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식서비스산업에서 조직문화의 매개역할을 통한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Prim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7, 2017년, pp.245 - 251  

강규철 (성결대학교 경영학부) ,  오영호 (팔도반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요즘 외식서비스산업의 시장 환경이 산업간 융합을 통해 발전이 급변하고 있으며, 외식산업의 조직이라는 환경 또한 현대화, 산업화가 되면서 점점 복잡하고 예측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고객의 전체적인 소비과정에 직원의 참여가 반영되는 외식서비스산업의 경우, 인적자원이 그 기업의 경쟁우위가 될 수 있으며 인적자원 및 조직 관리의 중요성은 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해 리더십의 역할을 인식하고, 외식서비스산업의 종사자들에게 효과적인 조직 관리를 위한 감성리더십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외식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의 감성리더십, 조직성과, 조직문화에 대해 통합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7곳의 외식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체 500명 중 383명을 대상으로 외식서비스산업 종사자들의 감성리더십이 조직문화의 매개역할을 통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요구하는 외식서비스산업 구조의 이해와 발전에 통합적인 관점의 시야를 제공하고, 외식산업뿐 아니라 여러 서비스업종 간의 융합적 사고를 기반 한 인적자원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viron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unpredictable as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become more and more common. Moreover, the develop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convergence of the inter-industry servic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외식서비스산업에서 종사자들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전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감성리더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4,5], 조직문화의 매개역할을 통해 감성리더십이 조직 성과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는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관계 지향적인 조직문화에 대해서는 자기인식 능력의 t값은 4.
  • 가설2. 외식서비스산업 종사자의 감성리더십은 조직 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2. 외식서비스산업 종사자의 감성리더십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전 연구결과에서 감성리더십은 조직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제시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전 연구결과에 따르면 감성리더십은 조직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제시한다. 이는 조직 구성원들의 감성리더십이 조직성과를 증대시키고 조직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3].조직문화 유형으로는 여러 학자들마다 다양한 견해를 보이고 있으나 조직문화 를 사회적, 문화적, 산업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상호관계 속에 조직의 성과달성에 조직문화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로부터 얼마나 빠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지에 따라 구분한다 [22].
조직문화이란 무엇인가? 조직문화란 구성원들의 전형적인 행위적 특성을 보여주고, 폭넓게 공유한 가치들이 체계적으로 형성된 것을 뜻한다 [18]. 즉, 여러 요인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되며, 본질적인 가치와 인식을 공동적으로 공유하는 가치이자, 사회적 이상 또는 신념으로서 체계화된 집합이 다 [19,20,21]. 이전 연구결과에 따르면 감성리더십은 조직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제시한다.
조직성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특히, 외식서비스산업의 종사자들은 자신의 감정에 상관없이 고객응대의 호의적인 태도를 일관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 종사자들의 부정적인 감정과 갈등은 조직성과에 악영향을 미친다 [2]. 그러므로 인적관리 및 조직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리더십의 역할이 중요성이 제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ttp://www.mafra.go.kr 

  2. J. A. Morris, D. C. Feldman,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1, No. 4, pp. 986-1010, 1996. 

  3. N. M. Ashkanasy, B. Tse, Tranformational Leadership as Management of Emotion: A Conceptual Review, In N. M. Ashkanasy, C. E. J. Hartel, W. J. Zerbe(eds.), Emotions in the Workplace: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Westport, CT: Quarum Books, pp.221-235. 2000. 

  4. D. J. McAllister, "Affect 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 for Inter 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8, No. 1, pp. 24-59, 1995. 

  5. E.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California: Jossey-bass Inc., 1985. 

  6. L. Xie, J. Lu, C. A. Joo,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College Students' Leadership in Korea", J.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Vol. 26, No. 2, pp.25-46, 2016. 

  7. M. Y. Hwang, "Korean Research Trend on Leadership",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22, pp.125-154, 2009. 

  8. D. Goleman, E. Boyatzis, A. McKee,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02. 

  9. P. Salovey,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 9, No. 3, pp. 185-211, 1990. 

  10. A. Rafaeli, M. Worline, "Individual Emotion in Work Organization", Social Ccience Information, Vol. 40, No. 1, pp. 95-123. 2001. 

  11. D. Goleman, E. Boyatzis, A. McKee, Primal Leadership: Learning to Lea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004. 

  12. R. H. Humphrey, 'The Many Faces of Emotional Leadership', Leadership Quarterly, Vol. 13, No. 5, pp.493-504, 2002. 

  13. C. S. Wong, K. S. Law, "The Effort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 An Exploratory Study", Leadership Quarterly, Vol. 13, No. 3, pp.243-274, 2002. 

  14. V. Dulewicz, M. Higgs, M. Slaski,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Content, Construc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18, No. 5, pp.405-420 2003. 

  15. R. Abraham, "Emotion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 A Conceptualization",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Vol. 125, No. 2, pp.209-224, 1999. 

  16. J. R. McColl-Kennedy, R. D. Anderson, "Subordinate-Manager Gender Combination and Perceived Leadership Style Influence on Emotions,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58, No. 2, pp.115-125, 2005. 

  17. B. J. Avolio, W. L. Gardner, F. O. Walumbwa, F. Lithans, D. R. May,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Leadership Quarterly, Vol. 15, No. 3, pp.801-823, 2004. 

  18. G. Gordon, "Industry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6, No. 2, pp.396-415, 1991. 

  19. L. D. Asay, J. A. Maciariello, Executive Leadership in Health Care, Jossey-bass publishers. 1991. 

  20. H. Broms, H. Gahmberg, "Communicaion to Self in Organizations and Cultur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28, No. 3, pp.482-495, 1983. 

  21. L. Smircich, "Conception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28, No. 3, pp.339-358, 1983. 

  22. T. E. Deal, A. A. Kennedy, Corporate Cultures: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Reading, Mass: Addison-Wesley, 1982. 

  23. R. E. Quinn, M. R. McGrath,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 A Competing Value Approach, In perter J. Frost et al.(eds.), Organizational Culture Beverly Hills. CA: Sage, 1985. 

  24. K. S. Cameron, "Neasur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23, No. 4, pp.604-632, 1978. 

  25.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unnette,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1297-1349, 1976. 

  26. L. W. Porter, R. M. Steers,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Vol. 80, No. 173, pp.151-176, 1973. 

  27. N. J. Allen,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 63, No. 1, pp. 1-18, 1990. 

  28. J. H. Kwon, P. H. Kim, "Development of an Emotional Leadership Scale for Early Education Program Directors", J. of Korean Child Education, Vol. 23, No. 1, pp.79-102, 2014. 

  29. S. J. Lee, K.A. Ja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Dental Hygienist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3, pp.133-140, 2017. 

  30. J. R. Kim, H. J. Jo, "Effec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Job Satisfaction", J.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8, No. 1, pp.65-83, 2012. 

  31. T. C. Han, J. K. Lim,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f Police Chief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5, No. 1, pp.253-27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