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 프로젝트 정성·정량평가 비교 분석을 통한 성과평가 발전방향 연구 : K연구원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a Qualitative and a Quantitative Approach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D Projects: A Case Study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0 no.2, 2017년, pp.271 - 291  

이수철 (목포대학교 경영학과) ,  고미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책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하나인 K 연구원 사례를 활용하여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정성평가 결과와 정량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 체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비교 분석을 위해 정성평가 결과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규정에 따라 진행된 실제 평가결과를, 정량평가 결과는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산출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결과를 활용하였다. 비모수 상관관계 분석(Kendall's ${\tau}$)을 비롯한 다양한 분석 결과, 정성평가와 정량평가 결과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단순 정성 또는 정량평가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평가하기보다 정성 및 정량평가가 상호보완적으로 진행된다면, 평가 시 각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객관성도 보다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easures and compares the perform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grams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in term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o find out strategic insights for improving performance evaluation policy. In particular, we adopt the ev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출연(연)을 대상으로 DEA 방법론을 적용한 정량적 성과 평가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실제 적용되고 있는 전문가 평가 기반의 정성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 연구원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정성평가 결과와 DEA를 활용한 정량평가 결과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출연(연) 연구개발 사업 평가체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출연(연)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 평가체계에 대한 개선점을 찾기 위해 정성 평가 결과와 정량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K연구원에서 2015년에 수행된 실제 성과평가 사례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정성평가 결과와 정량평가 결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평가체계를 거쳐, 각 출연(연)들은 평가 결과를 기관의 중장기발전계획 및 사업계획 수립, 과제기획 및 선정, 연구비 배분 및 사용, 연구과제 및 연구원 개인평가 등에 반영·활용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연구회에 보고하게 된다.
  • Kendall’s τ 상관분석은 서열척도로 측정된 변수 간 관계측정이 가능한 방법론으로 다른 상관계수 분석법과 같이 -1에서 1 사이의 값으로 도출되며, 각각의 순위에 대한 음의 상관관계, 양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비교분석 결과에 대해 검토 후 관련 시사점 및 연구개발 과제 평가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전문가 기반 정성평가는 평가자의 전문성이 중요한 요소인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에 가장 적합한 방법임에는 분명하지만, 여기에 정량평가의 장점 일부가 보완된다면 보다 나은 평가체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성평가 결과와 정량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 체계의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사례(K연구원)를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정성평가 결과와 정량평가 결과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출연(연)에 대한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투자 대비 성과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K연구원을 대상으로 2015년 기준 연구개발 과제 연차평가 결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K연구원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출연(연)으로 국가 과학기술 정보 분야의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국가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기술의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인 이유는? 기술의 진보가 곧 경제성장이라는 공식이 입증되면서 과학기술의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국들은 기술혁신 및 과학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1990년대 이후 연구개발투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현재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는 전문가 기반의 정성평가 체제로 주로 진행되고 있다. 전문가 기반 정성평가는 평가자의 전문성이 중요한 요소인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에 가장 적합한 방법임에는 분명하지만, 여기에 정량평가의 장점 일부가 보완된다면 보다 나은 평가체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 제도를 도입한 이유는? 25%로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김선경 외, 2016). 이와 같은 현실을 감안했을 때 국가차원에서의 연구개발성과 관리가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연구개발 투자 증대에 따라 정부의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성과 창출 등 효과성 제고에 대한 국민적 요구와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에서는 연구개발 투입 대비 효과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고용수.한웅용.정상기.류영수.김수연.신재호 (2016), 정부연구개발 성과평가의 새로운 접근방법론 탐색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 곽기호.오승훈.김재윤 (2010), "DEA-AR 을 활용한 산업기술연구회 소속 정부출연(연)의 R&D 효율성 분석과 평가 방안 제언", 한국기술혁신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 권철신.박준호.홍석기 (2004), "상호영향형 R&D 과제군의 평가선정을 위한 CIDEAR 모형의 개발", 한국경영과학회지, 29(3): 41-61. 

  4. 김선경.이길우.안혜린.방은진 (2016), 2015년 국가 R&D성과 Scoreboard,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5. 김성수 (2000), "한국 과학기술 정책과정의 조정과 통합: 체제이론에 의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9(2): 211-236. 

  6. 김주경.김영공.강제상 (2014), "정부 R&D 사업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 대응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회보, 18(4): 229-256. 

  7. 김현민.유재욱.유종순 (2013), "정부R&D과제 협력요소들과 연구개발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구원 수와 연구개발단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6(3): 695-718. 

  8. 남인석.송윤영.정병호 (2008), "DEA모형을 이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31(1): 1-10. 

  9. 오세홍 (2001), 국가연구개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기법.제도의 선진화 방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 유홍림.박성준 (2007), "중소기업 R&D 지원정책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산학연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9(1): 171-196. 

  11. 이수철.이동호 (2016), "Cumulative DEA/Malmquist Index 기법을 이용한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개발 효율성 변화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41(1): 99-112. 

