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CF 도구를 적용한 앞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중재전략의 증례
A Case Report of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Intervention Strategy Applied with an ICF Tool in a Patient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5 no.1, 2017년, pp.1 - 11  

송명수 (Dr. Song's 재활과학연구소) ,  김범룡 (대자인병원 재활센터) ,  김창헌 (대자인병원 재활센터) ,  노현정 (대자인병원 재활센터) ,  강미경 (대자인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n ICF tool in an intervention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R) patient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patients' functional problems, measure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and present the process of preparing proprioceptive neuromu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CLR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ICF 도구를 바탕으로 기능적인 문제점을 파악한 후 PNF의 기법을 이용한 중재를 점진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신체 기능 향상과 구조의 손상이 감소됨에 따라 자세 변화와 유지, 보행 그리고 상이한 장소로의 이동에 대한 기능적 활동이 해결되어 환자의 목표였던 교사연수에 참여 할 수 있었기에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를 원만히 달성 할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CLR 환자를 중재하는 과정에서 ICF 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기능적인 문제에 대한 검진과 평가 및 결과 측정을 실시하고 PNF 중재전략을 작성하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서 향후 임상적 상황에서 치료적 목표에 의한 중재행위를 실시할수 있는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ACLR 후 재활과정에서 ICF를 활용하여 임상추론과정을 통해 환자의 문제점 파악과 장⋅단기 목표 설정 및 중재전략 작성을 통해서 무릎재활을 위한 임상실기과정의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CLR 환자의 기능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ICF 핵심지표를 활용하여 신체 기능과 구조 손상, 활동 제한과 참여 제약 요인들에 대한 환경과 개인 요인들을 ICF 평가 시트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고, ICF 평가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중재 전과 후 동안의 기능적인 문제점들의 변화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이 PNF를 활용한 치료의 방법과 효율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PNF를 치료적 방법으로 선택하여 적용할 때 ICF 도구를 활용하여 평가하고 중재를 통한 결과를 유도한다는 측면이더 강조되고 있는 연구이다. 또한 PNF를 활용하여 ACLR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기 적용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릎관절의 앞십자인대의 손상은 어떤경우에 발생빈도가 높은가? 무릎관절의 앞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손상은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의 과신전과 안쪽돌림에 의해 발생빈도가 높다(Lee & Lim, 2009). 손상 이후 치료시기 지연과 방치 등은 무릎관절 내부 구조물의 기능 저하와 뒤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반달연골(meniscus)의 동반손상을 유발시킨다(Brosky et al.
ACLR이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원인과 손상의 정도에 따라 침습적인 방법으로 앞십자인대 재건술(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R)을 시행한다. ACLR은 자가건 (autogenous graft)과 타가건(allogenous graft) 이식을 통한 수술 방법으로, 현재 ACLR은 ACL 손상 후의 무릎 관절의 기능 회복에 관한 최상의 모델로 여겨지고 있다(Tanaka et al., 2010).
무릎관절의 앞십자인대의 손상 이후 치료시기 지연과 방치는 무엇을 유발하는가? 무릎관절의 앞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손상은 넙다리뼈에 대한 정강뼈의 과신전과 안쪽돌림에 의해 발생빈도가 높다(Lee & Lim, 2009). 손상 이후 치료시기 지연과 방치 등은 무릎관절 내부 구조물의 기능 저하와 뒤십자인대(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반달연골(meniscus)의 동반손상을 유발시킨다(Brosky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ossmann T, Kirchberger I, Glaessel A, et al. Validation of the comprehensive ICF core set for osteoarthritis: the perspective of physical therapists. Physiotherapy. 2011;97(1):3-16. 

  2. Brosky JA Jr, Nitz AJ, Malone TR, et al. Intrarater reliability of selected clinical outcome measures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1999; 29(1):39-48. 

  3. Campos TF, Rodrigues CA, Farias IMA, et al. Comparison of instruments for sleep, cognition and function evaluation in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Revista Brasileira de Fisioterapia. 2012;16(1):23-29. 

