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 5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ers in the Shift Work Service: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1, 2021년, pp.178 - 187  

김현아 (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과) ,  임소희 (경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5차 근로 환경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총 577명으로 20세 이상의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 중 조사 당시 근무 직장의 경력이 1년 이상이며, 주 40시간이상 근로를 하는 상용근로자만 선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SPSS 23.0 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 교육정도, 산업업종,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의 일과 생활 균형과 근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의 일과 생활균형, 근무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생활만족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적 지지와 근무만족, 일과 생활균형 증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하여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의 생활만족도을 향상시켜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for shift service workers and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ing the raw data from the Fifth Korean Work Environment Survey. Five hundred and seventy-seven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0-ye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표본 자료인 근로환경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의 생활 만족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여 근로자들의 삶의 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7년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의 생활만족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근로자들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책마련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생활 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근로환경조사의 원시자료를 토대로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48항목, 감정 매뉴얼의 유무 1항목, 건강관련 2항목, 근무만족도 6문항, 사회적 지지 15문항, 일과 생활 균형 5문항, 생활만족도 5문항에 관한 구조화된 문항의 자료이다. 각 문항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E. E. Yim, B. J. Koo, S. S. Lim,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networking on life satisfaction on the rural elderly people: Focusing on mediator effect of self-esteem", Social Science Studies, Vol.25, No.2, pp.567-590, 2014. 

  2. OECD OECD Better Life Index. 2018, [cited 2018], Available From: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topics/life-satisfaction/ 

  3. E. E. Davis, M. Fine-Davis, "Social indicators of living conditions in Ireland with European comparison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25, No.2, pp.103-165, 1991. 

  4. H. J. Jeon, J. S. Lee, "Effects of work family conflict of married female workers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problem drinking and depressio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50, pp.135-159, 2016. DOI: http://dx.doi.org/10.17997/SWRY.50.1.6 

  5. C. U. Heo,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conditions and leisure utiliza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wage workers",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Vol.14, No.3, pp.69-87, 2018. DOI: http://dx.doi.org/10.35173/NATR.14.3.4 

  6. S. A. Lee,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pp.10-50, 2008. 

  7. F. Andrews, S. Withey,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n's Perception of Life Quality", Plenum Press, pp.309-334, 1976. 

  8. A. Campbell, P. E. Converse, W. L. Rodgers,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ssell Sage Foundation, pp.287-318, 1976. 

  9. R. W. Rice, D. B. McFarlin, R. G. Hunt, J. P. Near, "Organizational work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pp.296-310, 1985. DOI: http://dx.doi.org/10.5465/amr.1985.4278215 

  10. C. K. Malecki, M. K. Demary, "Measuring perceived social support: Development of the child and adolescent social support scale (CASSS)",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39, No.1, pp.1-18, 2002. DOI: http://dx.doi.org/10.1002/pits.10004 

  11. Y. A. Kim, M. K. Kim, "Research on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ether individuals ar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ccident typ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7, No.6, pp.351-361, 2017. 

  12. B. Y. Yoon, C. K. Kim, "Social support, self actualization and quality of social life among beauty parlor worker",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3, No.3, pp.295-305, 2002. 

  13. Y. H. Choi, K. M. Lee, "Effect of resort employees'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exhaustion :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Vol.27, No.5, pp.541-563, 2012. 

  14. S. E. Kim, S. W. Hwang,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job stress among the shift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 Focused on the perceptions of Korean customs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Vol.32, No.1, pp.23-43, 2018. 

  15. D. W. Oh, "The Effect of Fire Officials' Shift Work and Job Stress on Fatigue", master's thesis, Kyonggi, Korea, Ajou University, pp.25-50, 2010. 

  16. E. K. Kim, C. K. Yang, J. G. Kim, Y. S. Hong, J. M. Kim, K. Y. Jung, J. Y. Kim, D. Y. Yun, C. H. Cha,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14, No.3, pp.247-256, 2002. 

  17. D. G. Nam, Y. J. Shin, J. T.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hift pattern for field employees in Busan container terminal",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26, No.1, pp.144-171, 2010. 

  18. S. H. Song, "A study on the improving job satisfaction of the shift-worker in the public sector: Focused on the shift workers working a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27, No.2, pp.455-482, 2015. 

  19. T. K. Kim, J. E. Lee, "The effect of work and life balance on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Vol.14, No.4, pp.193-215, 2018. DOI: http://dx.doi.org/10.35173/NATR.14.4.10 

  20. E. K. Kim, "Effect of Social Support of Married Women Social Workers on the Study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Chenan, Korea, Baekseok University, pp.3-40, 2013. 

  21. J. C. Park, D. H. Ahn, "The impact of the social support on hotel employee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Vol.23, No.1, pp.197-215, 2011. 

  22. H. J. Lee, "The Effect of Married Women Worker's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Family-Environmental,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Sungkyunkwan University, pp.23-47, 2020. 

  23. Y. Y. Lee, H. S. Ya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job commitment and job stres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work and life balance", Korea Logistics Review, Vol.22, No.2, pp.295-321, 2012. 

  24. H. M. Oh, S. M. Park, "Exploring the effects of work life balance policies on job and life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a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Korea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26, No.4, pp.901-930, 2014. 

  25. Y. J. Jung, J. G. Yoon, S. E. Kim,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ciprocal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Korea Management Review, Vol.45, No.5, pp.1471-1499, 2016. DOI: http://dx.doi.org/10.17287/kmr.2016.45.5.1471 

  26. I. S. Wong, S. Popkin, S. Folkard, "Working time society consensus statements: A multi-level approach to managing occupational sleep-related fatigue", Industrial Health, Vol.57, No.2, pp.228-244, 2019. DOI: http://dx.doi.org/10.2486/indhealth.SW-6 

  27. S. H. Moon, "How corporate welfare policy affects work and family-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rking women: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8, No.1, pp.119-141, 2013. 

  28. S. J. Kim,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beauty treatment education and the employment barrier of reemployment women",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Vol.9, No.1, pp.79-89, 2015. 

  29. J. S. Kwon, J. S. Lee,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6, No.4, pp.507-534, 2015. 

  30. S. M. Kim, "The Influence of Shift Work System in Hospital Workplace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Female Medical Worke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Korea University, pp.1-70, 2010. 

  31. H. J. Gwak, "Effects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on paid workers' life satisfaction : The double-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on",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Vol.21, No.1, pp.117-151, 2018. DOI: http://dx.doi.org/10.36907/krivet.2018.21.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