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라벤더 7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세포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유라디칼(1,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 활성($FSC_{50}$)은 라벤더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에서 각각 46.6, 45.5 및 $477.5{\mu}g/mL$를 나타냈다. $Fe^{3+}-EDTA/H_2O_2$계에서의 총항산화능($OSC_{50}$)은 라벤더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분획에서 각각 8.1, 3.3 및 $17.6{\mu}g/mL$이었으며, L-ascorbic acid의 $OSC_{50}$ ($1.5{\mu}g/mL$)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 광용혈 실험에서 아글리콘 분획은 매우 큰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냈다. $50{\mu}M$ 농도에서 라벤더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의 세포보호효과(${\tau}_{50}$)가 70.6, 87.2 및 165.2 min으로 나타났다. 특히, 라벤더 아글리콘 분획은(+)-${\alpha}$-tocopherol 보다 3.8배 높은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TLC 및 LC-MS를 이용하여 라벤더 분획의 성분(luteolin 7-O-glucuronide, vitextin, rosmarinic acid, luteolin, apigenin)을 확인하였으며, 아글리콘 분획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비해 주요 플라보노이드(luteolin, apigenin)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라벤더가 화장품의 항산화 소재로써 응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lavender were evaluated. The scavenging activity ($FSC_{50}$) of free radical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was 46.6, 45.5 and $477.5{\mu}g/mL$ in the 70% 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활성산소는 세포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주기 때문에 세포가 아닌 화학 물질로만 형성된 in vitro 활성산소 발생 시스템은 항산화 활성 평가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활성산소가 직접적으로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계를 통해 라벤더 꽃 추출물 및 분획들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라벤더의 ROS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몇 가지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성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 방어망에는 어떤 물질들이 속하는가? 피부에는 이러한 과잉의 활성산소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항산화 방어망이 구축되어있다. 그 종류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레이즈(catalase) 및 글루타치온 퍼옥시데이즈(glutathione peroxidase/reductase)와 같은 효소적 항산화제 그리고 비타민 E (α-tocopherol), 비타민 C (L-ascorbic acid), 유비퀴놀(ubiquinol), 카로티노이드(carotinoid)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같은 비효소적 항산화 성분들이 존재하여 과잉으로 생성된 유해한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역할을 한다[11,12]. 하지만 자외선 등에 의한 노출로 과잉의 활성산소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항산화 방어망은 쉽게 붕괴될 수 있다.
라벤더는 무엇인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는 원산지가 지중해인 쌍떡잎식물 꿀풀과의 한 종류로, 일반적으로 서양 라벤더로 알려져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linalool, ladanein, apigenin, apigenin-7-O-β-glucoside, luteolin-7-O-β-glucoside 및 5,4'-dihydroxy flavonoid-7-O-β-pyranoglycuronate buthyl ester 등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5-18].
ROS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특히 자외선에 기인된 광노화는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한 피부에서의 광화학 및 광생물학적 반응의 결과로 나타난다[1-3]. ROS의 종류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과 히드록실 라디칼(⋅OH)과 같은 산소 중심의 라디칼종과 과산화수소(H2O2)나 싱글렛 옥시전(1O2)과 같은 비라디칼종들, 그리고 ROS와 생체 성분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과산화 라디칼(ROO⋅), 알콕실 라디칼(RO⋅) 및 하이드로과산화물(ROOH) 등이 있다. 이들 ROS는 생체대사과정 중에 세포 및 조직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V. Afonso, R. Champy, D. Mitrovic, P. I. Collin, and A. Lomri,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uperoxide dismutases : Role in joint diseases, Joint Bone Spine, 74(4), 324-329 (2007). 

  2. M. Yaar and B. A. Gilchrest, Photoage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5), 874-887 (2007). 

  3. S. N. Park, Effects o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on Reactive Oxygen Mediated Biochemical Reaction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89). 

  4. D. S. Lee, M. S. Lim, S. S. Kwan, S. Y.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ial analysis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Appl. Chem. Eng., 23, 93-99 (2012). 

  5. M. J. Davies, Reactive oxygen species, metalloproteinases, and plaque stability, Am. Heart J., 23, 2382-2383 (1998). 

  6. D. Bagchi, M. Bagchi, E. A. Hassoun, and S. J. Stohs, In vitro and in vivo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DNA damage and lactate dehydrogenase leakage by selected pesticides, Toxicology, 104(1-3), 129-140 (1995). 

  7. S. B. Berman and T. G. Hastings, Inhibition of glutamate transport in synaptosomes by dopamine oxid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J. Neurochem.., 69(3), 1185-1195 (1997). 

  8. S. N. Park,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I), J. Korean Ind. Eng. Chem., 14, 657-665 (2003). 

  9. J. Yamakoshi, F. Otsuka, A. Sano, S. Tokutake, M. Saito, M. Kikuchi, and Y. Kubota,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ment Cell Res., 16, 629-638 (2003). 

  10.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10-518 (2003). 

  11. S. A. Kyrtopoulos, N-nitroso compoud formation in human gastric juice, Cancer Surv., 8(2), 423-442 (1988). 

  12. R. S. Sohala and W. C. Orrb. The redox stress hypothesis of aging, Free Radic. Biol. Med., 52(3), 539-555 (2012). 

  13. R. Kahl and H. Kappus, Toxicology of the synthetic antioxidants BHA and BHT in comparison with the natural antioxidant vitamin E, Z. Lebensm. Unters. Forsch., 196, 329-338 (1993). 

  14. L. C. Magdalena and Y. A. Tak, Reactive oxygen species, cellular redox system, and apoptosis, Free Radic. Biol. Med., 48(6), 749-762 (2010). 

  15. I. Spiridon, S. Colceru, N. Anghel, C. A. Teaca, R. Bodirlau, and A. Armatu,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oregano (Origanum vulgare),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and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from Romania, Nat. Prod. Res., 25(17), 1657-1661 (2011). 

  16. Y. J. Ahn, B. R. Won, M. K. Kang, J. H. Kim, and S. N. Park,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Fermented Lavandula angustifolia Extracts, J. Soc. Cosmet. Sci. Korea, 35(2), 125-134 (2009). 

  17. S. C. Dudaa, L. Al. Marghitas, D. Dezmireana, M. Dudab, R. Margaoana, and O. Bobis, Changes in major bioactive compounds with antioxidant activity of Agastache foeniculum, Lavandula angustifolia, Melissa officinalis and Nepeta cataria: Effect of harvest time and plant species, Ind. Crops Prod., 77, 499-507 (2015). 

  18. M. G. Evandri, L. Battinelli, C. Daniele, S. Mastrangelo, P. Bolle, and G. Mazzanti, The antimutagenic activity of 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essential oil in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Food Chem. Toxicol., 43(9), 1381-1387 (2005). 

  19. V. Hajhashemi, A. Ghannadi, and B. Sharif,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properties of the leaf extracts and essential oil of Lavandula angustifolia Mill., J. Ethnopharmacol., 89(1), 67-71 (2003). 

  20. R. Baptista, A. Madureira, R. Jorge, R. Ado, A. Duarte, N. Duarte, M. M. Lopes, and G. Teixeira, Antioxidant and antimycotic activities of two native Lavandula Species from portug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 1-1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