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기분인식과 정서표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Mood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2, 2017년, pp.45 - 58  

조명현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  나진경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분 인식과 정서 표현이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부적인 관계를 약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우선 정서 표현은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정서표현성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적응 간의 부적 관계를 완화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런 효과는 학업 스트레스가 심할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기분 인식의 두 요인인 기분모니터링과 기분명명화가 학업 스트레스-적응 간의 관계에서 보이는 다른 양상인데, 두 요인이 모두 학업 스트레스-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다르게, 기분 모니터링은 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 반면 기분명명화는 조절효과 없이 주효과 만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기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스트레스 많은 상황에서 학업 적응에 도움이 되었고, 본인의 기분이 무엇인지 명명하는 것은 스트레스의 수준에 관계없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기분 모니터링과 정서 표현이 학업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해야 하는 경우 인지적 행동적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이 함께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tested a hypothesis that mood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vity would attenuate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In support of the hypothesis, the present research showed that emotional expressivity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고자 기분 인식과 정서 표현 같은 감정적인 요인이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부정적인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기분을 인식하고 정서를 표현하는 정도가 학업 소진과 학업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지를 조사해보았다.
  • 그리고 무엇보다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기분명명화는 행복과 높은 상관을 나타냄으로써(Choi & Lee, 2004) 변인 자체가 일관되게 긍정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분모니터링과 같은 맥락에서 기분명명화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 보았다.
  • 기분인식과 정서표현성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다양한 선행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스 완화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학업 스트레스가 기분 인식과 정서 표현에 의해서 완화될 수 있는지를 학업 적응의 측면에서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가설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학교 장면에서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부적인 연결고리를 완화하기 위한 요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고자 기분 인식과 정서 표현 같은 감정적인 요인이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부정적인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기분을 인식하고 정서를 표현하는 정도가 학업 소진과 학업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지를 조사해보았다.
  • 본 연구는 학업 수행 과정에서 파생되는 감정을 어떻게 다스려야 할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스트레스는 그 자체로 생활 속에서 부적응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스트레스 관리는 학업 수행 못지않게 중요한 영역이다.
  • 본 연구에서는 기분 인식의 두 요인인 기분모니터링, 기분명명화와 정서표현성이 학업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부적인 관계를 완화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고찰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그렇기 때문에 학업 수행 시 감정을 조절하는 것은 안정된 학습 과정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적인 학업생활의 지속을 위한 인지 행동적 방안의 일환으로 기분, 정서와 같은 감정적 측면의 활용 가능성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분 인식과 정서 표현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부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해 볼 것이다.
  • 그렇기 때문에 관점에 따라 기분모니터링의 다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기분모니터링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해 보았다.
  • 따라서 정서의 표현은 다양한 측면에서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며, 이를 바탕으로 대인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사회적 기술을 함양할 수도 있는 유용한 기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정서표현의 유용성을 기본 골자로 하여, 역시 정서표현성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학업 스트레스는 성적이나 시험, 수업 등과 같은 학업 장면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신적 부담, 근심, 긴장, 우울 등의 심리상태로서, 학생들이 평소 학업 상황에서 내적으로 겪는 스트레스와 외부 환경으로부터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포함한다(Kim, Cha, Kang,Lim, Jeon, Cho, Lim, & Seok, 2012). 학업 스트레스는 아동청소년기부터 대학입학 이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스트레스자체뿐만이 아니라 학업 동기, 주어진 학업 수행, 학습 목표, 효능감, 학업 상황에 대한 수용성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적응 문제(Baker & Siryk, 1984)를 일으키고 있다.
정서표현성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대학생과 대학원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우선 정서 표현은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정서표현성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적응 간의 부적 관계를 완화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런 효과는 학업 스트레스가 심할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기분 인식의 두 요인인 기분모니터링과 기분명명화가 학업 스트레스-적응 간의 관계에서 보이는 다른 양상인데, 두 요인이 모두 학업 스트레스-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다르게, 기분 모니터링은 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 반면 기분명명화는 조절효과 없이 주효과 만을 보였다.
아동기 시절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보인 학생의 결과는? 아동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학생들은 여러 가지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보이며(Hampel & Peterson, 2006), 결국 학교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게 된다(Park, 2014;Lee & Son, 2005). 이러한 학업 스트레스는 학습 부진(Kang & Jung, 1999)이나 학습 무동기(Kim et al.,2012; Lee & Jung, 2007)로 이어지기도 하며, 급기야는 학업의 중도 포기(Guthrie, Black, Bagalkote, Shaw, Campbell, & Creed, 1998)와 자살 시도(Kim, Sung, &Jang, 2016; Ciarrochi, Deane, & Anderson, 2002; Juon, Nam, & Ensminger, 1994) 등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문제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 179-189. 

