로 자극 한뒤 누에, 두충, 오가피, 부추, 육계, 맥문동 추출물 및 누에 복합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하였다.IL2는 누에를 단독 처리하였을 때 50, 100, 200 ㎍/㎖ 농도 에서 각각 69.
  • 배양 종료 6시간 전에 각 well에 EZ-CyTox assay reagent 10 ㎕을 넣어 30분에서 6시간 동안 계속 배양하였다.배양 종료 후 420-480 ㎚ 파장에서 ELISA reader로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면역 활성 증진 효과가 뛰어나다고 보고된 10종의 식품 소재 (두충 (Eucommia ulmoides), 당귀 (Angelica gigas), 오가피 (Acanthopanax), 부추 (Allium hooker), 육계 (Cinnamomum cassia),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강황 (Curcuma longa), 우슬 (Achyranthes japonica), 익지 (Alpinia oxyphylla), 사삼 (Adenophora triphylla))의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을 평가하였고 이중 비장세포 증식능이 높은 식품 소재 5종을 선정였다. 5종의 식품소재를 누에와 복합 추출 하여 EZ-CyTox법을 사용하여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을 평가 하였고 누에 복합 추출물의 IL2, IL4, IL10, IL12, 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평가하여 면역 기능 증진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 본 연구자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면역 활성 증진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10가지 소재 (두충 (Eucommia ulmoides, EU), 당귀 (Angelica gigas, AG), 오가피 (Acanthopanax, AC), 부추 (Allium hookeri, AH), 육계 (Cinnamomum cassia, CC),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LP), 강황 (Curcuma longa, CL ), 우슬 (Achyranthes japonica, AJ), 익지 (Alpinia oxyphylla, AO), 사삼 (Adenophora triphylla, AT))를 선정하여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을 평가하였고 이중 비장세포 증식능이 높은 식품 소재 5종을 선정하여 누에와 복합 추출한 다음 EZ-CyTox법을 사용하여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 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누에 복합 추출물의 사이토카인 생성 량을 평가하여 면역 활성 증진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 비장세포 현탁액 중 CD4+ T isolation kit (Miltenyi biotec, CA, USA)를 이용하여 분리한 T 림프구를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에서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IFN-γ , IL-2, IL-4, IL-10, IL-12 등 세포활성물질은 ConA 용액에 의해 자극하며 측정은 ELISA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8주령 Balb/c계 수컷 생쥐를 샘타코 바이오 (Korea, Osan-si)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조건은 conventional system으로 온도 22±2℃, 습도 50±5% 명암주기 (light : 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 하였다.
  • 8주령 수컷 마우스를 경추 탈골하여 비장을 적출한 다음 비장세포를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장은 T 세포, B 세포, 대식세포 등의 여러 가지 림프구가 밀집되어있는 장기 로서 생체 내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면역기관이다18).
  • 본 실험에서 사용한 누에, 당귀, 두충, 오가피, 부추, 육계, 강황, 우슬, 익지, 사삼은 옴니허브 (대구, 한국)에서 구입한 것을 생약규격집에 맞추어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 학교실에서 관능 검사하여 약전규격에 합격한 것만을 정선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동물 사육실의 조건은 conventional system으로 온도 22±2℃, 습도 50±5% 명암주기 (light : 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 하였다. 사료는 고형사료 (Samyang corporation, Seoul, Korea) (조단백질 22.1% 이상, 조지방 8.0% 이하, 조섬유 5.0% 이하, 조회분 8.0% 이하, 칼슘 0.6% 이상, 인 0.4% 이상, 항생제 무첨가)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Balb/c계 수컷 생쥐를 경추 탈골로 희생시킨 뒤 비장을 적출한 다음 적당량의 무균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GIBCO, NY, USA) 용액이 담긴 용기에 넣고, 핀셋으로 잘게 절단하여 단일 비장세포 현탁액으로 만든 후, Filter로 여과하여 HBSS액에세 번 세척하였다.

이론/모형

  • IFN-γ , IL-2, IL-4, IL-10, IL-12 등 세포활성물질은 ConA 용액에 의해 자극하며 측정은 ELISA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에에 포함된 대표적인 약리성분은 무엇인가? 약리적으로는 소장의 당분해효소 a-glucosidase 억제 작용에 기인한다는 보고가 있고3) , 피부미용4) , 간기능개선5) , 면역력 증강6) , 피로회복7) 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누에는 단백질을 67% 이상 함유한 고단백 식품으로 serine, tyrosine, aspartic acid, alanin, mracin 등이 대표적인 약리 성분이다8) .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누에는 어떠한 것인가? 누에 (Bombyx mori L.)는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1) 대체적으로 5령 3일 (부화 후 19일) 누에를 열수 또는 수증기로 익히고 난 후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 한다2) . 약리적으로는 소장의 당분해효소 a-glucosidase 억제 작용에 기인한다는 보고가 있고3) , 피부미용4) , 간기능개선5) , 면역력 증강6) , 피로회복7) 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리적으로 누에는 어떠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는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1) 대체적으로 5령 3일 (부화 후 19일) 누에를 열수 또는 수증기로 익히고 난 후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 한다2) . 약리적으로는 소장의 당분해효소 a-glucosidase 억제 작용에 기인한다는 보고가 있고3) , 피부미용4) , 간기능개선5) , 면역력 증강6) , 피로회복7) 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누에는 단백질을 67% 이상 함유한 고단백 식품으로 serine, tyrosine, aspartic acid, alanin, mracin 등이 대표적인 약리 성분이다8)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Yoon JW, Rhee SK, Lee KB. Effects of silkworm extract powder on plasma lipids and glucose in rats. Korean J. Food & Nutr. 2005 ; 18(2) : 140-5. 