  12. 이정원 (2000), R&D 평가시스템의 이론적 체계 구축 및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3. 임길환 (2015), 국가R&D 정책 평가: 지원체계 및 운용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14. 임호순.유석천.김연성 (1999),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및 선정을 위한 DEA/AHP 통합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24(4): 1-12. 

  15. 장금영 (2010), "연구개발투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의 산업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18(1): 75-98. 

  16. Andersen, P. and Petersen, N. C. (1993), "A Procedure for Ranking Efficient Unit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9(10): 1261-1264. 

  17. Banker, R. D., Charnes, A. and Cooper, W. 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1092. 

  18. Boussofiane, A., Dyson, R. G. and Thanassoulis, E. (1991), "Applied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52(1): 1-15. 

  19. Bound, J., Cumins, C., Griliches, Z., Hall, H.H. and Jaffe, A. (1984), R&D, Patent, and Productiv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0. Bowlin, W. F. (1998), "Measuring Performance: An Introduction to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Journal of Cost A nalysis, 15(2): 3-27. 

  21. Charnes, A., Cooper, W. W. and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22. Chen, C. T., Chien, C. F., Lin, M. H. and Wang, J. T. (2004), "Using DEA to Evaluate R&D Performance of the Computers and Peripherals Firms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9(4): 347-359. 

  23. Cullmann, A., Schmidt-Ehmcke, J. and Zloczysti, P. (2011), "R&D Efficiency and Barriers to Entry: A Two Stage Semi-parametric DEA Approach", Oxford Economic Papers, 64(1): 176-196. 

  24. Dyson, R. G., Allen, R., Camanho, A. S., Podinovski, V. V., Sarrico, C. S. and Shale, E. A. (2001), "Pitfalls and Protocols in DEA",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32(2): 245-259. 

  25. Eilat, H., Golany, B. and Shtub, A. (2008), "R&D Project Evaluation: An Integrated DEA and Balanced Scorecard Approach", Omega, 36(5): 895-912. 

  26. Georghiou, L. (1999), "Socio-economic Effects of Collaborative R&D-European Experiences",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4(1): 69-79. 

  27. Golany, B. and Roll, Y. (1989), "An Application Procedure for DEA", Omega, 17(3): 237-250. 

  28. Gold, B. (1989), "Some Key Problems in Evaluating R&D Performance",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6(1): 59-70. 

  29. Graves, S. B. and Langowitz, N. S. (1996), "R&D Productivity: A Global Multi-industry Comparison", Technology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53(2): 125-137. 

  30. Hashimoto, A. and Haneda, S. (2008), "Measuring the Change in R&D Efficiency of the Japanes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Policy, 37(10): 1829-1836. 

  31. Hsu, F. M. and Hsueh, C. C. (2009), "Measuring Relative Efficiency of Government-sponsored R&D Projects: A Three-stage Approach",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32(2): 178-186. 

  32. Lee, H., Park, Y. and Choi, H. (2009), "Comparative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with Heterogeneous Objectives: A DEA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96(3): 847-855. 

  33. Lee, H. Y. and Park, Y. T. (2005),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R&D Efficiency: DEA Approach",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13(2): 207-222. 

  34. Liu, J. S. and Lu, W. M. (2010), "DEA and Ranking with the Network-based Approach: A Case of R&D Performance", Omega, 38(6): 453-464. 

  35. Meng, W., Zhang, D., Qi, L. and Liu, W. (2008), "Two-level DEA Approaches in Research Evaluation", Omega, 36(6): 950-957. 

  36.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McGraw-Hill International Book Co., New York, NY. 

  37. Scherer, F. M. (1983), "The Propensity to Pat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1(1): 107-128. 

  38. Shang, J. and Sueyoshi, T. (1995), "A Unified Framework for the Selection of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85(2): 297-315. 

  39. Takamura, Y. and Tone, K. (2003), "A Comparative Site Evaluation Study for Relocating Japanese Government Agencies out of Tokyo",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37(2): 85-102. 

  40. Thomas, V. J., Sharma, S. and Jain, S. K. (2011), "Using Patents and Publications to Assess R&D Efficiency in the States of the USA", World Patent Information, 33(1): 4-10. 

  41. Thomas, V. J., Jain, S. K. and Sharma S. (2009), "Analyzing R&D Efficiency in Asia and the OECD: An Application of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Science and Innovation Policy, 2009 Atlanta Conference on. IEEE. 

  42. Thompson, R. G., Singleton, F. D., Thrall, R. M. and Smith, B. A. (1986), "Comparative Site Evaluations for Locating a High-energy Physics lab in Texas", Interfaces, 16(6): 35-49. 

  43. Wang, E. C. and Huang, W. (2007), "Relative Efficiency of R&D Activities: A Crosscountry Study Accounting fo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DEA Approach", Research Policy, 36(2): 260-273. 

  44. Werner, B. M. and Souder, W. E. (1997), "Measuring R&D Performance - State of the Art",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40(2): 34-42. 

  45. Zhong, W., Yuan, W., Li, S. X. and Huang Z. (2011),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gional R&D Investments in China: An Application of DEA Based on the First Official China Economic Census Data", Omega, 39(4): 447-4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