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업 종사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Work Environment and Work Moral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 of Service Worker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0 no.2, 2017년, pp.103 - 116  

김진호 (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  이충원 (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2014)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근로환경 실태는 업무자세, 감정노동, 업무 자율성으로 구성되어졌으며, 근로사기와 관련된 심리적 차원은 업무에서 느끼는 유능감,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로 이루어졌다. 아울러 고용형태는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용직 근로자에 비해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들이 좀 더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상용직 근로자들의 감성노동에 대한 질적 피로도는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근무환경과 근로사기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가지는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으며, 좀 더 나은 서비스가 되기 위해 근로자들의 근로환경과 근무사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모색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actual condition of work environment and work morale according to the type of employment of service workers by using the raw data of the Fourth Work Environment Survey (2014) conducted by the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this study, the condition of work environmen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조사한 근로환경 실태항목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2014)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근로환경 실태는 업무자세, 감정노동, 업무 자율성으로 구성되어졌으며, 근로사기와 관련된 심리적 차원은 업무에서 느끼는 유능감,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로 이루어졌다. 아울러 고용형태는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사기와 관련된 심리적 차원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2014)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근로환경 실태는 업무자세, 감정노동, 업무 자율성으로 구성되어졌으며, 근로사기와 관련된 심리적 차원은 업무에서 느끼는 유능감,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로 이루어졌다. 아울러 고용형태는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서비스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아울러 고용형태는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용직 근로자에 비해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들이 좀 더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상용직 근로자들의 감성노동에 대한 질적 피로도는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근무환경과 근로사기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가지는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으며, 좀 더 나은 서비스가 되기 위해 근로자들의 근로환경과 근무사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모색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otheridge, C. M., & A. A. Grandey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2. Choi, B. K. (2013). Work Overload,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autonomy and career growth opportunity.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34(4), 145-170. 

  3. Choi, H. G., & Shim, W. G. (2013). 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on the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service delivery level in the local governments.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5(4), 59-78. 

  4. Dyne, L. V., & Ang, S., (199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contingent workers in Singapore.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1(6), 692-703. 

  5. Han, S. J., Lee, J. H., & Yoo, H. J. (2012). The effects of social identity on emotional labor: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the types of employment. Korean Journal of Business, 25(6), 2735-2759. 

  6. Hochschild, A. R.(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Psychologists Press. 

  7. Hwang, S. K., & Jeong, B. J. (2011). A study 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burnout and job autonomy on turnover intention in radiologic technolog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5(5), 267-275. 

  8. Jung, J. W., & Cho, Y. B. (2006). The effect of the physical culinary environment and work convenience, self-efficacy to job satisfaction of hotel culinary employees.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18(1), 27-45. 

  9. Kim, I. H., C. Muntaner, Y. H. Khang, D. Paek, & S. I. Cho.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tandard working and mental health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63(3), 566-574. 

  10. Kim, M. M., Park, K. E., & Kim, H. Y. (2012). A study of the effects of customers' complaint behaviors on the stresses of service industry workers depending on customer encounter channels: Focused on the sns channels and workers in emotional labor. The e-Business Studies, 13(3), 205-225. 

  11. Kim, I. H., & Cho, S. J. (2012).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 The Journal of Korea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32, 65-93. 

  12. Kim, W. B., Rhee K. Y. & Lee, G. (2012). Work environment and stress of emotional laborers. Korean Sociology, 46(2), 123-149. 

  13. KOSIS (2017).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The for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14).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4. Lee, C. H., & Huh, J. Y. (2006). Effects of rol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burnout of teacher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cus on kangwondo and kyungkido area.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40(4), 211-231. 

  15. Lee, M. S. (2005).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suicide of the old. Korean Academy of Clinical Social Work, 2(3), 191-212. 

  16. Na, H. J. (1999).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Korean nurses: Descriptive epidemiology. The korean Central Journal of Medicine, 64(1), 65-70. 

  17. Oh, I. S., Kim, K. H., Hwang, J. O., Yoo, T. Y., Park, Y. A., & Park, L. H. (2007).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ith Korean samples.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15(4), 43-86. 

  18. Park, B. G. (2008).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attitud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5(1), 69-85. 

  19. Park, M. H. (2016).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psychological burnout.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59(3), 110-129. 

  20. Yang, Y. S., & Kang, Y. H. (2013). Cu new nurse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25(2), 47-58. 

  21. Yeo, D. J., Lee, J. H., Yeong, S. Y., Lee, E. S., Kim, J. I., Kim, S. E., & Kim, D. J. (2015).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related to work in hospital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3(4), 197-204. 

  22. Yun, K. S. (2015).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Japan on industrial structures and linkages in the service industry. Asia Studies, 18(3), 105-1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