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방사선사 인력수급 현황 분석
Analysis on Working Force Supply of Radiologic Technologist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7, 2017년, pp.489 - 495  

최경호 (전주대학교 방사선학과) ,  조정근 (전주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방사선사 면허 취득자에 대한 공급과잉이 되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관련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방사선 관련 학계 및 의료계의 노력이 우선되어야겠다. 그러나 이와 함께 방사선 관련 인력 수급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사선사 인력 수급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방사선 관련 정책 및 계획수립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방사선사 면허 취득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2004년도 대비 2014년도의 면허취득자 증가 수는 15,639명으로 75.6% 정도 증가하였다. 둘째, 방사선 관련 종사자들의 취업분야는 의료관련 분야가 65.7%로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년부터 매 5년 간격으로 하여 2030년까지의 방사선사 인력에 대한 공급과 수요를 추계해 보면 2020년경에는 거의 6,000명 정도의 잉여인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넷째, 방사선학과 졸업생들의 첫 직장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의료분야에 취업하는 방사선사들의 취업 병 의원 분야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완장치가 필요하다는 점 등이 제언사항으로 도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vent over supplying of workforce with radiologic technologist license, effort to create new jobs related to radioactive from medical field and radiation-related academia should be put first. For this, investigating present condition is required by close analysis of working force supply rel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사선사가 되어 의료인으로서 당당한 사회생활을 하는 큰 희망을 품고 방사선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이 취업난에 허덕이는 좌절을 겪어서는 안될 일이다. 공급과잉에 따른 이와 같은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관련 인력 수급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해 보았다. 이는국내 방사선사 인력 수급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방사선 관련 정책 및 계획수립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서 규정하고 있는 방사선사의 향후 인력 수급현황을 기술통계를 중심으로 일부 통계적 유의성검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공표된 데이터가 필요한바, 한국보건복지부(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에서 발간되는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백서를 중심으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6조 2항에 의거 방사선사 국가시험 대행기관으로 지정된 한국보건의료 인국가시험원 홈페이지 그리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보도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 공급과잉에 따른 이와 같은 현상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관련 인력 수급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해 보았다. 이는국내 방사선사 인력 수급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방사선 관련 정책 및 계획수립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 공급과잉이 되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관련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방사선 관련 학계및 의료계의 노력이 우선되어야겠지만, 이와 더불어 방사선 관련 인력 수급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사선사 인력 수급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방사선 관련 정책및 계획수립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이를 위하여 Esmailzadeh et al.
  • 9%로 의사(B), 간호사(C), 물리치료사(D) 국가시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합격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한편 2007년부터 2015년까지 9개년도의 합격률에 대한 평균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여부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정해 보도록 하자. 먼저 데이터의 개수가 적으므로 비모수적인 방법을 이용하면 Kruskal-Wallis H-통계량은 2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선사는 어떤 직업인가? ・방사선사 : 전리방사선 및 비전리방사선의 취급과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핵의학적 검사 및 의료영상진단기・초음파진단기의 취급, 방사선기기 및 부속기자재의 선택 및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의료기사 ・방사선사 국가시험 : 방사선사 국가 면허를 획득하기 위한 시험으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1회 이상 한국보건복지부의 장관이 실시하는 시험
방사선사 면허 취득 조건은 무엇인가? 이에 발맞추어 다양한 방사선서비스를 제공하고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필요한 바, 현재 전국적으로 45개 이상의 대학에 방사선학과가 개설되어 필요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대학에서 정규교육 과정을 이수한 사람들은 의료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시험에 응시하여 통과하는 경우 면허가 인정된다.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5)에 따르면 [5], 2014년도 현재 방사선사 면허를 취득한 숫자는 남자 23,741명 그리고 여자 12,598명 등 총 36,339명이다.
오늘날 방사선 분야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는 무엇이 있는가? 이는 방사선 관련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이에 따라 방사선 분야에서 제공되는 의료서비스도 과거에는 단순한 진단 목적의 X-ray 촬영에 그쳤으나 오늘날에는 투시(fluoroscopy), 초음파(ultrasonic wave), 전산화단층촬영(computerized tomography),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양전자방출단층촬영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등 진단은 물론이고 방사선치료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장비를 활용한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4]. 이에 발맞추어 다양한 방사선서비스를 제공하고 장비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필요한 바, 현재 전국적으로 45개 이상의 대학에 방사선학과가 개설되어 필요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H. Cho, K. R. Dong, Y. H. Ryu, S. H. Choi, J. E. Jung, "An overview of radiologist occupational at Korea", Journal of Advanc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5, No. 1, pp. 89-94, 2012. 

  2. J. S. Park, "The causal relationship of hospital impatient's perceived quality, satisfaction, service value, and intention to revisit",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 19, pp. 73-88, 2002. 

  3. J. Y. Han, H. S. Park,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health care: Based on the Korea health panel da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8, No. 1, pp. 195-206, 2017. 

  4. S. Y. Son, T. H. Kim,J. W. Min, D. K. Han, S. M. Ahn,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a national practical examination in the radiologic technologi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5, pp. 2149-2162, 2011. 

  5. Health and welfare annual statistics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6. Long-term forecasting of healthcare labor force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7. G. Choi, S. Lee, "The study of necessity in improvement of radiologic technologist license examination system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9, No. 4, pp. 213-218, 2015 

  8. H. Esmailzadeh, A. R. Delavari, S. M. R. Kazemi-Bajestaini, S. Alikhani, R. Tabibzadeh Dezfouli, F. Alaeddini, "The future balance between training and demand for radiologists in Iran",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Research, Vol. 12, No. 4, pp. 373-376, 2014. 

  9. G. Dodd, T. Fletcher, W. Jr. Thorwarth, "The crisis in academic radiology: Will we help ourselv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Vol. 3, pp. 229-230, 2006. 

  10. S. K. Chung, "A study on the reasonable personnel management of radiology department",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11, No. 2, pp. 27-64, 1998. 

  11. E. H. Seo,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21", Freedom Academy, 2013 

  12. Statistical yearbook of job in Korea 210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6. 

  13. http://www.koara.or.kr/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application 

  14. K. Choi, J. K. Cho, "Statistical analysis of national examin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in convergence perspective", Journal of the Convergence Society, Submission. 

  15. I. S. Kim, S. Y. Kim,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IT Convergence Society for SMB, Vol. 6, No. 4, pp. 107-114, 2016. 

  16. S. Y. Kim,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Stress i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Decision Attitude," Journal of IT Convergence Society for SMB, Vol. 6, No. 4, pp. 115-122, 2016. 

  17. Y. J. Ha,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nurses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on job stre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5, pp. 69-78, 2017. 

  18. M. J. Kim, M. S. Han, J. U. Jang, "Evaluation of convergence Elasticity of Liver Fibroscan used measurement with Ultrasonograph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5, pp. 79-85,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