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NS Addic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2, 2017년, pp.33 - 44  

김수성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이영순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강정석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리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특정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는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수정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SNS 중독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서 향후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통해서 부적응적 자기개념(예: 낮은 자기존중감), 부적응적 성격 특성(예: 강한 자기애),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예: 높은 수준의 불안)이라는 SNS 중독의 표면적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기반으로 이들 표면적 원인 기저의 근본적 원인으로 인지적 차원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적 차원의 정서조절곤란을 도출하고 '초기 부적응 도식 ${\rightarrow}$ 정서조절곤란 ${\rightarrow}$ SNS 중독'이라는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개념적으로 제안하였다. SNS 중독의 고위험군인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0대 여성 집단에서 이와 같은 심리적 부적응 기제가 나타났지만 20대 남성 집단에서는 '초기 부적응 도식 ${\rightarrow}$ SNS 중독'의 관계만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20대 남녀의 초기 부적응 도식에 대한 인지치료나 20대 여성의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정서치료가 SNS 중독 치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ltimate purpose of psychotherapy is to identify covert causes of a psychological problem and then to modify and change the cau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also to make contribution to SNS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 through exploring the covert causes of SNS addiction which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NS 중독을 치료의 대상으로 보고 SNS 중독의 심리적 원인을 살펴본 국내 선행 연구들은 부적응적 자기개념(예: 낮은 자기존중감, 낮은 자기효능감), 부적응적 성격 특성(예: 강한 내현적 자기애, 강한 불안 애착)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예: 높은 수준의 불안과 소외감)이 SNS 중독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들 원인을 SNS 중독 유발의 표면적 원인이라고 보고 이들 원인 기저의 근본적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 연구 개관을 통해서 부적응적 자기개념과 부적응적 성격 특성의 근본적 원인을 초기 부적응 도식(SNS 중독의 인지적 근본 원인)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의 근본적 원인을 정서조절곤란(SNS 중독의 정서적 근본 원인)이라고 개념적으로 제안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선행 연구 개관을 기반으로 온라인 대인 관계 집착 상태인 SNS 중독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인지적 그리고 정서적 원인을 탐색하고 이들 원인과 SNS 중독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둘째, SNS 이용률이 가장 높기 때문에(Kim, 2016) SNS 중독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된 국내 20대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서,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발달하는 초기 부적응 도식은 현재의 부적응적 성격 특성인 신경증 유발의 원인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 중독의 표면적 원인인 자기애, 회피애착, 불안애착 등과 같은 부적응적 성격 특성의 근본적 원인을 초기 부적응 도식이라고 제안한다.
  • 110)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자기존중감이나 자기효능감은 자기개념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첫 번째 연구 흐름은 자기개념과 관련된 원인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있다. Hwang과 Kim(2015)의 연구에 의하면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존중감이 낮을수록 SNS 중독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 2007)은 오프라인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조절곤란이 온라인 대인관계에 대한 집착 현상인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그러나 SNS 중독의 원인은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조절곤란과 같은 심리적 원인 이외에 사회적 원인(예: 친구와의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부족, 오프라인의 사회적 지지 부재)도 존재한다(Yoon & Park, 2014).
