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널 토빗모형을 이용한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the youth employment rate using panel tobit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4, 2017년, pp.853 - 862  

박성익 (경성대학교 국제무역통상학과) ,  류장수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  김종한 (경성대학교 경제금융물류학부) ,  조장식 (경성대학교 수학응용통계학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의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고용현황 조사, 국회의 공공기관 고용현황 조사, 알리오 (www.alio.go.kr) 및 클린아이 (www.cleaneye.go.kr) 등 4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기관별 청년채용 비율은 청년채용 여부와 청년채용비율의 크기에 대한 두 가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종속변수 가 일정한 영역에서만 관찰되는 중도자료를 갖는 형태로서 통상적 최소제곱추정은 편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치추정량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합동 토빗모형과 패널 토빗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동 토빗모형에 비해서 패널 토빗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고, 2011년에 비해서 2014년과 2015년의 청년채용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공공기관에 비해서 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평균 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입직원의 평균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정원대비 정규직비율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se the determinants of the youth employment rate of public agencies and local public enterprises. On the other hand the youth employment rate contains information of the youth employment rate and the size of the youth employment. We use pooled tobit model and panel tobit mod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청년채용을 하지 않는 기관들에 대해 종속변수인 청년채용비율을 ‘0’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들에 대한 정보도 갖고 있다면 중단자료 회귀모형이 더 적절하다.
  • 제 2절에서는 분석용 자료와 기술통계 분석결과를 소개하고, 제 3절에서는 연구모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그리고 제 4절에서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마지 막 제 5절에서는 결론을 제시한다.
  • h1>1. 서론
  • h1>1. 서론
  • 선형회귀모형의 결과에서 계수 값은 독립변수의 변화가 종속변수의 평균값의 변화량인 하계효과 (marginal effect)를 의미하지만, 토빗모형의 계수값은 독립변수의 변화가 종속변수의 평균값에 미치는 변화량과 그 값이 관찰될 확률의 변화량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가진다. 따라서 독립변수 의 변화에 따른 종속변수의 한계효과는 변화량과 관찰될 확률의 곱으로 결정되므로 (Green, 2003), 한 계효과 (dy/dx)의 값도 함께 제시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토빗모형 (Tobit model)을 활용하고자 한다. 토빗모형은 Tobin (1958)이 종속변수인 지출금액이 음이 될 수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고려한 회귀 모형을 설계했으며, 이후 Goldberger (1964)가 프로빗 모형과 유사성을 이유로 Tobit 모형이라 지칭하 였다.
  • h1>1. 서론
  • 이러한 상황에서 문재 인 정부는 민간에만 일자리창출 책임을 맡기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하에서 국가 및 공공기관에 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전력을 쏟고 있다. 공무원 확충을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이 현재 화 제가 되고 있지만, 사실 이러한 취지의 정책은 ‘청년고용의무제’라는 이름으로 이미 실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즉 현행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은 “30인 이상 등 일정 기준에 해당되는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 지방공기업에 대해 매년 정원의 3% 이상을 34세 이하의 미취업 청년으로 채용”하기 를 의무화하고 있다.
  • 먼저, 2011년에 비해서 2014년과 2015년이 유의하게 청년채용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공기업에 비해서 공공기관의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평균 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청년채 용비율이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 h1>1. 서론
  • h1>1. 서론
  • + ui + ϵit, ui ~ N(0, σ2u), ϵit ~ N(0,σ2e), I = 1, 2, ..
  • kr) 등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연 도별 자료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 해 합동 토빗모형 (pooled tobit model)과 패널 토빗모형 (panel tobit model)을 적용하여 최적모형을 탐색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절에서는 분석용 자료와 기술통계 분석결과를 소개하고, 제 3절에서는 연구모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그리고 제 4절에서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마지 막 제 5절에서는 결론을 제시한다.
  • 중단자료를 갖는 종속변수에 대한 타당한 모형으로는 중단자료 회귀모형 (censored regression model)과 절단자료 회귀모형 (truncated regression model)이 있다. 만약 청년채용을 하지 않은 기관들에 대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에 대한 정보가 없다면 절단자료 회귀모형이 적절하다.
  •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알리오에는 연도별 기관명, 주무기관, 기관성격, 소재지, 임직원 수, 신규채용 및 청년인턴 채용현황, 직원 평균보수현황 등의 많은 변수가 존재한다. 그러나 청년고용현황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변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어서 공공기관명을 활용하여 고용노동부의 청년고용현황 조사 및 국회의 공공기관 현황조사와 결합함으로써, 공공기관의 특성과 청년고용 실태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h1>1. 서론
  • 한편 청년고용과 관련 연구로는 Park 등 (2015)과 Park 등 (2016)은 중소기업 청년인턴의 이직횟수 및 재직기간을 분석하였다. Ryu 등 (2013)은 공공기관의 지방인재 채용실태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 며, Kim과 Chung (2013)은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 h1>1. 서론
  • 4. 분석결과