  2. Bennett, R. (2003). Determinants of undergraduate student drop out rates in a university business studies department.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27(2), 123-141. 

  3. Bower, G. H. (1992). How might emotions affect learning? In S. A. Christianson (Eds.), The handbook of emotion and memory: research and theory (pp. 3-31). Hillsdale, NJ: Erlbaum. 

  4. Brown, P. C., May, R. W., Sanchez-Gonzalez, M. A., Koutnik, A. P., & Fincham, F. D. (2013). The relationship of school burnout,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academic performance.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25th Annu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Washington, DC. 

  5. Byun, J. E., Lee, S. J., You, J. H., & Lee, H. K. (1997). The influence of need for closure and mood awareness on the experience of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0(2), 55-77. 

  6. Carstensen, L. L. (1992). Selectivity theory: social activity in life-span context. In K. W. Schaie (Ed.),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11, pp. 195-217). New York: Springer. 

  7. Carveth, J. A., Gesse, T., & Moss, N. (1996). Survival strategies for nurse-midwifery students. Journal of Nurse-Midwifery, 41(1), 50-54. 

  8. Chang, D. W., Park, J. H., Na, T. J., & Rhee, Y. S. (1986). A preliminary study of a major-adjust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aptitude discrepancy. Research for Student Life (학생생활연구) 14, Institute of Student life, Chonbuk National Univeristy (전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9. Cho, A. R., & Kim, Y. M. (2000). Self-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2), 319-330. 

  10. Choi, Y., & Lee, S. J. (2004).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awareness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4), 887-901. 

  11. Choi, Y. B., Abbott, T. A., Arthur, M. A., & Hill, D. (2007). Towards a future wireless classroom paradigm.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and Learning, 4(1), 14-25. 

  12. Ciarrochi, J., Deane, F. P., & Anderson, S. (2002).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2), 197-209. 

  13. Cohen, D., & Gunz, A. (2002). As seen by the other. Perspectives on the self in the memories and emotional perceptions of Easterners and Westerners. Psychological Science, 13(1), 55-59. 

  14. DePaulo, B. M. (1992). Nonverbal behavior and selfpresent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1(2), 203- 244. 

  15. Dwyer, A. L., & Cummings, A. L. (2001).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in university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Counselling, 35(3), 208-220. 

  16. Elliot, A. J., Shell, M. M., Henry, K. B., & Maeir, M. A. (2005). Achievement goals, performance contingencies, and performance attainment: An experimental tes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7(4), 630-640. 

  17. Fimian, M., & Cross, A. (1986). Stress and burnout among preadolescent and early adolescent gifted student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6(3), 247-267. 

  18. Friedman, H. S., & Riggio, R. E. (1981). Effec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nonverbal expressiveness on transmission of emotion.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6(2), 96-104. 

  19. Frijda, N. H. (1993). Moods, emotion episodes, and emotions. In: Handbook of Emotions, Lewis M, Harviland J. M. (eds); Guilford: New York; 381- 403. 

  20. Gan, Y., Shang, J, & Zhang, Y.. (2007). Coping flexibility and locus of control as predictors of burnou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5(8), 1087-1098. 

  21.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22. Gohm, C. L. (1999). Typecasting by emotional experience: Hot, cool, cerebral, or overwhelmed. Poster present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Denver, CO. 

  23. Gohm, C. L. (2003).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3), 594-607. 

  24. Gross, J. J., & Munoz, R. F. (1995). Emotion regulation and mental health.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2(2), 151-164. 

