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세동 유형에 따른 제세동 효율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efibrill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Defibrillation Typ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579 - 588  

이현지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황정현 (경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급 응급구조사들을 대상으로 제세동 유형에 따른 제세동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여 가슴압박 중단시간, 제세동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여 제세동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 2일부터 8월 31일까지 K도에 소재하고 있는 소방서 구급대원 중 1급 응급구조사 15명을 대상으로 단일군의 교육 전 후 설계 실험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Win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교육 후 심폐소생술 과정 중 가슴압박 중단시간은 반자동제세동기의 수동패들과 수동패드를 사용했을 때 유의미하게 시간이 감소하였다. 둘째, 제세동 수행시간은 반자동제세동기의 수동패들과 수동패드를 사용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시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1급 응급구조사의 반자동 제세동기의 수동모드를 이용한 신속한 심전도 판독 및 제세동을 통해 환자 소생률을 높이며 응급구조사 업무확대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fibrill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efibrillator type among paramedic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est compression pause time and defibrillation efficiency after providing simulation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 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구급대원으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마네킹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반자동 제세동기의 수동모드와 자동모드 제세동의 가슴압박 중단시간, 제세동의 적용시간에 대한 비교 및 제세동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구급대원 중 1급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심정지 상황에서 제세동 유형에 따른 가슴압박 중단시간, 제세동 수행시간에 대해 교육 전∙후 차이를 비교하는 단일그룹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시뮬레이션 교육 후 가슴압박 중단시간은 반자동제세동기의 수동패들과 수동패드를 사용했을 때 유의미하게 시간이 감소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 전 현장에서 구급대원으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제세동 유형에 따라 심정지 환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슴압박 중단시간 및 심전도 판독여부에 따라 제세동 적용시간을 비교하여 1급 응급구조사의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 적용을 통해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제세동 유형에 따른 1급 응급구조사의 가슴압박 중단시간, 제세동 수행시간 등 교육 전∙후 시간의 차이 및 제세동 유형에 따른 차이와 1급 응급구조사의 심전도 판독 및 수동제세동의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 또한 그중에서도 수동패드를 사용하였을 때 시간이 가장 단축되었다. 이는 1급 응급구조사들의 반자동 제세동기를 이용한 심전도 판독 및 수동모드 제세동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1급 응급구조사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서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여 응급현장의 응급의료의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을 3인 1조 교육을 실시하였고, 주강사와 보조강사 각각 1명씩 소규모의 팀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이는 구급차에 탑승 가능한 구급대원의 인원을 3명으로 할 때를 가정하였고, 실제 교육도 한 팀씩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는 119 구급대원의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응급처치 실태 연구에서 구급차 내운전자를 제외한 1인이 모든 처치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구급인원을 보강해야한다고 한 연구와 유사하였고[18], 국내의 병원 전 현장에 출동하는 구급대의 경우는 구급대원의 수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전문심폐소생술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한 연구[19]는 본 연구에 있어서 3인 1조로 팀을 나눈 증거와 유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장 질환 중 심정지 환자의 소생율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인가? 6%를 보인다[1]. 심장 질환 중 심정지 환자는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이 환자의 소생율을 높인다. 심정지 환자의 심장리듬이 제세동 가능 리듬인 경우 유일한 치료인 제세동이 지연될수록 생존율이 1분에 10%씩 감소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제세동 치료가 필요하다[2].
본 논문에서 수행한, 제세동 유형에 따른 제세동 효율성을 비교한 실험의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교육 후 심폐소생술 과정 중 가슴압박 중단시간은 반자동제세동기의 수동패들과 수동패드를 사용했을 때 유의미하게 시간이 감소하였다. 둘째, 제세동 수행시간은 반자동제세동기의 수동패들과 수동패드를 사용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시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1급 응급구조사의 반자동 제세동기의 수동모드를 이용한 신속한 심전도 판독 및 제세동을 통해 환자 소생률을 높이며 응급구조사 업무확대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의 2015년 10대 사망 원인 중 심장 관련 질환의 통계치는 어떠한가? 국내의 2015년 10대 사망 원인 중 심장 관련 질환은 암 다음으로 2위이고, 이는 10년 전에 비해 41.6% 증가하였으며, 전년 대비 6.1% 증가한 55.6%를 보인다[1]. 심장 질환 중 심정지 환자는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이 환자의 소생율을 높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use of death, Korea Statistical Office, kostat.go.kr, 2016. 

