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적 측면에서의 재난간호대비·대응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Response Competency(DNPRC) Scale in terms of Convergen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7, 2017년, pp.101 - 111  

안옥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장은희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김서현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융합적 측면에서의 간호사의 재난에 대한 대비 대응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ICN Framework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를 바탕으로하여 국내 문헌 고찰을 통해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간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대비역량과 대응역량을 각각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수렴타당도는 간호사 재난대비상태 측정도구(DPQ-N)와의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재난간호대비 대응역량 측정도구는 5점 Likert 척도로서, 대비역량 3개 영역의 16문항, 대응역량 4개 영역의 18문항의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6$이었다. 본 연구는 향후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을 확인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연구와,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 Response Competency(DNPRC) Scale in terms of convergence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Based on ICN Framework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DNPRC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rticipants was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ICN이 제시한 재난간호역량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의료기관의 융합적 측면에서 간호사의 국내 현실에 맞는 재난간호대비역량과 대응역량을 잘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1995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의 국내에서 발표된 재난관련 연구의 동향을 ICN에서 제시한 4개의 역량을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2]에서도, 대비역량, 대응역량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반면, 보건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를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와 보건소나 보건진료소, 도청 등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공통적으로 필요한 역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도구에서는 윤리적 역량을 의료윤리 뿐만 아니라, 문화적, 사회적, 영적신념을 고려한 윤리적 수행과 간호사의 신념에 따른 재난간호역량이 포함되었다.
  • ICN에서는 재난간호역량을 예방·완화역량, 대비역량,대응역량, 회복·복구역량으로 구분하고 간호사에게 필요한 130개의 역량을 제시하였으나, 현재 사용되는 재난간호역량 도구들은 지역사회간호사[18], 응급의료센터 간호사[13] 등 특정 분야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로서 ICN이 제시한 일반간호사 모두에게 해당하는 역량을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ICN이 제시한 4개의 역량 중에 대비역량과 대응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모든 역량이 간호사에게 필요하지만, 현재 국내 간호사들에게 있어서 예방·완화역량이나, 회복·복구역량은 지역사회 간호영역으로 구분되어있어 임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교육을 받거나 훈련을 받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 본 연구는 ICN Framework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12]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재난간호 연구들의 문헌고찰을 통해 도구개발을 진행하였다. ICN Framework은 한국어와 영어가 가능한 전문가를 통해 한국어로 번역한 후, 번역된 도구를 재난간호를 강의하는 지역사회간호학 교수 1인, 응급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간호학 교수 1인, 대학의 재난안전교육본부의 재난간호전문가 1인을 통해 원문과 번역 사이의 불일치 및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표현, 국내 임상현장에 맞는 용어와 문장으로 수정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재난간호 대비·대응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재난간호대비·대응역량을 측정하고자 개발된 연구로서, ICN에서 제시한 재난간호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 향상과 글로벌 관점에서의 체계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재난에 대한 대비역량과 대응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본연구를 통해 개발된 재난간호 대비·대응역량 측정도구(Disaster Nursing Preparedness-Response Competencies,DNPRC)는 총 34문항으로 대비역량 16문항, 대응역량 18문항이며, 대비역량 3개 요인, 대응역량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Likert 척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적 측면에서 간호사의 재난간호대비․대응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이란 단어의 변천사는?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태풍, 홍수, 지진 등의 자연재난과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화생방사고, 감염병 등의 사회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말한다[1]. 초기에는 ‘재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정부가 용어통일을 권장하며 ‘재난’이라는 단어로 통용되고 있다[2].
간호활동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간호역량을 향상 시키는 과정들은 무엇이 있는가? 모든 간호사는 자신의 근무분야와 상관없이 재난에 대비 및 대응해야 하며[8]. 이러한 재난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에서는 국군간호사관학교의 재난관련교육프로그램, 간호대학의 재난간호 교육과정, 국가재난응급의료센터의 교육과정 등이 운영[9]되고 있다. 최근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10]하면서, 이와 더불어 의료기관인증평가에서도 환자안전관리에 있어 재난상황에 대한 관리계획 수립과 훈련이 평가항목에 포함[11]되어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태풍, 홍수, 지진 등의 자연재난과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화생방사고, 감염병 등의 사회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말한다[1]. 초기에는 ‘재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최근 정부가 용어통일을 권장하며 ‘재난’이라는 단어로 통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isfortune and the safety supervision basic law, 2017. 