  25. Guthrie, E. Black, D., Bagalkote, H., Shaw, C., Campbell, M., & Creed, F. (1998). Psychological stress and burnout in medical students: a five-year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91(5), 237-243. 

  26. Hampel, P., & Peterson, F. (2006). Perceived stress, coping, and adjustment i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8(4), 409-415. 

  27. Harmon, T. M., Nelson, R. O., & Hayes, S. C. (1980). Self-monitoring of mood versus activity by depressed clients.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48(1), 30-38. 

  28. Heo, C. G., Bae, B. H., & Kim, W. S. (2006). Development of MBI-SS and test for predictor and outcome variable of academic burnout (학업탈진 (MBI-SS)의 측정도구 개발 및 학업탈진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인 검증). Manuscript in preparation. 

  29. Herndon, K. J., Bailey, C. S., Shewark, E. A., Denham, S. A., & Bassett, H. H. (2013). Preschoolers’ emotion expression and regulation: relations with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4(6), 642-663. 

  30. Hong, J. H., & Shim, E. J. (2013). Emotional clarity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defici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2(1), 195-212. 

  31. Hyun, J. W. (1992).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evaluative threat on the performance of task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Korea. 

  32. Ingram, R. E. (1990).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2), 156-176. 

  33. Izard, C., Fine, S., Schultz, D., Mostow, A., Ackerman, B., & Youngstrom, E. (2001). Emotion knowledge as a predictor of social behavior and academic competence in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Science, 12(1), 18-23. 

  34. Jensen, M. R. (1987). Psychological factors predicting the course of breast cancer. Journal of Personality, 55(2), 317-324. 

  35. Juon, H. S., Nam, J. J., & Ensminger, M. E. (1994). Epidemiology of suicidal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4), 663-676. 

  36. Kang, S. H., & Jung, E. J.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ygien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3(4), 405-424. 

  37. Kashdan, T. B., Barrett, L. F., & McKnight, P. E. (2015). Unpacking emotion differentiation: transforming unpleasant experience by perceiving distinctions in negativit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4(1), 10-16. doi: 10.1177/0963721414550708 

  38. Kim, M. K., & Hyun, M. H. (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elf-presentation expectanc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1), 161-176. 

  39. Kim, A., Cha, J., Kang, H., Lim, K. M., Jeon, H. A., Cho, H. R., Lim, J. Y., & Seok, H. E. (2012). Differenti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self-regulatory efficacy, and motivation in the high vs. low academic ability group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typ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2), 543-562. 

  40. Kim, E. J. (1993).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41. Kim, J. Y., Sung, S. M., & Jang, G. H.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o suicidal ideation: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51, 187-218. 

  42. King, A. M., Smith, D. A., & Neale, J. M.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66(5), 934-949. 

  43. Kopp, C. B. (1989).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43-354. doi:10.1037/0012-1649. 25.3.343 

  44. Kross, E., Ayduk, O., & Mischel, W. (2005). When asking ‘why' does not hurt: distinguishing rumination from reflective processing of negative emotions. Psychological Science, 16(9), 709-715. 

  45. Ladd, G. W., Buhs, E. S., & Seid, M. (2000). Children's initial sentiments about kindergarten: is school liking an antecedent of early classroom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Merrill-Palmer Quarterly (1982-), 255-279. 

  46. Larsen, R. J. (2000). Toward a science of mood regulation. Psychological Inquiry, 11(3), 129-141. 

  47. Lee, M. H., & Jung T. Y.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arning motivation scale. Studies on Korean Youth, 18(3), 295-321. 

  48. Lee, K. H., & Son, W. K. (2005).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s in children’s school maladjustment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4), 1578-171. 

  49. Lee, S. J., & Lee, H. K. (1997).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domain explo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1(1), 96-116. 

  50. Lee, H. W., & Lee, M. H. (2013). Impact of mood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xpressing emotion of college students on self-efficacy.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9(3), 181-200. 

  51. H. W., Yeum, D. M., & Lee, M. H. (2014). Impact of college students’ mood awarenes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0(2), 415-433. 

