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이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무릎관절 근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Using Vibration Stimulation on Knee Muscle Strength and Balance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3 no.2, 2017년, pp.17 - 25  

배창환 (배창환 운동센터) ,  이중호 (경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제춘 (울산병원 물리치료팀) ,  김명권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성환 (김성환 페달로 운동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resistive exercises with vibration stimuli could affect the strength of knee muscle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reconstructive surgery. Methods: Thirty four subjec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ere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진동자극을 이용하여 실시한 연구 중 대부분이 정적인 동작에서의 연구들이(김재영, 2013; Jacobs와 Burns 2009; Cormie 등, 2006; Bosco 등, 1999) 많았고, 동적인 동작에서 진동자극을 적용한 연구들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재활운동을 바탕으로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2주 경과한 환자에게 진동자극을 이용한 저항운동을 적용함으로써 무릎관절 근력과 균형 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고, 보다 효과적이며 체계적인 운동치료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앞십자인대 손상은 무엇으로 인해 잘 발생하는가? 무릎관절 손상 중에서도 앞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손상은 가장 흔한 손상으로 무릎관절 과다 굽힘, 벌림 및 가쪽 돌림에 잘 발생한다(이재식, 1994).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고유수용성감각에 대한 재활운동프로그램의 연구를 살펴보면 김귀현(2004)과 Reider 등(2003)은 재활 운동 후 환측의 고유수용성 감각기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의 종류는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 등속성 운동(isokinetic exercise), 플라이오메트릭 운동(plyometic exercise), 열린사슬운동과 닫힌사슬운동이 있고, 최근 운동치료 영역에서 응용되고 있는 전신진동자극운동은 인체에 무해한 수준의 진동수와 진폭을 활용하여 근육과 신경을 자극하는 운동으로 많이 적용하고 있다. 전신진동 운동은 Lebedev와 Poliakov(1991)의 연구에서 진동자극을 받는 동안 골격근은 근육길이의 변화들을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척수 반사 흥분 능력을 촉진시킨다고 하였으며, 진동자극으로 인한 근 방추 수용기의 활성은 직접적으로 진동자극을 받은 근육뿐만 아니라 주변 근육에 까지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Kasai 등, 1992).
근력과 관절의 위치감각 및 기능적 능력의 효과에 대한 연구의 실정은? 또한 Fu 등(2013)은 재건술 후 전신진동 운동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수술 후 4주 환자를 대상으로 근력과 관절의 위치감각 및 기능적 능력에 대한 효과를 보고하였다. 하지만 앞 십자인대 재건술 후 근력,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 감각, 관절의 안정성을 회복시키기기 위한 초기 재활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전매희와 정현, 2013; 김장규와 장지훈, 2012; 배창환 등, 2011; Shelbourne와 Nits, 1990), 수술 후 전신진동 운동을 매개로 한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가 4주가 가장 빠른 시기였으며, 아직까지 진동자극을 이용한 근력과 균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진동자극을 이용하여 실시한 연구 중 대부분이 정적인 동작에서의 연구들이(김재영, 2013; Jacobs와 Burns 2009; Cormie 등, 2006; Bosco 등, 1999) 많았고, 동적인 동작에서 진동자극을 적용한 연구들은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귀현. 앞십자인대 수술 후 4주간의 재활운동이 슬관절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4 

  2. 김려섭. 슬관절. 2007. 서울. 최신의학사: 152-153. 

  3. 김장규, 장지훈.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운동재활프로그램 적용시점에 따른 슬관절 근기능의 회복 차이. 한국체육과학회지. 2012;21(2):1045-1058. 

  4. 김재영. 스쿼트 자세에 따른 전신진동운동이 슬관절의 등속성 근 기능과 점프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5. 배창환, 조성현, 황보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운동프로그램 참여 시기에 따른 등척성 근기능 비교. 대한물리의학회지. 2011;6(4):455-464. 

  6. 이학송, 임인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대한슬관절학회지. 2009;23(2):61-68. 

  7. 이재식. 대한 축구선수의 슬관절 굴신에 대한 등속성 근력분석. 한국체육학회지. 1994;33(3):3368-3374. 

  8. 장영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단기간의 등속 재활운동이 대퇴부 근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013;22(3):1141-1151. 

  9. 진행미, 정현.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초기재활운동프로그램이 무릎관절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06;20(2):55-66. 

  10. 전매희, 정현. 유도선수의 슬관절 전방십자인대 부상후, 재건술과 초기재활프로그램 적용시 효과. 대한무도학회지. 2013;15(1):13-23. 

  11. 조우신, 김민영, 이근춘 등. 슬관절의 스포츠 손상. 한국체육학회지. 2005;23(1):24-29. 