  • 위의 식에서 잠재적인 종속변수 Yi*의 기댓값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은 어떠한 사항을 의무화하고 있는가? 공무원 확충을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이 현재 화 제가 되고 있지만, 사실 이러한 취지의 정책은 ‘청년고용의무제’라는 이름으로 이미 실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즉 현행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은 “30인 이상 등 일정 기준에 해당되는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 지방공기업에 대해 매년 정원의 3% 이상을 34세 이하의 미취업 청년으로 채용”하기 를 의무화하고 있다. 청년고용의무제는 원래 2016년까지라는 한시적 성격의 조항에 기초하고 있었는데, 2016년말 법 개정으로 적용기간이 2018년까지 연장되었다.
청년채용비율의 결정요인 분석 시 종속변수는 어떠한 정보를 담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은 연도별로 청년채용비율이 있는 그룹과 청년채용을 하지 않음으 로 인해 청년채용비율이 ‘0’인 그룹이 존재한다. 즉 종속변수인 청년채용비율의 결정요인을 분석할 때 종속변수는 청년채용 여부와 청년채용비율의 크기에 대한 두 가지의 복합적인 정보를 담고 있으며, 청년 채용을 하지 않은 경우 종속변수는 중단자료가 된다. 한편 종속변수의 관측치가 이용 가능하지 않는 그 룹을 0으로 놓고 추정하든, 아니면 무시하고 관측치가 이용 가능한 그룹에 대해서만 추정하든 통상적 최 소제곱추정 (ordinary least squares)은 편의 (bias)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치추정량을 제공하지 못 한다.
관측치가 이용 가능한 그룹만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하게 되면 어떠한 일이 발생하는가? 한편 종속변수의 관측치가 이용 가능하지 않는 그 룹을 0으로 놓고 추정하든, 아니면 무시하고 관측치가 이용 가능한 그룹에 대해서만 추정하든 통상적 최 소제곱추정 (ordinary least squares)은 편의 (bias)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치추정량을 제공하지 못 한다. 특히 후자의 정보만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하게 되면 전형적인 표본선택에 의한 편의 (sample selection bias)가 발생하게 된다. 즉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을 분석할 때 청년채용을 한 기관만을 대상 으로 분석한다면, 이들 대상 기관들은 무작위로 추출된 표본이 아니며, 또한 비무작위적으로 청년채용을 하지 않은 기관들이 배제됨으로써 표본선택 편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memiya, T. (1984). Tobit models : A survey. Journal of Econometrics, 24, 3-61. 

  2. Goldberger, A. S. (1964). Economic theory, Wiley, New York. 

  3. Green, W. (2003). Econometrics (5th editi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4. Heckman, J. J. (1976). The common structure of statistical models of truncation, sample selection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s and a simple estimator for such models. Annals of Economic and Social Measurement, 5, 475-492. 

  5. Im, K. H. and Lee, D. J. (2009). Analysis on the youth employment trends and evaluation on the employment policy (& program) in Jeonbuk province.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3, 89-114. 

  6. Kim, G. S. and Chung, M. S. (2013). The Determinants of the out-migration of human capital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Journal of Korean National Economy, 37, 103-130. 

  7. Park, S. I. and Cho, J. S. (2015).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number of job chang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387-397. 

  8. Park, S. I. and Cho, J. S. (2016).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duration in the youth-inter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285-294. 

  9. Ryu, J. S., Park, S. I., Cho, J. S., Kim, J. H. and Kwak, S. H. (2013). The Determinants on the Employment of Local Brains in the Public Sector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23, 119-143. 

  10. Ryu, J. S., Park, S. I., Cho, J. S. and Kwak, S. H. (2016). Study on employment impact assessment of the quota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youth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Korea Labor Institute, Sejong. 

  11. Tobin, J. (1958). Estimation of relationships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Econometrica, 26, 24-36. 

  12. Wooldridge, J. M. (2002).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MIT Press, Cambridge MA. 

  13. Yang, J. Y. and Jeong, H. J. (2016). A study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54, 199-2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