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 피키캐스트 콘텐츠의 노출과 관여 행동을 중심으로
Attention Behavior to Mobile Content: Focusing on Exposure and Involvement of Pikicast Cont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12 - 21  

김은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박현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임소영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주목 행동을 노출과 관여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주목 행동들 간에 어떤 관계를 갖는지 피키캐스트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구하였다. 우선, 이 연구는 이중위험효과(double-jeopardy)가 모바일 콘텐츠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노출과 관여의 상관관계를 검증했다. 또한 플랫폼별, 주제 속성별(연성경성)로 주목 행동이 어떻게 다른 양상을 띠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바일 플랫폼에서도 노출과 관여 간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랫폼별로 주목 행동, 특히 공유 행동이 다른 양상을 띠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제 속성별로는, 연성 콘텐츠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반응인 댓글 수, 공유 등의 주목 지표들이 연관되어 있는 반면, 인지적인 노력이 필요한 경성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비시간과 완독률 같은 주목 지표들이 연관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 치중했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콘텐츠 중심의 관점으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주목 행동의 본질을 새롭게 이해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ivided attention to mobile contents into two dimensions (i.e., exposure and involvement),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ention behaviors, using contents data from Pikicast.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바일 환경에서는 기존 소비패턴과는 다른 스낵컬쳐식 콘텐츠 소비가 일어나기 때문에 노출에 따라 관여가 높게 나타날지에 대해서는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중위험 현상을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에 적용하여 노출과 관여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는 다양하게 세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용자 선호에 따라 콘텐츠의 노출과 관여를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고, 노출과 관여 행동을 공개적으로 표시하여 다른 이용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 본 연구는 관여행동 지표로서 소비시간 지표를 활용하고,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댓글, ‘좋아요’ 등 지표 또한 넓게 보아 정보 이용의 깊이를 측정한다는 점에서 관여 행동 지표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모바일 콘텐츠의 관여 행위 중 공유 행위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대표적인 콘텐츠 공유 플랫폼인 카카오톡이 태생적으로 모바일 기반이고 페이스북 한국 이용자 92%가 모바일 기반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모바일 콘텐츠의 공유 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주목 행동을 노출과 관여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고,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 지표들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 그리고 플랫폼별, 주제 속성별로 콘텐츠에 대한 노출과 관여가 어떻게 다르게 발생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모바일 환경에서 수용자 행동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기존의 주목 행동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이용자 중심의 ‘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콘텐츠 중심의 연구는 소홀한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는 콘텐츠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행동에 대해 보다 입체적인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 연구문제3: 이용자의 공유 행동은 플랫폼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 둘째, 플랫폼별 어포던스의 차이에 따른 공유행동의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공유 행동을 이론적으로 정교화 하고 어포던스에 대한 논의를 넓힌다. 이 연구는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에서의 가벼운 공유 (casual sharing)와 의미 있는 공유 (meaningful sharing)의 대비를 보여준다. 카카오톡 및 카카오톡스토리 공유와 페이스북 및 url 공유는 확연히 다른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가설 설정

