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간행 『의학입문』 판본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A Bibliographic Study on Introduction to Medicine (Euihak-ipmun) in J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0 no.2, 2017년, pp.33 - 44  

박훈평 (화순마루요양병원 한방 6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to Medicine (Euihak-Ipmun), written by Lee Chun of the Ming Dynasty, is a comprehensive medical book brought to Joseon in the 1600s. It directly influenced many medical books written in the Joseon Dynasty of the same period, and became a major citation document of Dongui-Bogam. Introdu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학입문은 어떤 책인가? 명대의가 이천(李梴)이 1580년경 저술한 ����의학입문(醫學入門)����은 1600년 전후의 시기에 조선으로 전래된 9권1)19책으로 된 종합의서이다. 동시기 조선에서 저술된 ����의림촬요속집(醫林撮要續集)����, ����침구요결(鍼灸要訣)����,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등 다수의 의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주요 인용문헌이 되기도 하였다.
의학입문 정간본이 1760년경 간행되었음의 근거와, 그 특징은 무엇인가? 논자는 ����승정원일기����와 책판목록을 통해 조선간행 ����의학입문����의 판본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다음으로 이를 바탕으로 현재 남아있는 판본에 대해 고증하고 여러 특성을 논했다. 논자는 본고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중권. 동의보감의 문헌적 연구. 서지학연구. 1995;11:233. 

  2. 박훈평. 조선시대 의학교과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2):14. 

  3. 박훈평. 혜민서 관청지 혜국지 편제와 내용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4;27(1):121, 128-129. 

  4. 차웅석. 중국의 의학입문이 한국의 동의보감에 미친 영향. 한국의사학회지. 2000;13(1):112-127. 

  5. 홍세영, 이만군, 차웅석, 김남일. 임상학습서로서의 의학입문 가치.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6;29(1):126-136. 

  6. 강순애, 김중권, 권오민, 김성수, 오준호, 채석용 外 14인. 선본해제 15 - 의서류. 서울:국립중앙도서관. 2013:53-63, 325, 328. 

  7. 김남윤. 역주 효종동궁일기 2. 서울:민속원. 2008:151. 

  8. 배현숙. 조선실록 연구서설 대구:태일사. 2002:215-216, 220. 

  9. 三 木榮. 訂補 朝鮮醫學史及疾病史. 京都:思文閣. 1991:310. 

  10. 윤병태. 한국 도서 목록의 사적연구. 서울:한국출판연구소. 1992:39-42. 

  11. 정형우, 윤병태, 한국의 책판목록 상. 서울:경인문화사. 1995:647. 

  12. 정형우, 윤병태. 한국책판목록총람. 성남: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270-271, 359. 

  13. 천혜봉. 한국금속활자 인쇄사 서울:범우사. 2012:324-325, 335-336. 

  14. 崔秀漢. 朝鮮醫籍通考.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1996:231. 

  15. 고려대학교도서관, 원문자료검색(http://library.korea.ac.kr/) 

  16. 국립중앙도서관 고전운영실. 한국 고전적 종합목록시스템(https://www.nl.go.kr/korcis/) 

  17.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 

  18.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 

  1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문자료검색(http://e-kyujanggak.snu.ac.kr) 

  20.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http://yoksa.aks.ac.kr/) 

  2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