  •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 연구 개관을 통해서 부적응적 자기개념과 부적응적 성격 특성의 근본적 원인을 초기 부적응 도식(SNS 중독의 인지적 근본 원인)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의 근본적 원인을 정서조절곤란(SNS 중독의 정서적 근본 원인)이라고 개념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정서조절곤란이 초기 부적응 도식과 SNS 중독 간의 인과적 관계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제안을 기반으로 SNS 중독의 근본적 원인인 초기 부적응 도식(인지적 측면)과 정서조절곤란(정서적 측면)이 어떻게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효과적인 SNS 중독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SNS 중독 현상 기저의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SNS 중독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치료에 기여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표면적 수준이 아닌 근본적 수준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SNS 중독을 치료의 대상으로 접근하는 관점을 채택해서 SNS 중독 현상 기저의 근원적인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 첫째, 특정 심리적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은 표면적인 것과 근본적인 것으로 구분되며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심리치료의 궁극적인 목표이다(Cho, 2001a).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선행 연구 개관을 기반으로 온라인 대인 관계 집착 상태인 SNS 중독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인지적 그리고 정서적 원인을 탐색하고 이들 원인과 SNS 중독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둘째, SNS 이용률이 가장 높기 때문에(Kim, 2016) SNS 중독 위험에 가장 많이 노출된 국내 20대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먼저 SNS 중독의 근본적 원인을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는 Young이 제안한 인지치료의 한 종류인 심리 도식 치료를 통해 20대 남녀의 초기 부적응 도식을 수정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다(Young, Klosko, & Weishaar, 2013; Cho, 2001a). 이와 같은 제안은 20대 남녀의 초기 부적응 도식이 SNS 중독을 직접적이고 독립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 이와 같이 다양한 치료 목표 중 SNS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목표를 무엇으로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20대 여성 응답자의 자료를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의 6개 하위 차원 별로 추가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에 대한 비수용성(정서 수용) (Sobel test statistic=2.
  •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효과적인 SNS 중독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SNS 중독 현상 기저의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밝히는 것이다. 특히, SNS 중독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치료에 기여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표면적 수준이 아닌 근본적 수준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리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은? 심리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특정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는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수정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SNS 중독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서 향후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SNS 중독의 표면적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SNS 중독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서 향후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통해서 부적응적 자기개념(예: 낮은 자기존중감), 부적응적 성격 특성(예: 강한 자기애),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예: 높은 수준의 불안)이라는 SNS 중독의 표면적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기반으로 이들 표면적 원인 기저의 근본적 원인으로 인지적 차원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적 차원의 정서조절곤란을 도출하고 '초기 부적응 도식 ${\rightarrow}$ 정서조절곤란 ${\rightarrow}$ SNS 중독'이라는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개념적으로 제안하였다.
SNS 중독 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와 같이 강한 중독성을 가진 SNS 중독은 물질 또는 약물 중독과 동일하게 다음과 같은 중독 증상을 가지고 있다(Andreassen, 2015; Griffiths, 2005). 먼저, SNS에 중독된 사람은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시간 동안 SNS를 이용할지를 생각하며 SNS를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SNS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한다(현저성 증상). SNS 중독자는 SNS를이용하기 전에 계획한 시간 이상으로 SNS를 이용하며 SNS를 이용할수록 SNS 이용 시간이 점점 더 증가 한다(내성 증상). SNS에 중독된 사람은 자신이 경험하는 불안, 초조, 우울 등의 부정적 정서의 강도를 낮추기 위해서 SNS를 이용하려고 한다(기분 수정 증상). SNS 중독자는 상황이나 타인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SNS를 이용하지 못 하게 되면 스트레스를 받고 초조해진다(금단 증상). SNS에 중독된 사람은 스스로 SNS 이용 시간이나 빈도를 줄이지 못하고 SNS를 자발적 으로 탈퇴했더라도 곧 재가입해서 이용한다(재발 증상). SNS 중독자는 SNS 이용 때문에 취미나 여가 활동, 학업이나 일, 일상의 대인 관계 활동에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할애한다(갈등 증상). 더 나아가서 이들은 SNS 이용 때문에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거나 일상의 대인 관계가 나빠지거나 성적이나 일의 성과가 떨어지는 부정적 결과를 경험한다(문제 증상).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5).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 Andreassen, C. S. (2015). Online social network site addiction: A comprehensive review. Current Addiction Reports, 2(2), 175-184. 

