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모델 메소드(model method)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Singapore: Focused on the Model Method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3, 2017년, pp.205 - 224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김은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위한 시각적 도구로써 모델 메소드가 적용된다. 그러나 모델 메소드가 실제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모델 메소드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고, 교과서에 적용된 모델 메소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델 메소드가 적용된 단원 및 차시의 특징, 수와 연산별 도입 및 적용의 특징을 추출하여 모델 메소드가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모델 메소드는 연산이나 문장제와 관련된 단원과 차시에 적용되고, 자연수, 분수, 소수로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연산의 종류 측면에서 살펴보면 1~2학년에서는 덧셈과 뺄셈에만 적용하고, 3학년 이후에 곱셈과 나눗셈에 확대 적용하여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적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문제 해결 과정의 모든 단계에 명시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의 구조를 탐색할 수 있는 하나의 모델을 교과서 전체에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odel method has been known as the main characteristic of Singap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the model method is employed in the textbooks. In this study, we extracted contents related to the model method in the Singaporean elementary 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틀의 한 요소인 과정에는 무엇이 제시되어 있는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개념, 기술, 태도, 메타인지, 과정’의 5가지 요소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수학틀(mathematics framework)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 [이하 CPDD], 2012). 수학틀의 한 요소인 ‘과정’에는 사고 기술과 발견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학년별․영역별 학습 내용은‘단계에 따른 내용 및 학습 경험(Content & Learning Experiences by Level)’으로 제시하고 있다(CPDD, 2012).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무엇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은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개념, 기술, 태도, 메타인지, 과정’의 5가지 요소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수학틀(mathematics framework)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 [이하 CPDD], 2012). 수학틀의 한 요소인 ‘과정’에는 사고 기술과 발견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학년별․영역별 학습 내용은‘단계에 따른 내용 및 학습 경험(Content & Learning Experiences by Level)’으로 제시하고 있다(CPDD, 2012).
모델 메소드와 관련된 내용 중 학습 경험을 살펴보면 어떻게 요약되는가? 학습 경험을 살펴본 결과 내용 영역 세 가지 중 수와 대수 영역, 그 중에서도 연산 부분에 모델 메소드와 관련된 내용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모델 메소드와 관련 지을 수 있는 학습 경험의 내용을 살펴보면 (1)연산의 개념을 나타내고 이해하기 위해, (2)어떠한 연산을 사용할지 결정하기 위해, (3)문제를 해결하고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4)의사소통을 할 때 수학적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수학적 과정 영역의 세 가지 하위 요소(MP1, MP2, MP3)와 연결되는 것으로 학생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사고하고 결과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모델 메소드를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노희정 (2016). 싱가포르의 Model Method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문장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Noh, H. J. (2016). Effects of mathematical lessons using Singapore's model method on the word problem-solving ability of second graders. Master dissertation, KNUE.) 

  2. 장혜원 (2009). 종횡비교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의 문제해결에 대한 검토. 수학교육학연구, 19(2), 207-231.(Chang, H. W. (2009). Study on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2), 207-231.) 

  3. 정은실(2009). 싱가포르와 우리나라 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한 분수 개념 지도 방안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9(1), 25-43.(Jeong, E. S. (2009). An Comparative Analysis of Fraction Concept in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Singapo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1), 25-43.) 

  4. 황현미.방정숙 (2009). 수학 문제 해결과정에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초등수학교육, 12(2), 81-97.(Hwang, H. M. & Pang, J. S. (2009). A study on the 6th graders'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2(2), 81-97.) 

  5. Cai, J., & Knuth, E. J. (2005).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lgebraic thinking in earlier grades from curricular, instructional and learning perspectives.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ik, 37(1), 1-4. 

  6. Cai, J., Lew, H. C., Morris, A., Moyer, J. C., Ng, S. F., & Schmittau, J. (2005).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lgebraic thinking in earlier grades: a cross-cultural comparative perspective.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ik, 37(1), 5-15. 