  2. O. C. Lee,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Disas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8, No. 3, 432-444, 2014. 

  3. O. N. Hwang, Y. S. Kwon, B. J. Park,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Seoul: Hyunmoon Publishing, 2015. 

  4. K. B. Kim, G. M. Geum, C. B. Jang,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CCTV Video Information with Disaster Recognition and Real-time Crisis Response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3, pp. 15-22, 2017. 

  5. Y. M. Kim, "Changes and Strategies of the Government Service Paradigm through Using Big Data-Focused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 Seoul C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2, pp. 59-65, 2017. 

  6. J. M. Yang, J. H. Kim, "A Study on Re-design of Quality Requirements for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327-335, 2015. 

  7. A. Jenings-Sanders, N. Frisch, S. Wing, "Nursing students's perceptions about disaster nursing",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Vol. 3, pp. 80-85, 2005. 

  8. J. C. Langan, D. C. James, "Preparing nurses for disaster mnagement", New Jersey, Person Prentice Hall. 

  9. Y. R. Lee, M. H. Lee, S. K. Park,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9, No. 4, pp. 511-520, 2013. 

  10. S. D. Cho, S. E. Heo, D. H. Moon, "A Convergence Study on the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125-136, 2016. 

  11.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KIHA). "Accreditation standard(Ver 2.0)", 2014. http://www.koiha.kr/member/kr/board/establishe 

  12. World Health Organnization &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International Council for Nurses. 2009. 

  13. E. G. Ann, K. L. Keum, S. Y. Choi, "A Study on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Nurses in Some Kore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Vol. 29, No. 1, pp. 94-109, 2011. 

  14. I. S. Lee, J. H. Kim, Y. J. Kim, "Convergence and Integration Review of Fire fighter Image through Disaster Mov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2, pp. 91-97, 2017. 

  15. T. G. Veenema, "Disaster nursing and Emergency preparedness for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terrorism", NY,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7. 

  16. L. Walsh, K. W. Schor, A. Cooper, J. A. Mitas II, R. A. Steinbrecher, "Core Competencies for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Disaster Med Public Health Preparedness, Vol. 6, No. 2, pp. 44-52, 2012. 

  17. R. Wisniewski, G. Dennik-Champion, J. W. Peltier, "Emergency Preparedness Competencies: assessing Nurses' Educational needs, J Nurs Adm, Vol. 34, pp. 475-480, 2004. 

  18. B. J. Polivka, S. A. Stanley, D. Gordon, K. Taulbee, G. Kieffer, S. M. McCorkle, "Public health nursing competencies for public health surge events", Public Health Nursing, Vol. 25, No. 2, pp. 159-165, 2008. 

  19. A. E. Bond, M. Tichy, "The disaster preparedness evaluation tool", Brigham Young University, UT, 2007. 

  20. J. Y. Noh,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Yonsei University, M. D. thesis, 2010. 

  21. M. R. Lynn,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Vol. 35, No. 6, pp. 382-385, 1986. 

  22. T. R. Hinkin, "A brief tutorial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s for use in survey questionnaire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 2, No. 1, pp. 104-121, 1998. 

  23. J. P. Yu,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e Publishing Co. pp. 160-370, 2012. 

  24. A. P. Field,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IBM SPSS statistics: And sex and drugs and rock 'n' roll. 4th ed. London, UK: Sage; pp. 685-686, 2013. 

  25. T. J. Seong, "Theory and practice of questionnaire construction and analysis", 2nd ed. Seoul: Hakjisa Corp. pp. 1-371, 2010. 

  26. M. S. Yim, "Specifying and analyzing formative measurement of high-order fact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3, pp. 101-113, 2013. 

  27. Y. A. Jung, "A Study on the Educa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1, pp.15-20, 2011. 

  28. S. Y. Kim,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Compet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IT Convergence Society for SMB, Vol. 7, No. 2, pp. 12-16,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