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진 방재정책 수립을 위한 건축물 내진보강 지원제도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 of Seismic Retrofitting Support System for Establishing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olic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611 - 617  

허진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철도시스템공학과) ,  김희규 ((주)모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구조기술연구소) ,  신민정 ((주)모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구조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수십년간 세계 각국에서 예측 불가능한 형태의 지진발생이 증가하여 중국 쓰촨대지진, 아이티지진, 동일본대지진 등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비교적 지진에 안전한 것으로 인식되어 온 국내에서도 규모 5.0이상의 지진이 수차례 발생함에 따라 지진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발생한 지진 및 피해사례로부터 전문가들은 건축물의 내진성능 확보가 가장 효과적인 피해저감 대책으로 지목하고 있고, 이에 따라 미국, 일본 등 선진각국에서는 내진보강 지원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국외에서 실시중인 대표적인 내진보강 지원제도는 정부의 비용보조, 세제혜택, 보험료 할인 등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에서는 2013년부터 내진보강 지원제도 중 하나인 세제혜택을 실시하고 있지만 민간건축물 소유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본 논문은 국내외 건축물 내진보강 지원제도를 검토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민간건축물 소유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민간건축물의 내진보강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을 위하여 정부차원의 지원금 조성, 조세경감과 보험료 인하, 홍보 및 교육을 통한 국민의식 제고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decades, unpredictable earthquakes around the world have caused massive damage. The incidence of earthquakes in Korea that are larger than M5.0 has increased the social demand for earthquake policies. As the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s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effective damag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비내진건축물의 내진성능 확보를 유도하기 위하여 내진보강 활성화를 통한 지진피해경감 방안의 하나로써 본 연구에서는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정책의 입안과 소유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방법으로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아직까지 국내 지진 피해규모가 크지 않은 점, 지원비용의 기금마련 방법이 부재한 점 등에 대한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진보강의 법적 근거 마련과 비용지원이라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시발점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고 판단한다.
  • 5%)의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방법은 지방세 감면과 일부 보험료 할인 등 소극적 정책으로 건물 소유주의 적극적인 투자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비내진건축물의 내진성능 확보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 및 지원제도의 강화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물의 내진성능 확보현황을 검토하고 해외 정책 및 지원제도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건축물의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내진보강 정책 및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많은 국가에서 지진에 대한 대비를 하게된 사건은? 1960년 칠레를 강타한 규모 9.5지진 이래로 많은 국가에서 지진에 대한 대비를 반세기 이상 지속해왔다. 대부분 지진 관련 기술의 개발은 지진다발지역에 속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그로 인하여 1990년 이후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90여만명 중 절반가량이 지진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경제적 빈국에서 발생하 였다.
기존 건축 물의 내진보강을 통해 지진 대비가 가능한데, 내진보강이 더딘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Robards (2001)는 지진재해 경감을 위하여 법령, 구조물의 내진성능, 금융 및 보험 등을 포함한 지방정부의 의사결정 모델을 제안하였다.[1] 그러나 내진보강 소요비용과 관련한 민간건축물 소유자의 부담으로 인하여 민간건축물의 내진보강은 전세계적으로 매우 더디게 진행되었으며, 이는 2011년 크라이스트처 치지진과 같이 예상을 초과하는 피해의 원인이 되었다. Zorn et al.
지진 관련 기술 개발은 어디를 중심으로 발전했는가 5지진 이래로 많은 국가에서 지진에 대한 대비를 반세기 이상 지속해왔다. 대부분 지진 관련 기술의 개발은 지진다발지역에 속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그로 인하여 1990년 이후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90여만명 중 절반가량이 지진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경제적 빈국에서 발생하 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6,000여명, 재산피해 14조엔의 1995년 한신아와지대지진과 사망자 20,000여명, 재산피해 19조엔의 2011년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하 였으며, 내륙에서 발생하여 88,0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2008년 중국 쓰촨대지진 등 예측 불가능한 형태의 지진과 경제적 논리에 의해 제한된 예상규모의 지진을 상회하는 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 J. Robards, "Earthquake Mitigation Decision Making in Local Government: An Application of System Dynamics Modeling", Ph. D. dissertation, Washington University, St. Louis, Missouri, USA, 2001. 

  2. T. E. Zorn, S. Wilkinson, R. Potangaroa, J. Ingham, "Challenges to successful seismic retrofit implementation: a socio-behavioural perspective",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vol. 39 no. 3, pp. 286-300, 2011. DOI: https://doi.org/10.1080/09613218.2011.552264 

  3. T. E. Zorn, S. Wilkinson, J. Ingham, "Economic impediments to successful seismic retrofitting decisions", Structural Survey, vol. 32 no. 5, pp. 449-466, 2014. DOI: https://doi.org/10.1108/SS-01-2014-0002 

  4. F. J. Ying, S. Wilkinson, J. Corner, "Challenges to Seismic Rehabilitation Decision Process in New Zealand: A Focus of Decision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trategic Property Management, vol. 20 no. 3, pp. 305-315, 2016. DOI: https://doi.org/10.3846/1648715X.2016.1190419 

  5. K. SATO, Statistical Analysis for Anti-seismic Reinforcement of Japanese Housing,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2011.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0630_ Seismic Design Status by Structure/Application/Floor Number, Korea, 2016.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Building Status, 2016.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Existing Facilities(Buildings)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Know-how 

  9. FEMA, FEMA-254: Seismic Retrofit Incentive Programs -A Handbook for Local Governments-, 1994. 

  10. Portland Bureau of Emergency Management, Unreinforced Masonry(URM) Seismic Retrofit Project: Seismic Retrofit Support Committee Report 2015, 2015.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of Japan, Current Status and Issues Concerning Earthquake Resistance of Houses and Buildings, 1st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romotion Meeting of Houses and Buildings, 2005.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of Japan,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Earthquake Resistance of Houses and Buildings, 2nd Building Standard committee, 2012.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of Japan, Policy Review of 2011: Promoting Earthquake Resistance of Houses And Buildings,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