  12. 최윤식, 신윤아. 이식건 종류에 따른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근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12;51(1): 429-440. 

  13. Andersen LL, Magnusson SP, Nielsen M, et al. Neuromuscular activation in conventional therapeutic exercises and heavy resistance exercises: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Phys Ther. 2006;86(5):683-697. 

  14. Atkinson HD, Laver JM, Sharp E. (vi) Physiotherapy and rehabilitation following soft-tissue surgery of the knee. Orthop Trauma. 2010;24(2): 129-138. 

  15. Beasley LS, Weiland DE, Vidal AF, et 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A literature review of the anatomy, biomechanics, surgical considerations, and clinical outcomes. Oper Tech Orthop. 2005;15(1):5-19. 

  16. Bosco C, Colli R, Introini E, et al. Adaptive respsonses of human skeletal muscle to vibration exposure. Clinical Physiology-Oxford. 1999;19:183-187. 

  17. Brotzman SB, Manske RC.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tation: An Evidence-Based Approach. Elsevier Mosby. 2011;211-245. 

  18. Cormie P, Deane RS, Triplett NT, et al. Acut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on muscle activity, strength, and power. J Strength Cond Res. 2006;20(2):257-261. 

  19. Drouin JM, Valovich-McLeod TC, Shultz SJ,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iodex system 3 pro isokinetic dynamometer velocity, torque and position measurements. Eur J Appl Physiol. 2004;91(1):22-29. 

  20. Ebid AA, Ahmed MT, Mahmoud Eid M, et al.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on leg muscle strength after healed bur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urns. 2012;38(7):1019-1026. 

  21. Fu CLA, Yung SHP, Law KYB, et al. The effect of early whole-body vibration therapy on neuromuscular control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Sports Med. 2013; 41(4):804-814. 

  22. Hoffman M, Payne VG.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ankle disk training on healthy subject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5;21(2):90-93. 

  23. Jacobs PL, Burns P. Acute enhancement of lower-extremity dynamic strength and flexibility with whole-body vibration. J Strength Cond Res. 2009;23(1):51-57. 

  24. Karasel S, Akpinar B, Gulbahar S, et al. Clinical and functional outcomes and proprioception after a modified accelerated rehabilitation program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patellar tendon autograft. Acta Orthop Traumatol Turc. 2010;44(3):220-228. 

  25. Kasai T, Kawanishi M, Yahagi S. The effects of wrist muscle vibration on human voluntary elbow flexion- extension movements. Exp Brain Res. 1992;90(1):217-220. 

  26. Konishi Y, Oda T, Tsukazaki S, et al. Relationship between quadriceps femoris muscle volume and muscle torque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11;19(4):641-645. 

  27. Kvist, J. Rehabilitation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Sports Med. 2004;34(4): 269-280. 

  28. Lebedev MA, Poliakov AV. Analysis of the interference electromyogram of human soleus muscle after exposure to vibration. Neurophysiology. 1991;23(1):57. 

  29. Majewski M, Susanne H, Klaus S. Epidemiology of athletic knee injuries: A 10-year study. The knee. 2006;13(3):184-188. 

  30. Moezy A, Olyaei G, Hadian M,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and conventional training on knee proprioception and postural stability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Br J Sports Med. 2008;42(5):373-385. 

  31. Pollock RD, Provan S, Martin FC, et al.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balance, joint position sense and cutaneous sensation. Eur J Appl Physiol. 2011;111(12):3069-3077. 

  32. Rees SS, Murphy AJ, Watsford ML.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postural steadiness in an older population. J Sci Med Sport. 2008;12(4): 440-444. 

  33. Reider B, Arcand MA, Diehl LH, et al. Proprioception of the knee before and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J Orthop Surg Res. 2003;19(1):2-12. 

  34. Risberg MA, Holm I, Tjomsland O, et al. Prospective study of changes in impairments and disabilitie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9 ;29(7):400. 

  35. Roelants M, Delecluse C, Verschueren SM.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increases knee extension strength and speed of movement in older women. J Am Geriatr Soc. 2004;52(6):901-908. 

  36. Ryan LM, Magidow PS, Duncan PW. Velocity-specific and mode-specific effects of eccentric isokinetic training of the hamstrings. J Orthop Sports Phys Thery. 1991;13(1):33. 

  37. Shaw T, Williams MT, Chipchase LS. Do early quadriceps exercises affect the outcome of ACL reconstruct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ust J Physiother. 2005;51(1):9-17. 

  38. Shelbourne KD, Nitz P. Accelerated rehabilita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m J Sports Med. 1990;18(3):292-299. 

  39. Von Stengel S, Kemmler W, Mayer S.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n osteoporotic risk factors]. Deutsche Medizinische Wochenschrift. 2009;134(30):1511-15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