  7. Cai, J., Ng, S. F., & Moyer, J. C. (2011). Developing students' algebraic thinking in earlier grades: Lessons from China and Singapore.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pp. 25-41). New York: Springer. 

  8. Carpenter, T. P., Franke, M. L., & Levi, L. (2003). Thinking mathematically: Intergrating arithmetic and algebra in elementary school. Pertsmouth, NH: Heinemann. 

  9. Carraher, D. W., & Schliemann, A. D. (2007). Early algebra and algebraic reasoning.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669-705). Reston, VA: NCTM. 

  10. Cheong, Y. K. (2002). The model method in Singapore. The Mathematics Educator, 6(2), 47-64. 

  11. 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 (2006). Mathematics syllabus(Primary).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Retrieved from https://www.moe.gov.sg/docs/default-source/document/education/syllabuses/sciences/files/2007-mathematics-(primary)-syllabus.pdf 

  12. 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 (2012). Mathematics syllabus(Primary one to five).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Retrieved from https://www.moe.gov.sg/docs/default-source/document/education/syllabuses/sciences/files/primary_mathematics_syllabus_pri1_to_pri5.pdf 

  13. Dreher, A., & Kuntze, S. (2015).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noticing: The cas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1), 89-114. 

  14. Ferrucci, B. J., Kaur, B. Carter, J. A. & Yeap, B. (2008). Using a model approach to enhance algebraic thinking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In C. E. Greenes, & R. Rubenstein (Eds.), Algebra and algebraic thinking in school mathematics seventieth yearbook (pp. 195-209). Reston, VA: NCTM. 

  15. Kho. T. H., Yeo, S. M., & Fan, L. (2014). Model method in Singapore primary mathematics textbooks. Retrieved from http://blog.soton.ac.uk/icmtrd2014/files/2014/10/Hong_Model-Method-in-Singapore-Primary-Mathematics-Textbooks_30Jul14.pptx 

  16. Kieran, C. (2004). Algebraic thinking in the early grades: What is it? The Mathematics Educators, 8(1), 139-151. 

  17. Kieran, C. (2014). What does research tell us about fostering algebraic thinking in arithmetic? Retrieved from http://www.nctm.org/uploadedFiles/Research_and_Advocacy/research_brief_and_clips/NCTM%20Research%20Clip%20-%20Algebraic%20Thinking%20in%20School%20Arithmetic.pdf 

  18. Kieran, C., Pang, J., Schifter, D., & Ng, S. F. (2016). Early algebra: Research into its nature, its learning, its teaching. New York: Springer. 

  19. Kheong, F. H., Ramakrishnan, C., & Choo, M. (2014a). My pals are here! Maths 2A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0. Kheong, F. H., Ramakrishnan, C., & Choo, M. (2014b). My pals are here! Maths 2B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1. Kheong, F. H., Ramakrishnan, C., & Choo, M. (2015a). My pals are here! Maths 3A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2. Kheong, F. H., Ramakrishnan, C., & Choo, M. (2015b). My pals are here! Maths 3B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3. Kheong, F. H., Ramakrishnan, C., & Wah, B. L. P. (2013a). My pals are here! Maths 1A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4. Kheong, F. H., Ramakrishnan, C., & Wah, B. L. P. (2013b). My pals are here! Maths 1B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5.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6a). My pals are here! Maths 4A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6.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6b). My pals are here! Maths 4B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7. Ministry of Education (2009). The Singapore model method for learning mathematics. Singapore: Author. 

  28. Ng, S. F. (2004). Developing algebraic thinking in early grades: case study of the Singapore prim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 Mathematics Educator, 8(1), 39-59. 

  29. Ng, S. F. (2012).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t attention resource demands of letter-symbolic versus model method. Paper presented at Topic Study Group 9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Seoul, Korea. 

  30. Ng, S. F., & Lee, K. (2009). The model method: Singapore children's tool for representing and solving algebraic word problem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0(3), 282-3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