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엉덩관절 벌림근 강화운동이 근력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Exercise of Hip Abductors on Muscle Strength and Ambulation in Patient with ACL Reconstruction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5, 2014년, pp.296 - 301  

박병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중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ngthening exercises of hip abductors on muscle strength and ambulation for patients with ACL reconstru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general exercise plus strengthening of hip ab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십자인대 재건술을 한 환자를 대상으로 엉덩관절 벌림근 근력 강화시 일상적인 생활 수준과 보행능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보행능력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앞십자인대의 손상의 치료목표는 무엇인가? 앞십자인대의 손상은 넙다리뼈에 비하여 정강뼈에 작용하는 안쪽 돌림력(internal rotation)에 의해 가장 흔하게 발생되며,2 치료 목표는 무릎관절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운동범위 및 근력을 정상수준으로 회복시켜 무릎관절의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3,4
앞십자인대 손상의 보행은 어떠한가? 최근 앞십자인대 손상의 보행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9 앞십자인대 손상 환자 가운데 75%는 보행 형태가 변하게 되고 넙다리회피보행(quadriceps avoidance gait)을 하게되며, 입각기 동안 넙다리네갈래근 활동이 감소하기 때문에 무릎관절 활동의 약 140% 감소한다고 보고 하였다. 그리고 앞십자인대 재건술은 보행동안 넙다리네갈래근 약화, 부종, 통증 등으로 인해 보행 형태가 변하게 된다.
앞십자인대가 손상될 경우 어떠한 영향이 생기는가? 앞십자인대가 손상된 환자의 경우 엉덩관절 벌림근 근력저하로 인해 엉덩관절 몸쪽 조절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무릎의 운동 역학의 저하를 야기한다.5 또한 엉덩관절의 신경근 조절은 무릎에 의해 생산되는 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엉덩관절 벌림근의 약화가 발생할수록 무릎 밖굽이 최대관절이동(peak joint displacement, PJD)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고,6 Cale5등은 엉덩관절 벌림근의 최대토크(peak torque, PT)가 증가한 환자의 경우 엉덩관절의 몸쪽 조절이 무릎 밖굽이 PJD 감소를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ung JS. The effects of accelerated rehabilitation exercise on knee function, thigh circumference and lysholm score after ACL reconstruction. KEAGW. 2006;20(5):172-86. 

  2. Lee LH.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 and muscle power after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in ACL reconstruction patients. Yeungnam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6. 

  3. Feagin, J.A, Curl WW. Isolated tear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5-year follow-up study. Am J Sports Med. 1976;4(3):95-100. 

  4. Kim YJ, Lee YM. The effects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on thigh circumference and lysholm scale of the knee joints of patients with ACL reconstruction. J Korean Soc Phys Ther. 2007;19(6):31-6. 

  5. Jacobs CA, Uhl TL, Mattacola CG et al. Hip Abductor Function and Lower Extremity Landing Kinematics: Sex Differences. J athletic training 2007;42(1);76. 

  6. Griffin LY, Agel J, Albohm MJ et al. Noncontac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risk factors and prevention strategies. J Am Acad Orthop Surg. 2000;8(3):141-150. 

  7. Jaramillo J, Worrell T, Ingersoll C. Hip isometric strength following knee surgery.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4;20(3):160-5. 

  8. Judd DL, Eckhoff DG, Stevens-Lapsley JE. Muscle strength loss in the lower limb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m J Phys Med Rehab. 2012;91(3):221. 

  9. Andriacchi TP. Functional analysis of pre and post-knee surgery: total knee arthroplasty and ACL reconstruction. J Biomech Eng, 1993;115(4B):575-81. 

  10. Berchuck M, Andriacchi TP, Bach B. R. & Reider B. Gait adaptations by patients who have a defici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J Bone Joint Surg Am, 1990;72(6):871-77. 

  11. Choi WH. Effetcs of eccentric exercise of affected hip abductors on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2. 

  12. Fredericson M, Cookingham CL, Chaudhari AM et al. Hip abductor weakness in distance runners with iliotibial band syndrome. Clin J Sport Med. 2000;10(3):169-75. 

  13. Dwyer MK, Boudreau SN, Mattacola CG et al. Comparison of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hip muscle activation during rehabilitation tasks between sexes. J Athl Training. 2010;45(2):181. 

  14. Yu CS, Chang SK. The isokinetic evaluation of knee extensors and flexors in the normal subjects for those twenties. J Korean Soc Phys Ther. 2013;25(4):167-73. 

  15. Stergiou N, Moraiti C, Giakas G et al. The effect of the walking speed on the stability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deficient knee. Clin Biomech. 2004;19(9):957-63. 

  16. Richardson RS, Saltin B. Human muscle blood flow and metabolism studied in the isolated quadriceps muscles. Med Sci Sports Exerc. 1998;30(1):28-33. 

  17. Kim YK. The Effects of a 12-week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ligament stability, knee function, and lysholm score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2. 

  18. Ahn DY. Effect of Rehabilitative Exercise on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Functional Exercise Performance in Male and Female Soccer Players with ACLR. Seonam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13. 

  19. Hollman JH, Ginos BE, Kozuchowski J et al. Relationships between knee valgus, hip-muscle strength, and hip-muscle recruitment during a single-limb step-down. J Sport Rehab 2009;18(1):104. 

  20. Claiborne TL, Armstrong CW, Gandhi V et al. Relationship between hip and knee strength and knee valgus during a single leg squat. J Appl Biomech. 2006;22(1):41-50. 

  21. ML Keast ML. Nordic Walking: Introducing a New Low-Impact Exercise System for Cardiac Rehabilitation Patients. Minto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Centre, University of Ottawa Heart Institute. 2009;13-4. 

  22. Kang YH. Effects of Nordic walking on tibialis anterior muscle fatigue. J Korean Soc Phys Ther. 2014;26(2):62-7. 

  23. Nam SH, Kang KW, Kwon JW et al. The effects of handrails during treadmill gait training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013;25(1):23-8. 

  24. Kim MJ, Lee SA, Kim SK, Sung IY. The study for gait speed of stroke patients: comfortable versus maximum safe speed.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1994;18(4):736-41. 

  25. Kim JH. Relationship between gait symmetry and functional balance, walking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4;26(1):1-8. 

  26. Kim MK, Kim KH, Son K. Gait analysis of the normal and ACL deficient patients after reconstruction surgery using footground reaction force. KSME.2006;2006(6):247-52. 

  27. Choi WH, Kim MJ. Effects of Eccentric Exercise of Hip Abductors on Gait Balance. KAOMPT. 2003;9(2):59-67. 

  28. Jin YW, Song JW, Kang SG et al. Analysis of gait pattern according to passage of rehabilitation training of ACL patients. JESK. 2010;2010(5);250-3. 

  29. Winter DA, Patla AE, Frank JS et al. Biomechanical walking pattern changes in the fit and healthy elderly. Phys Ther. 1990;70(6):340-7. 

  30. Kim HW. A study on kinematic gait analysis of the normal adult. Kyung bok college. 2001;(5):513-20. 

  31. Kwon DY, Sung IY, You JY et al. 3-Dimensional gait analysis of Korean adults.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1998;22(5);1107-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