  4. Celik D, Coskunsu D, Kilicoglu O. Transl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of the Turkish Lysholm knee scale: ease of use, validity, and reliability.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2013;471(8):2602-2610. 

  5. Fleming BC, Oksendahl H, Beynnon BD. Open- or closed-kinetic chain exercise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2005;33(3):134-140. 

  6. Fan E, Ciesla ND, Truong AD,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manual muscle strength testing in ICU survivors and simulated patients. Intensive Care Medicine. 2010;36(6):1038-1043. 

  7. Isberg J, Faxen E, Brandsson S, et al. Early active extens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does not result in increased laxity of the knee. 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 2006;14(11): 1108-1115. 

  8. Kim SH, Kim DH. The effects of PNF exercise on body functions and fall efficacy of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3;52(2):495-512. 

  9. Kirschneck M, Kirchberger I, Amann E, Cieza A. Validation of the comprehensive ICF core set for low back pain: the perspective of physical therapists. Manual Therapy. 2011;16(4):364-372. 

  10. Klein DA, Stone WJ, Phillips WT, et al. PNF training and physical function in assisted livi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2002; 10(4):476-488. 

  11. Kofotolis N, Kellis E. Effects of two 4-week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rograms on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Physical Therapy. 2006;86(7):1001-1012. 

  12. Kong SW, Lim HC, Jung YW. ICF tool applied intervention strategy and chart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al recovery of the frozen shoulder patient-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2011;17(1):35-44. 

  13. Lee DK, Kim YN.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lower extremity pattern on muscular strength and flexibility in an aquatic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13;25(2)49-55. 

  14. Lee HS, Lim IS.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during 8 weeks after ACL reconstruction on muscle function & proprioception in the kne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09;48(5):523-533. 

  15. Lenssen AF, van Dam EM, Crijns YH, et al. Reproducibility of goniometric measurement of the knee in the in-hospital phase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07;8(1):83-89. 

  16. McMullen J, Uhl TL. A kinetic chain approach for shoulder rehabilitatio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00; 35(3):329-337. 

  17. Mullis R, Barber J, Lewis M, et al. ICF core sets for low back pain: do they include what matters to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9(5): 353-357. 

  18. Papandreou MG, Billis EV, Antonogiannakis EM, et al. Effect of cross exercise on quadriceps acceleration reaction time and subjective scores (Lysholm questionnaire)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Journal of Orthopaedic Surgery and Research. 2009;4(1):2-11. 

  19. Rauch A, Escorpizo R, Riddle DL, et al. Using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spinal cord injury to illustrate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during multidisciplinary patient management. Physical Therapy Journal. 2010;90(7):1039-1052. 

  20. Rundell SD, Davenport TE, Wagner T. Physical therapist management of 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Physical Therapy Journal. 2009;89(1):82-90. 

  21. Shaw T, Williams MT, Chipchase LS. Do early quadriceps exercises affect the outcome of ACL reconstruct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2005;51(1):9-17. 

  22. Stucki G, Cieza A.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Core Sets for rheumatoid arthritis: a way to specify functioning.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2004;63(2):40-45. 

  23. Tanaka Y, Yonetani Y, Shiozaki Y, et al. Retear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grafts in female basketball players: a case series. Sports Medicine, Arthroscopy, Rehabilitation, Therapy & Technology. 2010;2(1): 7-12. 

  24. Trulsson A, Roos EM, Ageberg E, et al. Relationships between postural orientation and self reported function, hop performance and muscle power in subjec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10;11(1):143-152. 

  25. Wagner DR, Tatsugawa K, Parker D, et al. Reliability and utility of a visual analog scale for the assessment of acute mountain sickness. High Altitude Medicine and Biology. 2007;8(1):27-31. 

  26. WH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27. WHO. Toward a common language for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28. Wilk KE, Reinold MM, Hooks TR. Recent advances in the rehabilitation of isolated and combin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Orthoped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03;34(1):107-137. 

  29. Yun TW, Kim TY. A case report of intervention strategy applied ICF tool about floor to stand and stand to floor for stroke patient. The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1;18(1):33-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