  • 콘텐츠에 대한 노출과 관여의 관계에 대하여 이중 위험 현상은 이용자 집단의 크기와 충성도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가정했다. 즉, 시청률이 낮은 프로그램은 이용자 집단의 크기가 작을 뿐 아니라 그 소수의 집단조차 그다지 그 프로그램을 좋아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인 미디어 비즈니스와 오늘날의 미디어 비즈니스는 무엇이 다른가? 오늘날 필요한 지식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10초 만에 찾을 수 있지만, 이용자의 수와 시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무한정 공급되지 않는 자원인 주목이 희소성을 갖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미디어 비즈니스에서는 주류 미디어 플랫폼이 제한된 수의 콘텐츠 채널을 통제하여 공급하는 것이 관건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수요 기반으로 주목이라는 화폐를 얻고자 경쟁하게 되었다.
주목은 왜 정보의 소비를 결정짓는 중요 요인이 되었는가? 2000년대 이후 미디어와 콘텐츠의 종류와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접근성이 증대하면서 주목(Attention)은 정보의 소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오늘날 필요한 지식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10초 만에 찾을 수 있지만, 이용자의 수와 시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무한정 공급되지 않는 자원인 주목이 희소성을 갖게 된 것이다.
왜 모바일 플랫폼에서 콘텐츠는 빠른 속도로 여러 사람에게 흐르는 유동적인 특성을 지니게 되었는가? 한편,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이용자들이 모바일기기를 통해 ‘자율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콘텐츠들이 유통되는 생태계 자체도 모바일한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주로 이동 중이나 자투리 시간에 모바일 콘텐츠를 소비하게 되므로, 꼼꼼하게 읽기보다는 짧은 시간동안 부담 없이 훑어보며 즐기는 (skim reading) 스낵 같은 문화 혹은 문화콘텐츠라는 의미의 ‘스낵컬쳐(snack culture)’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또한 사람들은 이런 콘텐츠에 대해 모바일 기기에서 간단한 터치를 통해 ‘좋아요’ 버튼을 누르거나 공유를 하는 등 여러 종류의 주목 행동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모바일 플랫폼에서 콘텐츠는 끊임없이 빠른 속도로 이 사람에게서 저 사람으로 흐르는 유동적인 특성을 갖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원제, 콘텐츠 실크로드 미디어 오디세이, 한국학술정보, 2009. 

  2. J. G. Webster, The marketplace of attention: How audiences take shape in a digital age, Mit Press, 2014. 

  3. 김은미, 이준웅, 심미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률과 품질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4호, pp.323-350, 2004. 

  4. B. E. Barnes, Electronic media audience behavior in the multichannel environment: Patterns of demographic homogeneity and time spent view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Evanston, IL, 1990. 

  5. 임정수, "인터넷 이용자의 웹사이트 이용패턴,"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4호, pp.310-336, 2002. 

  6. 한국콘텐츠진흥원, 경쟁하는 수용자들, 그리고 새로운 측정방법들, 2015. 

  7. 최양수, 장성아, "케이블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 레퍼토리 (repertoire) 분석,"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0호, pp.323-353, 1998. 

  8. G. Goodhardt, A. Ehrenberg, and M. Collins, The television audience: Patterns of viewing(2nd ed.), Westmead, UK:Gower, 1987. 

  9. Litt, E., "Knock, knock. Who's there? The imagined audienc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6, No.3, pp.330-345, 2012. 

  10. 우교혜, 박윤서, 김용식, "구전정보 채널유형이 소비자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6권, 제12호, pp.707-723, 2016. 

  11. D. A. Norman, "Affordance, conventions, and design. Interactions," Vol.6, No.3, pp.38-43, 1999. 

  12. 김근형, 김시연, 이봉규, "모바일콘텐츠 서비스의 성공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0호, pp.89-98, 2006. 

  13. T. Barwise, A. Ehrenberg, and G. Goodhardt, "Glued to the box?: Patterns of TV repeat viewing,"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2, No.4, pp.22-29, 1982. 

  14. E. Thorson, "Changing patterns of news consumption and participation: News recommendation engines,"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1, No.4, pp.473-489, 2008. 

  15. R. Pieters and M. Wedel, "Attention capture and transfer in advertising: Brand, pictorial, and text-size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Vol.68, No.2, pp.36-50, 2004. 

  16. 김관규, "다미디어 환경에서의 뉴스 전파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25-156, 2010. 

  17. J. Berger and K. Milkman, "Social transmission, emotion, and the virality of online content," Wharton research paper, 106, 2010. 

  18. T. Barwise, A. Ehrenberg, and G. Goodhardt, "Audience appreciation and audience siz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Society, Vol.21, pp.269-289, 1979. 

  19. 트렌드 워칭, SNS 공유가 잘되는콘텐츠의 5가지 특징, http://trendw.kr/marketing/16-010501.t1m#, 2016.01.05. 

  20. 김은미, "다채널 시대 텔레비전 시청자의 채널 이용,"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1호, pp.41-75, 1998. 

  21. P. Barwise and A. Ehrenberg, Television and its audience, Sage, Vol.3, 1988. 

  22. J. W. Treem and P. M. Leonardi, "Social media use in organizations: Exploring the affordances of visibility, editability, persistence, and association,"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Vol.36, No.1, pp.143-18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