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4차산업혁명 대응현황과 과제 원문보기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v.21 no.1/2, 2017년, pp.18 - 22  

심춘수 (동국대학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중국은 이미 기초연구역량이나 응용기술의 개발 나아가 기술혁신의 기반조건에서 있어서 기술강국들과의 차이를 상당부분 좁혀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기술강국들과 경쟁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이미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후속연구

  • 특히 제조업혁신센터건설공정에 있어 2025년까지 40여개의 산업기술연구기지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런 연구기지에서 차세대 정보통 신기술, 스마트제도, 신소재, 생물의약 등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그리고 첨단설비혁신공정과 관련하여 대형여객기, 항공엔진, 스마트녹색열차, 해양엔지니어링, 첨단선박, 첨단의료설비 등 프로젝트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 이 5대 공정으로는 제조업혁신센터건설, 스마트제조, 공업기반건설, 녹색제조, 첨단설비혁신 등이 있다. 특히 제조업혁신센터건설공정에 있어 2025년까지 40여개의 산업기술연구기지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런 연구기지에서 차세대 정보통 신기술, 스마트제도, 신소재, 생물의약 등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그리고 첨단설비혁신공정과 관련하여 대형여객기, 항공엔진, 스마트녹색열차, 해양엔지니어링, 첨단선박, 첨단의료설비 등 프로젝트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 정부가 10년 내에 제조업 강국으로 거듭나는 것을 목표로 2015년 5월 발표한 계획은 무엇인가? 중국 정부는 2015년 5월에 앞으로 10년 내에 제조업강국으로 거듭나는 것을 주요목표로 ‘중국제조 2025 (China Manufacturing 2025)’ 계획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5] ‘중국제조 2025’계획 시행원칙의 첫 번째로 정부 주도가 아닌 시장메커니즘에 의해 추진한다고 명시하였다.
중국의 산업 기술에서 원천기술의 부재가 나타난 원인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기술측면에서 볼 때 원천기술의 부재와 외국기업의 리쇼어링(Reshoring) 문제가 있다. 원천기술의 부재의 원인은 해당분야의 기술축적이 많지 않은 것도 있겠지만 고급기술인력의 유출도 중요한 원인이 된다. 해외투자를 통한 원천기술 확보는 단기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외국 기술에 계속 의존해야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한국과 중국의 경제적 연대성으로 인해 중국의 기술발전이 한국 경제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은 중국과의 경제적 연대성 때문에 중국의 기술발전 역시 한국 경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중국이 우위를 갖고 있는 기술영역에서는 최대한 협력의 기회를 찾을 수 있고 한국이 우위에 있는 기술영역에서는 기술우위로 경제적 이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http://epaper.gmw.cn/gmrb/html/2015-05/08/nw.D110000gmrb_20150508_1-05.htm 

  2. http://sh.sina.com.cn/yq/zxjj/2017-06-26/detail-ifyhmtcf2891277.shtml 

  3. https://www.natureindex.com/annual-tables/2016/country/all 

  4. pct_wg_9_presentation_statistics, 2016 PCT Yearly Review, The International Patent System WIPO Publication No. 901E/2016. 

  5. http://www.e-works.net.cn/report/made2025/made2025.html 

  6. http://www.sohu.com/a/149066728_473283 

  7. https://www.cbinsights.com/blog/chinainvestment-us-tech-startup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