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확장강도와 건물침수의 공간적 관계성
Spatial Relations of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and Flooded Buildings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7 no.4, 2017년, pp.759 - 764  

강상준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권태정 (동아대학교 도시계획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홍수로 인한 건물침수 발생지역과 시가지 확장현상 사이에 어떠한 공간적 상관성이 존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강릉시 일대를 대상으로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Hotspot Analysis를 이용하여 공간적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지 분석을 통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침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도시확장강도가 높으며 또한 그러한 확장이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 가도시화 성격이 강할수록 건물침수 발생 강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양호한 도시기반시설이 미흡하다고 여겨지는 구도심지역은 상대적으로 전체 연구대상지의 평균수준으로 건물침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높은 개발강도와 더불어 체계적인 도시기반시설마련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도시개발 또는 가도시화는 주택침수발생현상을 유발한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개연성은 공동주택지와 같은 신규개발지 증가가 신규개발지 인근 기개발지의 홍수취약성을 인접지역 신규개발 이전 상태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인과관계에 대한 향후 실증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e spatial relations between flooded buildings and urban expansion phenomena by employing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and hotspot analysis methods for the case of Gangneung. Two major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flooding susceptible areas are found in th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홍수로 인한 건물침수 발생지역과 시가지 확장현상 사이에 어떠한 공간적 상관성이 존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공간적 상관성은 여러 현상들의 관찰 결과값을 토대로 각각의 관계성에 대한 해석을 의미하며 이는 관찰되는 결과의 원인분석을 위한 유추 또는 가정수립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확장강도지수는 무엇인가? 도시확장강도지수(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UEII)는연구대상지 전체면적 대비 신규로 증가되는 도시지역의 연평균증가 비율로 정의된다. UEII 방법은 도시의 확장이나 도시 스프롤 현상의 계량적 측정을 목적으로 제안된 것으로 Liu et al.
공간자료의 탐색적 분석과 공간적 자기상관성분석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공간자료의 탐색적 분석과 공간적 자기상관성분석은 일반적으로 지리학 및 도시ㆍ지역학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Anselin, 1995; Kim et al., 2004; Jung et al.
도시확장강도지수는 어떤 목적으로 제안되었는가? 도시확장강도지수(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 UEII)는연구대상지 전체면적 대비 신규로 증가되는 도시지역의 연평균증가 비율로 정의된다. UEII 방법은 도시의 확장이나 도시 스프롤 현상의 계량적 측정을 목적으로 제안된 것으로 Liu et al. (2002), Zha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 27, No. 2, pp. 93-115. 

  2. Hwang, H. Y., Song, S. K. and Cho, J. H.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urban interactions on urban spatial expansion and fractal phenomena-focused on the Seoul, Seongnam, Bucheon, Anyang."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6, No. 7, pp. 115-133 (in Korean). 

  3. Jung, D. Y. and Shon, Y. K. (2009). "Analysis on the spatial features of the neighborhood trade area using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7, No. 1, pp. 141-147 (in Korean). 

  4. Kang, S. J. (2011a). A pilot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urban rain detention storages, Gyeonggi Institute (in Korean). 

  5. Kang, S. J. (2011b). Strategy for the facilitation of disaster risk reformation program, Gyeonggi Institute (in Korean). 

  6. Kang, S. J. (2016).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ded buildings and developed area typ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7, No. 1, pp. 349-354 (in Korean). 

  7. Kim, J. I. and Kwon, J. H. (2010). "Characteristics of the linkage between the central place and sub-regions in the Greater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45, No. 1, pp. 139-153 (in Korean). 

  8. Kim, Y., Ha, C. H. and Ahn, J. K. (2004). "Comparative study on urban structure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and interaction analysis in Masan and Changw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9, No. 6, pp. 7-22 (in Korean). 

  9. Lee, B. J., Kim, M. S., Kim, S. J. and Chan, E. H. (2016). Complementary utilization of disaster related districts and regions for disaster preventive urban planni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Korean). 

  10. Lu, S., Guan, X., He, C. and Zhang, J. (2014). "Spatio temporal patterns and policy implications of urban land expansion in metropolitan areas: a case study of Wuhan urban agglomeration, central china." Substantiality, Vol. 6, pp. 4723-4548. 

  11. Ma, R., Gu, C., Pu, Y. and Ma, X. (2008). "Mining the urban sprawl pattern: a case study on Sunan, China." Sensors, Vol. 8, pp. 6371-6395. 

  12. Rantz, S. (1970). Urban sprawl & flooding in southern california, USGS, US. 

  13. Sim, W. B., Wang, K. I., Lee, B. H., Cha, J. W. and Kim, H. Y. (2009). Resilient urban areas against climate change: a synergistic approach to urban hazard mitig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Korean). 

  14. Zhao, S. X. B., Chan, R. C. K. and Sit, K. T. O. (2003). "Globalisation and the dominance of large cities in contemporary China", Cities, Vol. 20, pp. 265-2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