  2. Hinchey PR, Myers JB, Lewis R, De Maio VJ, Reyer E, Licatese D, Zalkin J, Snyder G. Improve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survival after the sequential implementation of 2005 AHA guidelines for compressions, ventilations, and induced hypothermia: the Wake County Experience.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 56, no. 4, pp. 348-357, 2010. DOI: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10.01.036 

  3. Woodall J, McCarthy M, Johnston T, Tippett V, Bonham R. Impact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skilled paramedics on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 a statewide emergency medical service. Emergency Medicine Journal, vol. 24, no. 2, pp. 134-138, 2007. DOI: https://doi.org/10.1136/emj.2005.033365 

  4. S. O. Hwang, K, S, Li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koonja publisher, pp. 249-250, 2016. 

  5. Pytte M, Pedersen TE, Ottem J, Rokvam AS, Sunde K. Comparison of hands-off time during CPR with manual and semi-automatic defibrillation in a manikin model. Resuscitation, vol. 73, no. 1, pp. 131-136, 2007. DOI: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6.08.025 

  6. Berg RA, Hilwig RW, Kern KB, Sanders AB, Xavier LC, Ewy GA.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ion for prolonged ventricular fibrillation: lethal delays of chest compression before and after countershock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2, pp. 458-467, 2003. DOI: https://doi.org/10.1067/S0196-0644(03)00525-0 

  7. Christenson J, Andrusiek D, Everson-Stewart S, Kudenchuk P, Hostler D, Powell J. Chest compression fraction determines survival in patients with out-of-hospital ventricular fibrillation. Circulation, vol. 120, no. 13, pp. 1241-1247, 2009. DOI: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9.852202 

  8. W.G. Tomkins, A.H. Swain, M. Bailey, P. D. Larsen, Beyond the pre-shock pause: the effect of prehospital defibrillation mode on CPR interruptions and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esuscitation, 84, pp. 575-579, 2013. 

  9. J. Y. Jang, C. B. Park, E. J. Lee, Y. J. Lee, S. D. Shin, K. J. Song. Diagnostic Tes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by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efore vs After an Electrocardiogram Education Program, vol. 21, no. 5, pp. 539-545, 2010. DOI: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2.12.018 

  10. R. Partridge, Q. Tan, A. Silver, M. Riley, F. Geheb, R. Raymond. Rhythm analysis and charging during chest compressions reduces compression pause time, Resuscitation, 90, pp. 133-137, 2015. DOI: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5.02.025 

  11. Sheldon Cheskes, Robert H. Schmicker, Jim Christenson, David D. Salcido, Tom Rea, Judy Powell, Dana P. Edelson, Rebecca Sell, Susanne May, James J. Menegazzi, Lois Van Ottingham, Michele Olsufka, Sarah Pennington, Jacob Simonini, Robert A. Berg, Ian Stiell, Ahamed Idris, Blair Bigham, Laurie Morrison. Perishock Pause:An Independent Predictor of Survival From Out-of-Hospital Shockable Cardiac Arrest. Circulation, 124, pp. 58-66, 2011. DOI: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10.010736 

  12. Sheldon Cheskes, Morgan Hillier, Adam Byers, P. Richard Verbeek, Ian R. Drennan, Cathy Zhan, Laurie J. Morrison. The association between manual mode defibrillation, pre-shock pause duration and appropriate shock delivery when employed by basic life support paramedics during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90, pp. 61-66, 2015. DOI: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5.02.022 

  13. B. H. Jeon. Comparison of automated and manual modes in multimodal defibrillator with manikin model-in aspect of interrupting chest compression, and accuracy of ECG rhythm analysis, Chung Ang University, 2014. 

  14. S. E. Park., D. M. Shin. The Changes of Defibrillation Time Depending on the Manual External Defibrillator Device. Journal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 16, no. 1, pp. 81-90, 2012. 

  15. Benedikte Mahl Halle, Henriette Ullerup-Aagaard, Lars Folkestad, and Mikkel Brabrand. Time and safety in defibrillation with paddles versus pads; a comparative study of two defibrillation regimes. Scand J Trauma Resusc Emerg, vol. 20, no. 2, pp. 50, 2010. 

  16. Richard M Heames, Daniel Sado, Charles D Deakin. Do doctors position defibrillation paddles correctly Observational study, vol. 322, no. 7299, pp. 1393-1394, 2001. 

  17. K. Y. Lee, S. W. Yun. Prehospital Care of 119 EMT for Non-traumatic Cardiac Arrest and Improvement to Increase Advanced Care Rat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5, no. 5, pp. 21-31, 2011. 

  18. C. H. Kim, G. W. Kim, W. C. Cha, B. R. Kang, H. H. Do, J. S. Seo. For how long can two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form high-qualit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vol. 43, no. 6, pp. 841-850, 2015. DOI: https://doi.org/10.1177/0300060515595648 

  19. S. H. Bang, J. H. Kim, G. Y. Kim, S. G. Roh, A Case Report of ROSC for Out-of 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ased on one Area Heart Sav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4, pp. 61-67, 2013. DOI: https://doi.org/10.7731/KIFSE.2013.27.4.61 

  20. H. R. Kim. Development and Effect of Team Based Simulation Learning Program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hosun University, 2012. 

  21. I. H. Song. Developments and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for Hyperglycemia Patient Emergency Nursing Care, Sahmyook University, 2015. 

  22. D. A. Pearson, R. Darrell Nelson, Lisa Monk, Clark Tyson, James G. Jollis, Christopher B. Granger, Claire Corbett, Lee Garvey, Michael S. Runyon. Comparison of Team-Focused CPR vs Standard CPR in Resuscitation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Results from a Statewide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Resuscitation, 105, pp. 165-172, 2016. DOI: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6.04.008 

  23. T. Y. Moon, The Effects of Trauma-patient Training Education Using Simulation on Knowledge, Satisfaction and Problem-solving in Emergency medica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4, pp. 710-717,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4.7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