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신화적 공간에 나타나는 대립과 공존 의 미학
Hayao Miyazaki's Animation Storytelling: Aesthetics of Confrontation and Coexistence Represented in the Mythical Space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8 no.4, 2017년, pp.649 - 657  

오동일 (선문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초록

미야자키 하야오는 고유의 미학적 표현 형식을 통해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범문화적인 신화적 공간을 구현함으로써 문화와 언어의 장벽을 뛰어넘는 즐거움을 제공한다. 그의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에는 일본 고유의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유무형의 다양한 기호적 요소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호들을 통해 함축적 의미작용의 체계를 구성함으로써 관객에게 자의적 해석과 고찰의 미학적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다. 그와 같은 과정 속에서 대립과 공존이라는 보편적 경험 기반의 미학적 형식을 통해 작품 속 함축적 의미의 신화적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시키는 의미체계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하야오가 추구하는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의 소통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yao Miyazaki provides pleasure which go beyond the barrier of culture and language through realizing pan-cultural and mythical space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unique, aesthetic expression. In his animation storytelling, diverse tangible and intangible symbolic elements b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방법론적으로 각 애니메이션 요소들이 ‘대립’과 ‘공존’의 미학을 위해 어떠한 의미작용적인 역할을 하는 지를 요소 간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을 ‘대립’과 ‘공존’의 미학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범문화적 소통체계를 형성하는 미학적 형식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나 <센과 치히로오의 행방불명>에서는 주로 강의 신(神) 등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무형의 존재들을 물리적으로 의인화하는 차별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이미 언급하였듯이 신도의 영향을 받은 일본 고유의 전통문화를 토대로 하는 것이다.
  • 그리고 본 연구는 의 그와 같은 신화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신화적 메시지의 함축적 의미작용과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미학적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연구의 범위와 깊이가 보다 확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이 주로 미시적 관점에서 하야오 작품의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에 나타나는 부분적인 미학적 요소들에 대해 접근한 것이라면, 본 연구는 거시적 관점에서 작품 전체를 하나의 매개소통공간(space of mediated communication)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 또한, 캐릭터의 형태와 움직임, 기질적 특징 등을 성격 유형에 따라 확장하여 분류하고, 스토리 전개에 따른 다른 캐릭터들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끝으로 함축적인 의미 전달 수단으로서의 애니메이션 표현 양식에 관한 연구다. 이 경우는 위에서 언급한 선행 연구의 대상과 내용이 애니메이션 기법의 차원으로 확장되고 연계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 또한, 본 연구의 실증적 가치를 확보하기 위해 방법론적으로 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여기서 매개소통공간에서의 영상서사는 저자에 의해 사전에 구성되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이 자신의 선지식과 경험 등을 토대로 애니메이션 텍스트(text)와 상호작용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 시각은 서사전달의 주체를 실제 저자와 실제 관객으로 보는 영상서사와 관련된 데이비드 보드웰(David Bordwell)의 관점을 공유하는 것이다.
  • 첫 번째, ‘환경주의’, ‘애니미즘’, ‘반전사상’ 등과 같이 주로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와 사상에 관한 분석적 연구다.
  •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하야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고유의 소통 구조를 구체화하기 위해 ‘신화적 공간’이라는 주요 키워드를 적용시켜 접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니메이션이 영상을 설계하고 통제할 수 있는 힘을 보다 강하게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애니메이션은 영상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각 프레임별로 기획하고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사영화와 비교해 볼 때 영상을 설계하고 통제할 수 있는 힘을 보다 강하게 갖는다[1]. 이와 같은 장르적 특성은 애니메이션이 표현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으며, 이면적으로는 이데올로기적 자유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사실과 연결된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도입부 장면은 무엇을 암시하는가? 그리고 엄마는 “어머, 저번 생일에도 장미꽃 받았잖아”라고 치히로에게 대답하면서, 지금의 상황도 그저 스쳐지나가는 통과의례의 하나처럼 가볍게 넘겨버린다. 그러나 이 장면은 단순한 일상적 대화가 아니라 치히로 가족 앞에 벌어질 새로운 모험을 암시하고 있다.
하야오 감독의 주요 장편 애니메이션은 무엇을 근간으로 하고있는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2001)>, <이웃집 토토로(My Neighbor Totoro, 1988)> 등과 같은 하야오 감독의 주요 장편 애니메이션은 애니미즘 (animism)의 특징이 강하게 나타나는 신도(神道)라는 일본 고유의 전통 문화를 근간으로 제작되었다[3]. 그러므로 문화적 동질성을 토대로 결정될 수 있는 ‘문화적 할인(cultural discount)’ 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 그의 작품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가치와 관객과의 소통적 범위는 타문화권의 관객들에게는 감소되고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 Sifianos, "The Definition of Animation: A Letter from Norman McLaren," Animation Journal, Vol. 3, No. 2, pp. 63-66, Spring 1995. 

  2. R. Barthes, Mythologies, Translated by A. Lavers, New York: Hill and Wang, 1972. 

  3. A. Levi, Samurai from Outer Space: Understanding Japanese Animation, Chicago: Open Court, 1996. 

  4. D. Bordwell, Narration in the Fiction Film, London: Routledge, 1985. 

  5. S.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6. R. Barthes, Mythologies, Translated by A. Lavers, New York: Hill and Wang, 1972. 

  7. F. Saussure, General Linguistics, translated by W. Baskin,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 1959. 

  8. R. Barthes, Mythologies, Translated by A. Lavers, New York: Hill and Wang, 1972. 

  9. D. I. Oh, "A Research on Gender Discourse of Animation Character: Focused on Female Characters of Disney Animation Froze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5, No. 5, p. 616, 2014. 

  10. D. I. Oh, H. R. Choi, "The Tendency of Denotative Re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in Disney Anim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1, pp. 577-578, 2014. 

  11. D. I. Oh, "Analysis on the Global Success Factors of Animation Lava: With a Focus on Nonverbal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scount,"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Vol. 12, No. 2, p. 149, 2016. 

  12. R. Barthes, Mythologies, Translated by A. Lavers, New York: Hill and Wang, 1972. 

  13. M. Heck, The Ideological Dimension of Media Messages, Birmingham: Centre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at University of Birmingham, 1974. 

  14. D. I. Oh, "The Tendency of Denotative Re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in Disney Anim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1, pp. 578-579, 2014. 

  15. A. V. Gennep, The Rites of Passag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0. 

  16. H. K. Cho, "Rereading Shin Kyung-sook's Novel 'Please Look After Mom' - from the Perspective of Rites of Passage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Vol. 52, pp. 514-515, 2016. 

  17. D. C. You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emiotics on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by Hayao Miyazaki - Focusing on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Chihiro' by Jacques Lacan's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Vol. 10, No. 1, pp. 114-115, 2014. 

  18. V. Turner, From Ritual to Theatre, Translated by K. W. Lee, I. D. Kim, Seoul: A. Lavers, New York: Hyundai-meehak Publishing, 1996, pp. 77-78. 

  19. R. Barthes, Mythologies, Translated by A. Lavers, New York: Hill and Wang, 19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