  52. Lewis, R., & Frydenberg, E. (2004). Adolescents least able to cope: how do they respond to their stresse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32(1), 25-37. 

  53. May, R. W., Bauer K. N., & Fincham, F. D. (2015). School burnout: diminished academic and cognitive performanc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126-131. 

  54. Mayer, J. D., & Stevens, A. A. (1994).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meta-) experience of m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8(3), 351-373. 

  55. McFarland, C., & Buehler, R. (1997). Negative affective states and the motivated retrieval of positive life events: the role of affect acknowledg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1), 200- 214. 

  56.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4), 569-582. 

  57. Northoff, G., Richter, A., Gessner, M., Schlagenhauf, F., Fell, J., Baumgart, F., Kaulisch, T., Kotter, R., Stephan, K. E., Leschinger, A., Hagner, T., Bargel, B., Witzel, T., Hinrich, H., Bogerts, B., Scheich, H., & Heinze, H. J. (2000). Functional dissociation between medial and lateral prefrontal cortical spatiotemporal activation in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a combined fMRI/MEG study. Cerebral Cortex, 10(1), 93-107. 

  58. Ong, B., & Cheong, K. C. (2009). Sources of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 the case of a credit transfer program. College Student Journal, 43(4), 1279. 

  59. Park, S. E. (2014).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in upper elementary school gra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0. Pennebaker, J. W. (1985). Traumatic experience and psychosomatic disease: exploring the roles of behavioral inhibition, obsession, and confiding. Canadian Psychology, 26(2), 82-95. 

  61. Riggio, R. E., & Friedman, H. S. (1982). The interrelationships of self-monitoring factor, personality trait, and nonverbal social skills.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7(1), 33-45. 

  62. Roseman, I. J., Spindel, M. S., & Jose, P. E. (1990). Appraisals of emotion-eliciting events: testing a theory of discrete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899-915. 

  63. Salmela-Aro, K., Kiuru, N., Leskinen, E., & Nurmi, J. E. (2009). School burnout inventory (SBI): reliability and validity.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5(1), 48-57. 

  64. Salmela-Aro, K., Kiuru, N., Pietikainen, M., & Jokela, J. (2008). Does school matter? The role of school context in adolescents' school-related burnout. European Psychologist, 13(1), 12-23. 

  65. Salmela-Aro, K., Savolainen, H., & Holopainen, L. (2009). Depressive symptoms and school burnout during adolescence: Evidence from two crosslagged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8(10), 1316-1327. 

  66. Schaufeli, W. B., Martinez, I. M., Pinto, M, A., Salanova, M., & Bakker, A. B.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5), 464-481. 

  67. Smith, T. W., & Greenberg, J. (1981). Depression and self-focused attention. Motivation and Emotion, 5, 323-331. 

  68. Sogang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 (2002). General survey of the Sogang university students, 2001.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3, 143-169. 

  69.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 (2008). General survey of freshmen in 2008, Research for student life, 31.(저자번역: 숙명여자 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08). 2008년도 신입생 실태조사분석. 학생생활연구, 31.) 

  70. Statistics Korea (2016).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 december 2015. Statistics Korea. 

  71. Swinkels, A., &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attention directed toward one's mood stat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9), 934-949. 

  72. Tugade, M. M., Fredrickson, B. L., & Feldman Barrett, L. (2004).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ositive emotional granularity: examining the benefits of positive emotions on coping and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72(6), 1161-1190. doi: 10.1111/j.1467- 6494.2004.00294.x 

  73. Webb, T. L., Miles, E., & Sheeran, P. (2012). Dealing with feeling: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derived from the process model of emotion regul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38(4), 775-808. doi:10.1037/a0027600. 

  74. Yang, H. (2004). Factors affecting student burnou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ple enrollment programs in Taiwan's technical-vocational colleg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24(3), 283-301. 

  75. Yusoff, M. S. B, Rahim, A. F. A., & Yaacob, M. J. (2010). Prevalence and sources of stress among Universiti Sains Malaysia medical students. Malaysia Journal of Medical Science, 17(1), 30-37. 

  76. Zhang, Y., Gan, Y., & Cham, H. (2007).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6), 1529-154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