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시대의 공연예술 원문보기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v.21 no.1/2, 2017년, pp.7 - 11  

임영준 (동국대학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즉, 이는 음성명령으로 작동되며 구글 글라스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 명령 하면 실시간 촬영 또는 SNS 공유 및 문자전송, 내비게이션들을 사용 할 수 있다. 이탈리아의 오페라는 오케스트라 단원과 가수, 그리고 무대의 테크니컬 스태프들에게 구글 글라스를 착용하게 했고 각자의 관점에서 본 다양한 장면을 편집하여 극장 홈페이와 SNS를 통해 노출시켰다. 하지만 큰 화두를 몰고 올 것처럼 기술력을 과시했지만 SNS상에서의 반짝이는 이슈 외에 오페라의 흥행에까지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7]

대상 데이터

  • 지난 2014년 이탈리아 샤르데나의 칼리아리 오페라는 구글 글라스(Google Glass)를 이용하여‘투란도트’를 상연했다.
  • 영국의 웨스트엔드, 미국의 브로드웨이 뮤지컬과 달리 캐나다의 ‘태양의 서커스’는 똑같은 공연을 전 세계의 도시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하지 않고 수십 년간 전 세계를 순회하는 공연으로 유명하다. 특히 우리나라에도 2007년, 2015년 두 차례 방문한 적이 있으며 1996년에 초연된 [퀴담 (Quidam)]은 작년까지 20년간 230개 도시에서 1380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고 2016년에 공연종료를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SAC on the Screen이 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예술의 전당에서도 ‘SAC on the Screen’ 라고 하는 유사한 프로그램을 2014년부 터 진행하고 있으나 라이브 보다 녹화상영이 대부분이고 이마저도 클래식 또는 국악위주의 공연이기 때문에 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은 간단하다.
빅 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의 확산 및 노출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공연을 라이브로써 보여주는 것과 영상화하여 보여주는 것은 옳고 그름이 아닌 기획·제 작자의 선택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콘텐츠 시장은 수요보다 공급이 훨씬 많으며, 이와 같은 환경에서 개인의 취향에 맞는 또는 선호하는 콘텐츠를 찾는 과정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빅 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콘텐츠의 확산 및 노출이 중요할 수도 있다[10]. 이런 상황에서는 공연의 영상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지도 모르겠다.
영국의 NT Live Show에서 저작권 문제가 쉽게 해결된 이유는 무엇인가? 물론 영국의 NT Live Show는 이러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영국 국립극장에서 제작하여 그것을 직접 유통·배급시키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가 원만히 해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저작권 문제를 해결한다 하더라도 영상화된 공연은 본 공연의 마케팅 수단으로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느냐 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한국일보 2017년 6월 13일 인터넷 뉴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69&aid0000208326 (accessed June, 13, 2017). 

  2. S. Kim, "Cultural Industry in 4th Industry Era, Crinvi Design Publisher, 2017. 

  3. 테크M 2017년 1월 18일 인터넷 뉴스 http://techm.kr/bbs/board.php?bo_tablearticle& wr_id3570 (accessed June, 7, 2017). 

  4. J. Han,"Korea's Present and Future with Performing Arts which Broadcasts Live via Satellite since 2006", Aug., 2016. http://www.gaeksuk.com/atl/view.asp?a_id1851 

  5. NT(National Theatre) live show - https://www.nationaltheatre.org.uk/about-the-national-theatre/national-theatre-live (accessed June, 7, 2017). 

  6. NT(National Theatre) live show - https://www.nationaltheatre.org.uk/about-the-national-theatre/national-theatre-live (accessed June, 7, 2017). 

  7. J. Han,"Korea's Present and Future with Performing Arts which Broadcasts Live via Satellite since 2006", Aug., 2016. 

  8. 연합뉴스 2015년 8월 6일 인터넷 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8/06/0200000000AKR2015080614820 0005.HTML?input1195m (accessed June, 8, 2017) 

  9. 연합뉴스 2015년 8월 6일 인터넷 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8/06/0200000000AKR20150806148200005.HTML?input1195m (accessed June, 8, 2017) 

  10. S. Son, and S. Kim, "Policy Issues on Big Data and User-oriented Strategies",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2 

  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The Survey of Cultural Enjoyment",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