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대주입술을 결합한 음성치료의 효과 연구
The Study of Combined Voice Therapy with Intralaryngeal Injection 원문보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v.28 no.1, 2017년, pp.25 - 31  

안철민 (프라나이비인후과 음성치료센터) ,  정화원 (프라나이비인후과 음성치료센터) ,  신정은 (프라나이비인후과 음성치료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ough voice therapy is proven to be effective in academia, treatment results and satisfaction level are inconsistent in clinics. The inconsistency may rise from diverse vocal cords misuse patterns in patient population as they suffer from different diseases or have bad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성대결절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성대주입술 후 음성치료를 병행한 집단과 순수 음성치료집단의 치료 전과 후를 비교하여 보고 성대결절의 개선에 있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 또한 동일한 병변으로 치료를 받는 성대결절 군에서도 같은 질환임에도 개개인의 발성 습관, 음성문제 자각, 치료의 순응도 등의 이유로 치료 효과가 일률적이지 않고, 이에 따라 환자 개개인에 맞춰 치료를 구성하므로 정형화된 치료 방법이 아닌 개별적인 치료로 치료 효과에 편차가 생길 수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한 기간을 저자들의 경험에 의하여 주1회 치료, 최소 10회, 최대 20회의 치료를 기준으로 진행하여 치료 횟수와 기간에 따른 편차를 줄여보고자 하였다. 또 가급적 음성 생성의 기원이 되는 발성호흡 개선과, 성대의 이완과 안정된 성대접촉을 유도하기 위한 음성치료 방법으로 음성 오남용 제거, 횡격막 복식 호흡, 최적음도 발성 유도, 하품-한숨법 등과 같이 과기능적 음성장애 환자에게 사용 되어 지는 방법16)을 주로 시행하였다.
  • 입술을 미리 시행하여 발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성대의 구조를 만들어서 음성치료를 시행할 때 보다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발성이 될 수 있도록 하려고 하였다. 성대주입술 후 나타나는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면 주입물을 주로 성대의 후방과 결절의 하부와 성문하 부위에 가깝게 주입함으로써, 성대가 내전될 때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성대후방을 좀 더 내측으로 미리 이동시켜서 발성 시 성대가 내전되는 거리를 줄여 좀 더 효율적인 성대의 운동성을 만드는 효과가 있고, 발성 시 성대 결절이 주로 발생하는 위치의 하부면적이 좀 더 넓은 면적으로 변화되어 상하로 길어진 성대 접촉 면적으로 인해 성대를 지나는 기류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 8,9) 이처럼 성대결절에서 음성치료 후에 환자에 따라 치료결과가 다양하고, 만족도나 반응 역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환자의 발성 습관 등에서 다양한 발성형태를 나타내고 있다고 보여진다. 저자는 성대결절의 원인으로 발성 시 불완전한 성대의 접촉을 생각해보았다. 일반적으로 성대결절이 있는 환자의 성대 점막 움직임을 살펴보면 대부분 미세한 성대구가 관찰되며, 이것은 양측 성대가 내측에서 서로 접촉할 때 불완전한 성대접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대진동이 문제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성대 막성부의 전방 1/3지점에서 성대점막 상연 사이에서 잘 발생되며, 이러한 국소적인 염증성 종물로 인하여 환자의 성대 점막 움직임 내에 부분적인 접촉과 불규칙한 진동을 나타 낸다.1) 또한 성대진동은 높은 성대 내 압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성대내압의 증가는 염증을 유발하여 혈관 내 물질이 유체 이탈되어 성대 고유층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2) 성대결절이 발생하면 성대점막 비후로 인해 성대 유리연이 두꺼워지고 성대점막 용적이 변화하여 성문폐쇄부전에 의해 음성장애가 발생한다.3) 그러므로 성대결절 치료에는 음성 오남용과 올바른 발성습관을 만들도록 도움을 주는 음성치료가 일차적으로 사용되며,4-7) 치료가 쉽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약물적, 수술적 치료방법을 사용한다.
성대결절 치료 방법은? 1) 또한 성대진동은 높은 성대 내 압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성대내압의 증가는 염증을 유발하여 혈관 내 물질이 유체 이탈되어 성대 고유층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2) 성대결절이 발생하면 성대점막 비후로 인해 성대 유리연이 두꺼워지고 성대점막 용적이 변화하여 성문폐쇄부전에 의해 음성장애가 발생한다.3) 그러므로 성대결절 치료에는 음성 오남용과 올바른 발성습관을 만들도록 도움을 주는 음성치료가 일차적으로 사용되며,4-7) 치료가 쉽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약물적, 수술적 치료방법을 사용한다. 음성치료는 치료를 위해 비교적 오랜 시간이 요구되며, 치료 기간 내에 환자의 경제적 문제 혹은 환자가 치료에 임하는 자세, 치료사의 말을 따르는 순응도가 치료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다.
성대결절이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위치는 어디인가? 성대결절은 기능성 음성질환 중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며, 환자 개개인의 발성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대 막성부의 전방 1/3지점에서 성대점막 상연 사이에서 잘 발생되며, 이러한 국소적인 염증성 종물로 인하여 환자의 성대 점막 움직임 내에 부분적인 접촉과 불규칙한 진동을 나타 낸다.1) 또한 성대진동은 높은 성대 내 압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성대내압의 증가는 염증을 유발하여 혈관 내 물질이 유체 이탈되어 성대 고유층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2) 성대결절이 발생하면 성대점막 비후로 인해 성대 유리연이 두꺼워지고 성대점막 용적이 변화하여 성문폐쇄부전에 의해 음성장애가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CM. Functional Dysphonia and Voice Therapy. 1st ed. Seoul, Korea: Dae Han Eui Hak Seo Jeok;2004. p.123-30. 

