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성마비 환자들은 식이자세와 잇솔질에 대해 스스로 행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의과적 치과적인 문제에 더 취약할 수 밖에 없다.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심각한 운동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환자들은 특히 치과치료에서 소외되기 쉽다. 의과적 치료와 함께 구강관리는 뇌성마비 환자들의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혜택으로부터 소외되지 않도록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 공공의료서비스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rebral palsy(CP) is a motor disorder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resulting from irreversible brain injury due to congenital or acquired causes. Health-related quality of their life is associated with severity of impairment and socioeconomic factors. These patients are particularly easy to be n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저자는 장기간 동안 침상인 상태로 방치 된 중증 뇌성마비 어린이 환자의 치과치료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 환자가 치과적인 문제에 취약한 이유는? 뇌성마비 환자들은 식이자세와 잇솔질에 대해 스스로 행동할 수 없기 때문에 의과적 치과적인 문제에 더 취약할 수 밖에 없다.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심각한 운동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환자들은 특히 치과치료에서 소외되기 쉽다.
뇌성마비 환자의 치과진료 현실은 어떠한가? 사회보장제도가 개선되고 장애인의 복지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증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구강위생관리면에 있어서 취약하며 특히 비협조적인 경우에는 다수가 치과치료를 받지 못한다고 하였다3).
뇌성마비는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요인에 의한 비가역적 뇌손상으로부터 야기된 비진행성인 중추신경계의 운동 신경장애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Norwak AJ : Dentistry for the handicapped patient. Mosby Co, 23-38, 1976. 

  2. 대한소아치과학회편 : 소아치과학 개정판, 신흥인터내셔날, 463-494, 1999. 

  3. Magunusson B : Oral condition in a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dontol Revy, 385-402, 1963. 

  4. Cho SM, Oh DW, Kim SY : Comparison of Parent-reported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Functional Level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29-37, 2009. 

  5. Sung MJ, Kim SM, Yang KH, et al. : The Oral Health Status of Disabled People With Cerebral Palsy. Korean Association for Disability and Oral Health, 5:5-11, 2009. 

  6. Shim SH, Lee W, Choi B : The status and improvement course of dental treatment for the disabl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48:280-287, 2010. 

  7. Bae HS : A Study on the Oral Halth C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es Recognitio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7:81-8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