  2. Kwon YJ, Kim HJ.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containing heat treated silkworm steam extract. Food Service Industry Journal. 2016 ; 12(1) : 87-97. 

  3. Ryu KS, Lee HS, Kim SY. Pharmacodynamic study of silkworm powder in mice administered to maltose, sucrose and lactose. Korean J. Seric. Sci. 1999 ; 41(1) : 9-13. 

  4. Chon JW, Kweon HY, Jo YY, Park MK, Son YH, Lee HS. A study on the develi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using silk-gland powder of silkworm.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012 ; 38(2) : 163-9. 

  5. Cha JY, Kim YS, Kang PD, Ahn HY, Eom KE, Cho YS.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by mold. Jounal of Life Science. 2010 ; 20(2) : 237-44. 

  6. Kim SH, Je YH, Yun EY, Kang SW, Kim KY, Kang SK.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ducible genes from Bombyx mori injected with E.coli by differential screening. Korean J. Seric. Sci. 1996 ; 38(1) : 19-24. 

  7. Hyun JW, Lee KG, Yeo JH, Choe TB. Hair care effects of hair cosmetics including low molecular weight silk peptide component and micro structure analys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8 ; 23(5) : 439-44. 

  8. Yoo JM, Hwang JS, Goo TW, Yun EY.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 42(2) : 249-54. 

  9. Ryu HS, Kim J, Kim HS. Enhancing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macrophage cell activation. Korean J. Food & Nutr. 2006 ; 19(2) : 176-82. 

  10. Han SB, Kim YH, Lee CW, Park SM, Lee HY, Ahn KS, Kim IH, Kim HM, Characteristic immunostimulation by angelan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Immunopharmacology. 1998 ; 40(1) : 39-48. 

  11. Park HR, Yu YB, Yee ST, Jo SK,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by water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J. Life Resources & Industry. 1998 ; 3 : 80-8. 

  12. Kim HW, Kim KY, Lee SY, Kim GY, Jeon BG, Cho SI, Jeong HW. Immuno-stimulating effects of Oga-Power (OP) containing extract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on Immune cells in mice. Kor. J. Herbology. 2008 ; 23(3) : 141-7. 

  13. Park SD, Lee GH, Lee YS, Kwon YK, Park JH, Chou SM, Shin SW. Comparison of immunomodulaltory effects of water-extracted Adenophorae Radix, Liriopis Tuber, Dendrobii Herba, Polygonati Odorati Rhizoma and Polygonati Rhizoma. Korean J. Oriental & Pathology. 2007 ; 21(2) : 414-24. 

  14. Lee SH, Sung GD, Baek YH. The effects of 10 weeks Taekwondo training with leek intake on body composition, liver enzymes and immune function in high school male student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13 ; 20(1) : 19-28. 

  15. Gereltuya R, Son JY, Magsar U, Paik SH, Lee JY, Nam MS.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modulating of fermented milk with Curcuma longa L powder. Journal of Life Science. 2015 ; 25(1) : 75-83. 

  16. Lee SD, Kim KS. The effect of Achyranthis Radix and Apitoxin Aquaacupuncture on cellular immune responses to LPS-induced arthritis in mice. The Acupuncture. 1999 ; 16(3) : 287-315. 

  17. Na CS, Shin W, Lee YM, Moon YS, Noh HK, Seo SH, Son HS. Effect of original kyungokgo & iksuyongjingo plus Sparassis crispa on antioxidant, immunity improvement and sensory evaluation. Kor. J. Herbol. 2016 ; 31(4) : 43-51. 

  18. Roitt IM, Brostoff J, Male DK. Immunology 2nd ed., Churchil Livingstone, London, 1.3-3.10. 1989. 

  19. Oh JS, Ham IH, Kim HM, Choi HY.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Cistanche deserticolae Herba and Cistanche salsae Herba. Kor. J. Herbol. 2005 ; 20(1) : 63-72. 

  20. Kim MH, Kim JH, Ahn HJ. Responses of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with clonidine premedication in patients undergoing spinal surgery. Korean J Anesthesiology. 1998 ; 35 : 1080-8. 

  21. Park DJ, Lee JC, Lee YC, Effect of Sinapis alba L. on expression of interferon-gamma and interleukin-4 production in anti-CD3/anti-CD28-stimulated CD4(+) T cells. Kor. J. Herbol. 2010 ; 25(2) : 129-36. 

  22. Raishekhar SA, Ashok Khar. Interleukin-12 secreted by mature dendritic cells mediates activation of NK cell function. FEBS letters, 2004 ; 559(1-3) : 71-76. 

  23. Park JH, Seo YB, Experimental studies on the immunnomodulational effects of Taxilli Ramulus. Kor. J. Herbol. 2001 ; 16(1) : 55-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