  3. Cha, Y., Kim, J., Kim, J., Kim, S., Kim, D., & Whang, M. (2012). Validity analysis of the social emotion model based on relation types in SN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5(2), 282-296. 

  4. Chang, J. J. (2014). The relationship of early maladaptive schema,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empathy.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0(4), 429-449. 

  5. Cho, S. (2001a).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schema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3(1), 177-192. 

  6. Cho, S. (2001b). Early maladaptive schemas, defense styl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3(3), 39-54. 

  7. Cho, S. (2002).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sychological un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14(4), 775-788. 

  8. Cho, S., & Suh, K.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rel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 on covert narciss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1), 239-250. 

  9. Cho, W. (2016. 5. 15). May you also become addicted to Smartphone? Meconomy News. Retrieved July 1, 2016, from http://www.m-economynews.com. 

  10. Cho, Y. (2007). Assessing emotion dysregulati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4), 1015-1038. 

  11. Cho, Y. (2012). Effects of and mechanisms of changes in a group mindfulness-based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 for improving psychological health: Mediating roles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mindfulnes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3), 773-799. 

  12.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13. Griffiths, M. D. (2005).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10(4), 191-197. 

  14. Griffiths, M. D. (2013). Social networking addiction: Emerging themes and issues. Journal of Addiction Research & Therapy, 4(5), 1000e118. Retrieved March, 4, 2016, from http://www.omicsonline.org/ social-networking-addiction-emerging-themes-and-is sues-2155-6105.1000e118.pdf. 

  15. Greenberg, L. S. (2004). Emotion-focused therapy.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1(1), 3-16. 

  16. Ha, T. H. (2016). Th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attachment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3), 763-772. 

  17. Han, K. S., Park, E. S., Song, J. A., Kim, K. M., Jin, J. H., & Kang, H. C. (2007). Interpersonal attachment style, emotional regulation,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2), 198-204. 

  18. Hofmann, W., Vohs, K. D., & Baumeister, R. F. (2012). What people desire, feel conflicted about, and try to resist in everyday life. Psychological Science, 23(6), 582-588. 

  19. Hwang, H. E., & Kim, H. S. (2015). Influences of self-esteem,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 on the tendency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Research, 22(9), 233-253. 

  20. Jeong, G., & Moon, J. (2015).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KCA Thesis Journal, 15(9), 146-156. 

  21. Kim, S., & Kim, J. (2016).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in adolescent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1), 265- 281. 

  22. Kim, Y. (2016). Trend of SNS use and use behavior analysis. KISDISTAT Report, 16(7), 1-9, 

  23.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9), 3528-3552. 

  24. Kwon, O., & Wen, Y. (2010). An empirical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network servic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2), 254-263. 

  25. Lee, M. (2006).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Republic of Korea. 

  26. Lee, H., & Ha, E. (2016). The mediating s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 intensity and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9(1), 35-51. 

  27. Lee, S. J., Kim, G. A., & Hong, C. H. (2011). The effects of Internet use motivation and stress coping on adolescent’s pathological Internet use: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6(3), 265-284. 

  28. Lumley, M. N., & Harkness, K. L. (2007). Speciality in the relations among childhood adversity,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ymptom profiles in adolescent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1(5), 639-657. 

  29.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2015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30. Park, S., Shin, M., & Lee, H. (2005). Self-evaluation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overt.covert narcissis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2), 255- 266. 

  31. Pervin, L. A., & John, O. P. (1997).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John Wiley & Sons. 

  32. Ryan, T., Chester, A., Reece, J., & Xenos, S. (2014). The uses and abuse of Facebook: A review of Facebook addiction.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3(3), 133-148. 

  33. Sampasa-Kanyinga, H., & Lewis, R. F. (2015). Frequent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is associated with poor psychological functioning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7), 380-385. 

  34. Schmidt, N. B., Joiner, T. E., Young, J. E., & Telch, M. J. (1995). The schem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a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measure of maladaptive schema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3), 295-321. 

  35. Segal, Z. W. (1988). Appraisal of the self-schema construct in cognitive models of depression. Psychological Bulletin, 103(2), 147-162. 

  36. Seo, W. J., Kim, M., Kim, J. H., Ebesutani, C., & Jo, I. S.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4), 443-458. 

  37. Sledgianowski, D., & Kulviwat, S. (2009). Using social network sites: The effects of playfulness, critical mass and trust in a hedonic context.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49(4), 74-83. 

  38. Sung, Y., & Kang, J. (2015). The effect of legitimacy and fashionability on females’ control over their boyfriends’ fashion style.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8(4), 109-118. 

  39. Thimm, J. C. (2010). Personality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A five-factor model perspective.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41(4), 373-380. 

  40.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25-52. 

  41. Thompson, R. A., & Calkins, S. D. (1996). The doubleedged sword: Emotion regulation in high risk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8(1), 163-182. 

  42. Turel, O., & Serenko, A. (2012). The benefits and dangers of enjoyment with social networking website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1(5), 512-528. 

  43. Yang, K., & Park, K. (2014). The effects of in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 worrying: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1), 187- 201. 

  44. Yoon, M., & Park, W. (2014).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42(3), 208-236. 

  45. Young, K. S. (2004). Internet addiction: A new clinical phenomenon and its consequenc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8(4), 402-415. 

  46. Young, J. E., Klosko, J. S., & Weishaar, M. E. (2013).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S. Kwon, J. Kim, S. Seo, R. Ju, S. Yoo, & J. Lee, Trans.). Seoul: Hakjisa. 

  47. Zhao, X., Lynch, J. G., & Chen, Q. (2010). Reconsidering Baron and Kenny: Myths and truths about mediation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2), 197- 2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