  2. Czerwonka L, Jiang JJ, Tao C. Vocal nodules and edema may be due to vibration-induced rises in capillary pressure. Laryngoscope 2008;118(4):748-52. 

  3. Lee JY, Lee JH, Choi JI, Lee SH, Jin SM. Usefulness of voice therapy on vocal nodules in professional voice users treated with steroid injec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4;57(1):32-7. 

  4. Ahn CM, Park JW, Lee JH, Lee YB, Park HJ. Therapeutic effects of voice therapy on functional voice disorders. Korean J Otolaryngol 996;39(2):288-94. 

  5. Holmberg EB, Hillman RE, Hammarberg B, Sodersten M, Doyle P. Efficacy of a behaviorally based voice therapy protocol for vocal nodules. J Voice 2001;15(3):395-412. 

  6. McCrory E. Voice therapy outcomes in vocal fold nodules: a retrospective audit. Int J Lang Commun Disord 2001;36 Suppl:19-24. 

  7. Pyo HY, Kim MS, Choi HS. The efficiency of voice therapy for the patients with vocal nodules. J Korean Logo Phon 1997;8(2):178-84. 

  8. Smith BE, Kempster GB, Sims HS. Patient factors related to voice therapy attendance and outcomes. J Voice 2010;24(6):694-701. 

  9. Boone DR. Dismissal criteria in voice therapy. J Speech Hear Disord 1974;39(2):133-9. 

  10. Hillman RE, Holmberg EB, Perkell JS, Walsh M, Vaughan C. Objective Assessment of Vocal HyperfunctionAn Experimental Framework and Initial Resul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1989;32(2):373-92. 

  11. Titze, Ingo R. "Mechanical stress in phonation." Journal of Voice 1994;8(2):99-105. 

  12. Jiang J, Titze I. Measurements of vocal fold pressure and impact stress in human subjects. J Voice 1994;8:132-45. 

  13. Boone DR, McFarlane SC, Von Berg SL, Zraick RI. The voice and voice therapy;2009. 

  14. Lee SH, Yeo JO, Choi JI, Jin HJ, Kim JP, Woo SH, et al. Local steroid injection via the cricothyroid membrane in patients with a vocal nodule. Archives of Ot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2011;137(10):1011-6. 

  15. Hapner E, Portone-Maira C, Johns MM. A study of voice therapy dropout. Journal of Voice 2009;23(3):337-40. 

  16. Boone DR, McFarlane SC, Von Berg SL. Functional voice disorders. The voice and voice therapy. 8th ed International Edition. Boston: Pearson;2010. p.113-32. 

  17. Homicz MR, Watson D. Review of injectable material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Facial Plat Surg 2004;20:21-9. 

  18. Kwon TK. Vocal fold injection, In: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Understanding of laryngology voice, speech and swallowing.1st ed. Seoul:Iljogak;2012. p.606-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